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서의 역사 - 역사 속 억압된 책을 둘러싼 모든 이야기
베르너 풀트 지음, 송소민 옮김 / 시공사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눈으로 직접 볼 수 없는 것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은 어마어마하다. 그 대상이 무엇이 되었든 금지하면 금지할수록 그것에 대한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생각에 호기심은 더 깊어지기 마련이다. ‘책’이라면 어떨까. ‘금서’라는 단어 하나에 눈이 번뜩 뜨이는걸 보니 책 좋아하는 사람은 모두 좋아할만한 소재인 것 같다.
금서에 대한 역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금서의 기준은 사회가 변함에 따라 틀려지겠지만 어느 시대에서나 존재했다고 생각한다. 시대에 발맞춰 변화된 기준들은 현재에 살고 있는 내가 납득하기 힘든 경우도 많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사회가 변했으니 이해할 수 없는 기준들이 있다는 얘기는 당연한 것이다. 차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금서로 정해지는 이유도 가지각색이다. 전 세계적으로 존재했던 금서에 관한 역사와 문화, 시대상 등 금서를 통해 세계사도 살짝 엿볼 수 있다.
자살을 옹호한다는 이유로 금서가 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던가, 음란한 장면 하나 없이 포르노그래피의 진수라는 말을 들은 ‘로리타’ 등. 지금 시대에 고전이라 칭하며 오랜 시간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사랑받는 책들도 다수 보인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가 쓴 ‘로리타’는 현재 불쾌한 주제를 대단한 문학적 감성으로 다룬 예술작품이라 불리지만, ‘로리타’의 수난은 그 시대를 대변할만한 금서의 기준이었다.
몇 년전, 우리나라에서도 ‘국방부불온서적’이라고 해서 리스트가 발표되자마자 책이 불티나게 팔린 적이 있다. ‘북한 찬양’, ‘반정부, 반미’, ‘반자본주의’라는 이유로 대중서, 교양서, 베스트셀러를 가리지 않고 23권을 불온서적으로 선정하여 군대에 반입을 금지했다. 하지마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게 사람인지라 호기심에 몇 권 읽어본 기억이 있다. 국민의 기본권 침해라고 말도 많았는데 이처럼 지금 이 시대에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이 땅에서도 금서란 분명 존재한다. 이런 경우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되는 얘기이고 지금 현재는 담배나 술, 건강을 해치는 위험한 요소들 때문에 금서의 이유가 된다고 한다. 담배나 술이 등장하는 장면이 다른 걸로 대체가 되기도 하고 삭제가 되기도 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다.
한때는 금서라고 억압받고, 차별받던 책들의 숨겨진 이야기들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너무 유명한 고전들을 빼고는 전부 생소한 책들이라 집중하기엔 조금 힘들었다. 전문서적을 보는 것 같은 딱딱한 문체도 수월하진 않았고. 처음 접하는 책들과 딱딱한 문체로 조금 긴 호흡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금서를 당했던 이유 때문에 궁금해지는 책들도 많다. 그 시대에 어울릴만한 금서의 기준처럼 보여서 궁금하다. 많은 책들을 직접 읽을 수는 없어도 숨겨진 비밀들에 알 수 있어 좋은 배움의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