세 개의 관 동서 미스터리 북스 90
존 딕슨 카 지음, 김민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황제의 코담뱃갑>, <모자수집광 사건>에 이어 세번째로 접하는 존 딕슨 카의 작품은 본격 추리소설의 거자인 존 딕슨 카의 소설 중에서도 손꼽히는 작품인 <세개의 관>이다.
작품이 많은 작가로 알고 있는데, 지금까지 읽은 소설들이 제각각 다른 느낌이다.

머리 쓰기에 게으르고, 트릭보다는 캐릭터나 분위기와 같은 젯밥에 더 마음이 쏠리는 나는 어쩌면 진정한 추리소설 매니아는 아닐지 모르지만, 이 정도의 작품을 접하고 보면, 헝클어진 머릿속 실타래를 정리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야기는 첫번째 관, 두번째 관, 세번째 관의 세 챕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모 교수는 공개된 장소에서 마술사 프레이에게 협박을 받게 되고, 협박의 그 날, 그의 집에서 총에 맞아 죽게 되지만, 그를 죽인 범인의 행방은 묘연하다.

펠박사와 해드리 경감은 마술사 프레이를 쫓지만, 프레이 역시 목격자가 보는 가운데, 총에 맞아 죽고, 범인의 행방은 또한 묘연하다.

트릭이 대단할수록 트릭이 밝혀지고 난 후 실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카는 그것을 마술에 비유했다. 마술사 프레이와 함께 일했던 오로크의 입을 통해 말하길 "사람들이란 이상한 데가 있어요. 그들은 마술을 구경하러 옵니다. 이건 마술이라고 하는데도 굳이 돈을 내고 마술을 보러 오는 겁니다. 그러고는 뭔가 우스꽝스러운 이유로 그것이 진짜 마술이 아니라며 기분 나빠하는 겁니다. 그들이 직접 조사한 자물쇠를 상자나 끈을 묶은 자루에서 어떻게 탈출했는지 기술을 설명해주면, 속임수라고 하며 화를 내지요. "

사건의 실마리를 쫓아가는 것 이외에도 이 작품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 바로 펠 박사의 밀실 살인 사건에 대한 강의인데, 밀실 살인 사건의 모든 가능한 트릭들을 망라해 놓았다. 친절하게도 작가와 작품들까지 예로 들어가며, 반다인이나 엘러리 퀸의 작품 중 아직 보지 못한 작품의 트릭을 알아버렸다.고나 할까.(하지만, 나는 나의 망각력을 믿는다.) 마음의 준비 없이 스포에 당한 것에, 혹은 내가 앞으로 볼 '밀실 살인 사건' 의 트릭을 모두 밝혀버린 것에 비난의 화살을 던져야할지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펠 박사는 특유의 드라마틱한 대사들을 읊으며, 트릭을 풀어낸다.

드러나 있는 단서들에도 불구하고, 범인을 찾지 못했던 것에 비해 허무한 트릭에 억울감도 들지만, 아마, 그런 독자들을 위해 카는 오로크의 입을 빌렸던게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석 2007-08-03 12: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기대했던 것에 비해서 좀 부족한 기분이었는데 하이드님이 말씀하신 이유 때문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