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행복했으면 좋겠어 - 이미 충분히 행복하지만 행복한 줄 모르는 사람들에게
앨릭스 파머 지음, 구세희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에는 헤도니아(hedonia) 적 행복과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적 행복이 있다.

쾌락적 행복인 헤도니아는 즐거움을 최대화하고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일시적이거나 피상적이고, 에우다이모니아적 행복은 자신의 행동이 개인적 목표와 가치관에 부합하고 사회적 공익에 이바지한다고 느끼는 심리적 행복감이다.

 

한 마리 제비나 화창한 하루가 봄을 가져오는 게 아닌 것처럼 단 하루나 짧은 기간의 즐거움이 사람에게 복을 내리거나 행복하게 하지는 못한다.

 

- 아리스토 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발달심리학자 앨런 워터먼이 말하는 에우다이모니아적 행복이란 '인생에서 갈망하고 가질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것으로 나아가는 상태' 이다. 행복은 성격을 바탕으로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타고나는 부분이 있음. 성격도 팔자라는 말, 타고난 성격이 운명을 좌우한다는 말에 살면서 계속 공감한다. 성격이라는 것은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의 대응들이 모여 형성되는 것이고, 순간의 선택과 대응들이 누군가의 운명을 크게 좌우한다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이야기.

 

심리학 교수이자 행복전문가인 소녀 류보머스키에 따르면, 행복의 50퍼센트는 유전적으로 타고나고 (성격!) 10퍼센트는 현재 상황과 직접적으로 관련. 나머지 40퍼센트는 자신의 힘으로 바꿀 수 있다고 한다. 그 퍼센테이지야 어쨌든, 타고난 거고, 내가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 관련 있지만, 꽤 많은 부분을 내가 바꿀 수 있다는 것.

 

이 책에서는 내가 바꿀 수 있는 '40퍼센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재미있게 읽었다. 이 책에 따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내 성격의 타고난 50프로 외에도, 내가 바꿀 수 있는 것들이 잔뜩 나와 있고, 결론은 '사실 행복이 그렇게까지 중요한 것은 아니고' '너무 행복하기만 해도 당연히 안 좋고' 라고 하는 것까지도 유용했다.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공간인 일터에서 행복감을 높이는 방법으로 시작한다.

 

누구나 자신에게 던져야 하는 기본적인 질문

자신의 일이 자신의 핵심 가치관과 긴밀히 연결되거나, 심리학자들이 '자기일치적'이라 부르는 업무상 목표를 추구하는가.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일터에서 만족감을 얻고 업무를 잘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요즘 나의 화두는 '일' 이어서, 이 부분 건져 간다. '핵심 가치관'과 연결되거나 '자기 일치적' 일 것. 예를 들자면, 동물권자가 스테이크 하우스에서 일하지 않는 것. 굉장히 중요한 것 같다. 일터에서 행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것이 기본이다. 이 글을 보고 내가 평소에 정리하지 않고 있던 생각 하나를 버렸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해야지. 현실적으로 그게 되지 않는다면, 그냥 돈만 빠짝 벌어서 돈을 목표로 하면, 덜 불행하겠지. 여기서 더 나아가 빠짝 벌고, 합리적 지출 습관 만들고, 경제적 활주로 만들고, 조기 은퇴해서 내가 하고 싶은 일 할 것. 여기까지 생각하고 있었다.

 

'돈'이 목표가 되면 안된다. 라는 것이 기본 명제여야 한다. 돈을 위해 하는 일은 행복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연봉은 대략 평균적으로 7,500만원 정도면 '행복감 정체기'에 들어선다고 한다. 연봉이 7억이라고 열배 행복할 수는 없다는 것.

 

일터에서 다양하게 시도해볼만한 것들로는 일터를 개인적으로 꾸미기. 화분을 가져오면 좋다고 한다. 식물 최고. 통근 문제는 걸리는 시간보다 통근 방식이 더 행복도에 영향을 끼친다. 다음 순서대로 만족도가 높다. 걷기>기차>자전거>자가용>지하철>버스. 이 부분 읽으며, 과거 회사 다닐때 가장 싫었던 기억은 지옥철이었다. 통근 시간이 길어져도 기차를 타고 가며 책을 읽을 수 있다면, 그 시간에 책 읽으며 너무 좋을 것 같다. 지금의 통근 방식은 '걷기' 이다. 걷기가 만족감 최고인 이유는 여러개 생각나는데, 그만큼 통근시간이 짧게 걸림. 가까움. 몸을 움직임. 변수가 적음. 건강. 등등

 

그리고, 휴식을 자주 취할 것. '우리 두뇌는 제한된 양의 에너지만을 가지고 있어 수시로 재충전해줄 필요가 있다.'

17분 휴식하고, 52분 쉼없이 일하는 것이 가장 생산성 높았다고 하는 연구가 있고, 전세계를 강타! 나도 강타! 했던 포모도르 기법도 나온다. 업무 시간을 30분 단위로 잘라 25분동안 일하고 5분 동안 쉬는 것. 이건 사람마다 다르더라. 40분 일하고 20분 쉬기도 하고. 여튼 이것은 집중하는 시간보다 '휴식하는 시간'이 중요하다는 것이 포인트이다.

 

휴식도 잘 해야 한다. '업무 부담을 중단할 수 있는 활동'을 해야 한다. 낮잠, 휴식, 멍때리기, 명상, 독서, 수다 등.

 

업무에서의 휴식 뿐 아니라, 어떻게 쉬어야 제대로 충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그 외에도 여가 생활을 잘 보내는 법, 우정과 사랑과 결혼, 집, 공간 등등에 관한 삶의 전반에 대해 싹 훑는데, 읽는 각자에게 와닿거나, 생각해볼만한 부분들을 건져볼 수 있다. 아, 내가 하는 이런이런 것들이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구나. 아, 이런것들을 더 하면 좋겠다. 감상과 행동을 더할 수 있다.

 

행복에 관한 연구들을 잔뜩 쌓아두고 요약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책이 거기에 그치지 않았던 것은 행복 추구의 뒷면을 마지막 장에 썼기 때문이다.

 

행복도가 가장 높은 곳의 자살율이 높다. 자신의 행복은 자살을 막아주지만, 타인의 행복은 나의 불행을 돋보이게 하기 때문에?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행복해지지 않았을 때 더 불행해지기도 한다.

 

행복감도 그냥 행복해.로 그치지 않고, 긍정적 감정의 다양성 emodiversity 를 추구해야 한다고 한다.

긍정적 감정만 있는 것의 해로움 또한 많아서 긍정적 감정대 부정적 감정의 이상적인 비율은 약 3대 1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이 책의 전체적인 어조와 이야기는 행복하기 위해서! 이지만, 마지막 장이 부정적인 면 또한 짚어주면서, 그 비율을 맞춰준게 아닌가 싶다. 10장 중에 1장뿐이지만, "나쁜 것은 좋은 것보다 강하다" 더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행복 책에 이 정도가 딱 좋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