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명탐정들
정명섭.최혁곤 지음 / 황금가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상적인 표지와 제목, 책 소개까지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엔 이만한 것도 없어 보인다. 조선시대를 살았던 명탐정이라니. 탐정이라 하면 범죄사건을 해결하는 사람인데 조선시대에도 그런 사람이 존재했다 하니 신기할 수밖에. 어느 시대에나 사람들 주변엔 늘 범죄가 끊이지 않았나 보다. 그 시대에 실존하고 활약했던 탐정이라 불릴만한 인물들이 누가 있었을까.

 

13장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장마다 소설로 재구성한 사건 도입부와 사건을 해결했던 인물을 소개하고 있다. 더불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탐정이나 경찰도 소개되어 알찬 구성이다. 이런 기획은 국내에서 참 보기 힘든데 비교해가며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그 시대에 실존했던 인물들 중에 탐정이라 불릴만한 인물은 정약용밖에 생각이 나질 않았다. 조선 말기의 실학자였던 정약용. 정약용하면 떠오르는 탐정이라는 이미지는 지금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만들어낸 게 아닌가 싶다. 물론 책에도 나와 있는 것처럼 똑똑한 머리로 정조를 도와 많은 미제사건을 해결하긴 했다. 하지만 탐정이란 이미지가 많이 부각된 건 영화나 드라마에서 그렇게 많이 그려졌기 때문이 아닐까.

 

예나 지금이나 강력범죄는 사회 정의 실현에 반하는 일이기 때문에 국가가 나서서 대응한다. 범죄의 동기, 수법, 범인 찾기 등 사건 수사에 필요한 모든 책임은 국가에 있기 마련이다. 지금과 많이 달라 과학수사라는 말을 꿈에도 꿀 수 없었던 시대. 그래도 현명하고 획기적인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하고 시체를 부검한다. 독살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은비녀를 사용했다고 하니 나름 굉장히 과학적이다.

 

탐문수사도 했고, 범인의 심리를 이용하기도 했고, 이미 부패한 시체를 꼼꼼하게 부검도 해서 범인을 색출하는 과정들은 놀랍다. 생각보다 현명하고 지혜로운 방법으로 범죄해결에 나섰던 조선의 명탐정들. 억울한 누명도 벗겨주고, 범인을 잡아 죗값을 묻는 이 과정들이 어느 것에 하나 치우치지 않고 생각보다 공정하게 이루어진 것도 같다.

 

지금이야 법 제도를 기반으로 해서 사건 해결에 미흡한 점은 많이 없지만 그 시대에 완벽한 사건해결은 아마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실존했던 인물들의 노력과 열정으로 미제사건으로 남지 않았다. 이보다 훌륭한 업적이 어디 있을까 싶다. 우리 조상들의 색다른 면모로 큰 재미를 주었던 <조선의 명탐정들>. 앞으로 이런 재미있는 기획들을 자주 만날 수 있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