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이름에게
김이설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의 소설을 단숨에 읽게 되는 날이 올 줄 몰랐다. 

늘 굉장히 힘들었기에. 이번이라고 다르지는 않지만, 소설 속의 주인공들은, 소설 속의 여자들은 다음 걸음을 내딛을 준비가 되었거나,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생각한다. 


실상은 이렇다. 다들 알고 있으면서도, 나만은 다르겠지. (아니야. 다르지 않아. 유니콘이 괜히 유니콘이 아니야.) 하고 '어쩌다보니' 결혼이란 걸 하게 되었는데, 너무도 다른 종족과 '사랑'이든, '파트너쉽'이든의 콩깍지 같은 걸 양 눈에 끼고, 제 발로 걸어들어갔는데, 너무 끔찍하고, 나는, 내 이름은 없어지고. 


첫 단편 '우환'에서 근주는 "자궁경부 세포 검사상 반응성 세포 변화가 있습니다."  검진 결과를 받게 된다. 

병원을 다니며, 두 아이와 남편을 챙기는 일상을 이어간다. 님편의 해맑음이, 아, 다른 종족이구나. 생각하게 하는데, 

'산부인과 가서 성적흥분을 느끼냐?'거나, '생리대 싼 거 사면 안되냐'거나, 시도 때도 가리지 못하고, 팬티 안으로 손을 집어 넣는다거나. 작가는 해맑다고 표현했고, 뭔지 알겠는데, 그걸 해맑음이라고 말해줘야 할까. 무식하고 공감력 실종한 종특이라고 해야 할까. 여자의 일상이, 평범한 일상이 고단하고, 그건 평범한게 아닌데, 너무 참고 살아서 다 병이 된다. 


'기만한 날들을 위해' 에서도 집남자들의 적나라함은 계속된다. 

밥 차려줘, 비타민, 영양제까지 다 챙겨주는데, 약껍데기를 구겨서 식탁에 버리는, 단 한 번도 제 손으로 뭔가를 쓰레기통으로 넣을줄 모르는 남자. 매 번 이야기해도 매 번 구겨져 식탁위로 던져지는 약봉지에 누가 제정신일 수 있을까. 그는 그 스트레스를 딸에게 푼다. 딸을 감정 쓰레기통으로 쓰는 이야기는 굉장히 흔한 이야기지. 


" 세월이 지날수록, 그러니까 아빠를 그렇게 길들여놓은 건 엄마인데, 왜 자기에게 분풀이를 하느냐고 딸아이가 조목조목 반박하던 날까지, 나는 매일매일, 아주 조금씩 정도를 늘려가며 아이들을 괴롭혀왔던 것이다. 


그래서 나는 내 발로 정신과를 찾아갔다. 내가 정상이 아니었다는 것을, 내가 미친 여자처럼 굴어왔다는 것을, 그러다가 아이들까지 잃게 될 것 같은 불안감이 들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달았던 것이다." 


첫 아이를 임신하고 만삭이라 섹스를 못하자, 남자는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다른 여자랑 자겠다고 허락 구하며, 그래도 나 정도면 괜찮은거 아니냐고 하는 남자의 뻔뻔함에 여자의 상황이, 여자가 그걸 내치지 못하고, 얼떨결에 공범이 된다. 둘째를 가졌을 때에도. 그리고, 친구들과 동남아 여행 다니며 한 짓거리를, 정말 범죄행위를 알게 되었을 때, 그는 넘어간다. 진정제 몇 알을 삼키고 방조한다.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고 싶지 않았다. 남편의 범죄를 고발해 지금껏 누린 사회적 안락과 경제적 안온을 포기할 수도 없었다. 남편의 허물이 나의 결함이나 아이들에게 치부가 되도록 둘 수도 없었다. 남편에 대한 불신은 절대 회복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나만 참으면, 나 하나만 입을 다물면 모두 펴화로울 수 있었다. 내 인생에 이혼이라든지, 범죄자 남편 같은 건 계획에 없던 사항이었다. 내 삶의 틀을 부수고 싶지 않았다. 보편적이고 타당한 가족의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하고 싶었다. 나는 비겁해지기로 했다." 


이 소설의 결말은 의외였다. 사는데 정담은 없지만, 그는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한다. 그가 '기만했던 날'들을 만회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을. 그가 너무 힘들지 않았으면 좋겠고, 언제든 준비 되면, 혹은 너무 힘들어졌을 때 멈출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가 멈추기로 했을 때, 그의 딸이 그가 걷는 외줄 아래의 그물이 되어줄거다.


'미아'에서 소영은 길 잃은 채로 시작해 길을 찾았을까? 


마지막 단편인 '경년'에서의 그는 중학생인 한남 아들을 마주하게 된다. 


여자들은 이름을 잃었고, 많이 울었고, 화를 냈고, 병이 났고, 우울증 약을 털어 넣는다. 

앞에는 어쩔 수 없지만, 병원 간 이야기들이 꼬박꼬박 나오는 것이 좋았다. 나을 수 있고, 나을 거라는 그런 액션 같아서. 


작가가 많은 것을 읽고, 겪고 녹아냈다는 생각이 든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덜 아파지시길. 몸도 마음도 늘 건강하시실. 자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나머지는 다 그 다음임을 늘 마음에 담아두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