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일기Z 밀리언셀러 클럽 132
마넬 로우레이로 지음, 김순희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비가 대세다. 최근에 영화 월드 워 Z’15세 관람 등급으로 개봉하면서 좀비에 대한 선입견이 조금 옅어진 것 같다. 잔혹하고 더럽고 끔찍한 좀비가 가족영화(?)의 소재로 쓰인건 정말 대단한 사건이자 발전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좀비에 대한 시선도 예전에 비해 많이 너그러워진 것 아닐까. 이런 상황에 때맞춰 눈에 띄는 색다른 종말소설이 나왔다. 원인불명의 바이러스로 생긴 언데드들로 인해 세상이 서서히 종말을 거치면서 한 남자가 처절하게 겪게 되는 생존기이다.

 

제목처럼 주인공 의 일기를 모은 글이다. 전기가 끊기기 전까지는 인터넷의 블로그 형식으로, 전기가 끊기고 나서는 직접 손으로 쓴 일기 형식으로 진행된다. 러시아에서 시작된 원인불명의 바이러스는 세계로 퍼져 나가지만 언론 통제로 질병의 정체를 알기는 힘들다. 하지만 인터넷으로 질병의 정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의 주변도 그 질병에 점점 잠식되어 가는데...

 

내 앞에 당장 인류가 멸종하고 세상의 종말이 다가온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그런 면에서 책 속의 주인공은 보통 사람보다 용기가 많은 편인 것 같다. 국가에서 마련해주는 안전한 보금자리를 마다하고, 험난한 피난 생활이 예상됨에도 혼자 스스로 생존을 위한 선택에 후회하는 모습은 볼 수 없었다. 홀로 남겨져서도 대단한 활약을 펼치는데 보통 평범한 사람은 아닌 것 같다.

 

좀비라는 말이 대놓고 등장하지 않아도 언데드의 정체가 무엇인지는 충분히 알 수 있다. 생김새나 하는 행동을 봤을 때 틀림없이 좀비가 분명하다. 좀비가 식상해 보여도 좀비를 다룬 작품마다 조금씩의 특징은 있기 마련이다. 좀비가 등장하는 컨텐츠들은 지금보다 조금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게 많다. <종말일기 Z>는 당장 현실의 종말을 다뤘는데 그래서 더 섬뜩하고 오싹하게 느껴졌나 보다. 다른 걸 떠나 좀비물이라서 그저 좋았지만 딱 하나 아쉬운 점 있다. 주인공 가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생활용품이나 필요한 기술들이 마치 종말을 준비한 것처럼 배치되어 있는데, 그게 조금 작위적인 것 같아 조금 불만

 

얼마 전 <좀비 그리고 생존자들의 섬>이란 국내 작가가 쓴 소설을 읽었다. 좀비만 가득한 세상에 홀로 남겨진 한 남자의 생존기였다. <종말일기Z>의 포맷도 비슷하다. 물론 작가들의 국적도 틀리고 무대배경도 틀리다. 두 소설의 다른 점에 따라 공감의 크기도 틀려지는지 모르겠지만 <종말일기Z>에서 생각보다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크지 않았다. 초반의 일기는 좋았지만 후반부의 일기는 그저 기록으로만 보여서 안타까워지기도 했고... 3부작의 시작이라는데 이후 이야기를 어떻게 이끌어나갈지 궁금하긴 하다. 아직 많은 이야기가 남았으니 처음부터 실망하기엔 이른 것도 같고. 아무튼 다음 편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