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던 하트 - 제18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정아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직업이 헤드헌터인 미연은 37살의 미혼 여성이다. 주위의 친구들은 결혼해서 아이가 있거나, 결혼 예정인 친구들뿐이다. 그럴듯한 직장과 매너를 가지고 있는 태훈과의 만남은 뜨거운 로맨스도 없이 무미건조하기만 하다. 이름보다는 별명 흐물이 더 익숙한, 연상이지만 오빠라는 존칭은 너무 낯선 경훈은 미연에게 부담 없이 만날 수 있는 남자다. 직장도, 연애도 어느 것 하나 만족할 수 없는 미연은 늘 불안하고 외롭다.
전문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헤드헌터라는 직업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대충 짐작만 하는 정도였는데 소설의 주인공인 미연의 직업이 헤드헌터이다 보니까 여태 몰랐던 사실들에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인재를 필요한 곳에 꽂아 넣기만 하는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머리 아픈 직업임은 틀림없다. 그 직업의 밑바닥에 깔려 있는 속물적인 근성은 말할 것도 없고.
다루고 있는 직업 때문일까. 날 것 그대로의 현실인데 굉장히 씁쓸하다. 너무 현실적이라서 그런 건지. 출신 대학에 따라 차별되는 직장이라던가, 연애나 결혼에서도 여실히 드러나는 신분의 계급 차이들은 입안을 텁텁하게 만든다. 주인공의 주변 인물들인 결혼한 동생이나, 친구들이 전해주는 현실도 씁쓸하기는 마찬가지다. 읽는 내내 불편하기만 했던 이 소설이 싫지만은 않다. 되게 속물처럼 보이는데 미워할 수가 없다. 너무 공감이 돼서 그럴지도 모른다. 지금의 나나, 내 주변의 이야기처럼 들리기 때문에 그럴지도...
감성에 젖지도 그렇다고 과장을 하지도 않았다. 덤덤하고, 담백하게 써내려가서 다행이라 생각한다. 만약 감성에 젖었거나, 과장을 했다면 많은 공감을 하진 못했을 거다. 이른바 세태소설이라 불리는 글들에 공감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냉정한 눈으로 바라본 현실 때문이라고 생각 한다. 완벽한 학벌, 탯줄이 스펙인 사람들을 우러러 보는 시대에 살고 있다. 모든 것이 사람들의 이기적인 생각에 생기는 욕망들이다. 감히 체감할 수 없는 것들이라 사람들은 더욱 이를 악물고 달려든다. 정작 현실은 비루하기만 한데 말이다. 보태고 더하지 않아도 씁쓸해서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본래의 몫을 다했다고 본다.
스펙 하나만을 위해 모든 것이 희생되어지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이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물론 재미있게 읽히지는 않을 거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현실을 낱낱이 고발(?)하는 이 소설에서 느낄 수 있는 통쾌함은 맛볼 수 있지 않을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이다. 여러 문학상들 중 그래도 나와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 여태 읽었던 수상작들이 대부분 괜찮았기 때문이겠지. <모던하트>로 한겨레수상작에 대한 믿음이 더 커졌으니 다음 수상작에 대한 기대는 긴 말이 필요 없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