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끝의 기적 - 시각 장애 아이들의 마음으로 찍은 사진 여행 이야기
인사이트 캠페인을 만드는 사람들 지음 / 샘터사 / 2014년 2월
평점 :

언제 어디서였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시각장애인들이 찍은 사진을 본 적이 있다.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한 사진에 코끝이 알싸해졌다. ‘인사이트 캠페인’이란 걸 책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다. 시각장애인들에게 카메라를 통해 세상과의 소통을 위한 희망을 열어주고자 한 이 캠페인은 벌써 두 번째를 지났다. 앞이 보이지 않는 아이들에게 카메라 조작법을 가르치고, 아이들과 사진을 찍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손끝의 기적’은 이 두 번째 캠페인을 담은 책이다.
책 속의 아이들이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한 ‘사진’은 정말 특별하다. 앞을 볼 수 없는 아이들에게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 보이기 때문이다. 시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들을 예민하게 세워 귀를 기울이고 예민한 손끝으로 만져보고 사진을 찍는다. 일반인들보다 많이 느려도 손끝으로 피사체를 마주하는 그 순간만큼은 우리와 별반 틀린 것이 없다.
보통의 세상에서 조금 비껴있는 아이들은 그저 사진을 보이는 대로 보는 것이 아닌 사진 전부를 느껴보라고 얘기하는 것 같다. 한번 슬쩍 보고 마는 사진이 아니라 사진을 넘어서는 무언가를 느끼게끔 말이다. 그저 멋있고 예쁜 것만 사진에 담는 줄 알았지, 이렇게 가슴까지 시큰해지는 사진을 찍는 법은 몰랐다. 진정 이 아이들이 사진을 즐길 줄 아는 게 아닐까.
보통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사진을 얻기 위해 이 아이들은 수 십장, 수 백장의 사진을 찍지 않았을까. 보통의 편견에서 자유롭지 못함이 이 아이들 앞에서 많이 부끄러워진다. 아이들은 보이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한다. 그 말에 코끝이 알싸해진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느낄 수 없다고는 생각 안했는데 우리보다 더 많은 걸 가슴에 품고 사는 이들이란 걸 깨달았다.
사진은 예술의 일부분이라고 말한다. 이 아이들을 보고 있으니 ‘예술이 뭐 별거냐’란 생각이 문득 든다. 보이지 않는 걸 사진으로 찍어도 그 순간 아이들이 느낀 감정들은 고스란히 나에게 전해진다. 사진 한 장으로 이 아이들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걸 보면 예술이란 거창한 이름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 책 한 권으로 끝나는 여행이었지만 그보다 더 많은 걸 느끼게 해 준 아이들의 사진이었다. 찡해지는 코끝은 아이들이 사진과 함께 전해주는 선물이다. 이렇게 특별한 사진을 볼 수 있게 해준 아이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꼭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