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수사로 보는 범죄의 흔적
유영규 지음 / 알마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현장에서 직접 경험을 한 분들이 쓴 법의학이나 과학수사를 다룬 책을 여러 권 읽었었다.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할 것 같아 어렵게 느껴졌던 과학수사에 대한 인식을 많이 바꿔 준 계기가 되었었다. 생각보다 접근하기 쉬웠고 웬만한 스릴러 소설보다 더 재미있게 읽혀서 자주 찾아봤었다. 이번에 알마에서 나온 <과학수사로 보는 범죄의 흔적>은 기자가 쓴 책이다. 워낙 기자가 쓴 글들을 좋아하고 관심 있게 지켜봤던 과학수사에 대한 책이라 고민 따위는 필요 없었다. 알마에서 이런 범죄 수사에 대한 책을 많이 출간해주는데 앞으로도 계속, 꾸준히 만나봤으면 좋겠다.

 

피의자의 자백에 의존하여 범죄를 해결하던 옛날 수사 방식과 달리 요즘에는 범죄 현장에서 채취한 증거를 통해 보다 완벽한 수사를 바탕으로 하는 과학수사가 많이 발전했다. 과학수사에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 단순히 범인을 찾고, 사건의 전말을 밝히기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여러 개의 조각을 맞춰야 완성되는 하나의 퍼즐처럼 다양한 학문을 만날 수 있는 분야이다.

 

세계의 어느 나라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발전된 우리나라의 과학수사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낯선 분야다. 사회적으로 과학수사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해도 아직은 불편한 현실. 열악한 국내 환경은 많이 씁쓸하다. 저자의 직업이 기자이니 투철한 직업 정신으로 국내 환경에 대한 절절한 글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챕터의 짧은 글로는 아쉬운 마음을 달래기엔 부족하기만 하다. 누가 하나라도 더 얘기하고 상기시켜야 한번이라도 더 귀를 기울여 주지 않을까.

 

국적을 불문하고 수사물 드라마를 워낙 좋아하는데 읽다 보니 국내 수사물 드라마에서 다룬 사건들도 여럿 보인다. 각색을 많이 해서 원래의 사건과는 많이 틀리지만 화성 우음도 살인사건이라던가, 어디선가 분명 본 기억이 있는 바다에서 건져낸 잘린 사람의 손이 나오는 사건 등. 숨겨진 뒷이야기를 보는 것 같아 새로웠다여러 책에서 많이 보았던 사례들도 있었고 당연히 있을 것이라 예상했던 화성부녀자연쇄살인사건은 없어서 조금 의외였다. 그 사건에 대해 기자의 시선으로 바라 본 이야기가 궁금했는데... 무엇보다 다른 책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2000년대 이후의 사례들이 많아서 좋았다. 최근의 일들이라 방송매체에서 다뤄진 사건들은 기억하기도 쉬웠다.

 

자살이든, 타살이든 누군가의 죽음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죽음이 일어난 범죄 현장이나 과학수사에 대한 이야기들이 재미로 읽혀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통해 보다 발전된 수사 기법을 개발해내고, 범인들을 꼭 잡아 억울한 죽음을 없애야 하기 때문이다. 과오를 들춰내고, 깨달아야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는 것처럼 과학수사에도 그런 것들이 필요하다.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