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긴 잠이여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0
하라 료 지음, 권일영 옮김 / 비채 / 2013년 10월
평점 :

솔직히 전작들을 읽어보질 못해서 책에 대한 기대는 많이 없었다. 하지만 많은 독자들이 눈이 빠지게 기다리는 이유는 분명 있을 것 같아 어떤 매력이 있을지 호기심이 동했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안녕, 내 사랑>과 <빅 슬립>에서 모티브를 따온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작가의 필립 말로에 대한 애정은 남달라 보였다.
오랜만에 ‘와타나베 탐정 사무소’로 복귀한 사와자키. 일 년이 넘게 도쿄를 떠나 있었지만 허름한 사무실은 변함없이 그를 반겼다. 그리고 사와자키를 반겨주던 낯선 인물. 의뢰인의 전언을 전해주기 위해 사와자키를 기다리고 있던 노숙자였다. 그에게 받은 명함의 뒷면에 적힌 연락처로 전화를 시도하지만 의뢰인과 연락이 되질 않는다. 명함의 앞면에 쓰여 있던 전화번호로 연락을 하게 되고, 명함의 주인이 뜻밖의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고시엔 야구대회에서 승부조작 루머로 야구를 그만두게 된 아키라는 11년 전 자살로 마무리 된 누나의 죽음을 의심한다. 그 사건을 재조사하기 위해 사와자키에게 의뢰하게 되고 아키라의 피습으로 사건은 혼란스러워진다. 하나의 사건에 집중하지 못하고 사건들이 복잡하게 꼬여있어서 이걸 다 어떻게 풀어나갈까 걱정 아닌 걱정도 했었는데 차근차근 하나씩 풀어나가는 사와자키를 보니 괜한 기우였나 보다. 사건 해결의 중요한 인물이 갑자기 등장해서(그것도 너무 우연하게) 재미가 조금 반감되기도 했지만 괜히 쓸쓸하게 만드는 사와자키의 매력은 충분히 차고 넘친다.
호출기도 없었던 시대 전화로 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곳이 존재 한다. 지금 시대와 전혀 다른 연락 수단인데도 위화감은 느껴지지 않는다. 오히려 소설 속 분위기와 너무 잘 어울렸다. 그리고 시도 때도 없이 등장하는 담배와 더불어 쓸쓸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한 몫 단단히 하더라.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는 알아도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어 하라 료의 사와자키에게서 풍기는 고독을 크게 공감하지 못하겠다. 고독하고 쓸쓸한 탐정이란 건 알겠는데 필립 말로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모르겠단 소리다. 하드보일드에 대한 간결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겠다고 하는 옮긴이의 말에 깊은 공감이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과작 작가라 필력에 대한 의심은 없었다. 독자들의 한없는 기다림에도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소설을 읽어보질 못한 게 많이 아쉬워지기도 했지만 쓸쓸한 분위기 하나로 사로잡았던 탐정 사와자키라서 좋았다. 이런 고독한 탐정은 언제나 환영이다. 탐정소설은 고독하면 할수록 느껴지는 재미는 한층 더하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