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의 탄생
이설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결혼하고 시간이 흘러도 아기가 생기지 않는 사람들이 하는 게 입양이라고 생각했다. 주위에 난임으로 고생하고 있는 친구도 봤고, 친척 중 입양으로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분도 계시고, 아직 계획은 없지만 능력이나 조건만 된다면 입양을 생각하고 있는 내남자도 있고. 어쩌다 보니 보통 사람들보다 입양에 대해 생각할 만한 시간이 많았던 것 같다. 무조건 반대라며 손을 드는 편은 아니어도 마음이 살짝 기우는 건 어쩔 수 없는가 보다.
여기 불임이 아닌데도 입양을 해서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는 한 가족이 있다. 첫 아이, 주하는 신생아일 때 데려와 크는 모습을 모두 지켜봐 왔고, 미루는 어느 정도 성장한 뒤 주하의 누나로,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참 대단한 게 이들 부부의 용기라고 생각한다. 입양은 누구 혼자만의 결정으로 이루어질 사항이 절대 아니다. 부부간의 서로 오랜 시간 이해와 토론 끝에 이루어져도 참 대단하다 하겠는데 이들 부부의 가족들까지 따뜻하게 이해해준다.
내 아이를 낳아 키우는 것과 입양을 통해 만난 아이를 키우는 것이 무엇이 틀릴까. 내 속으로 낳지 않았어도 똑같은 내 새끼인데. 입양은 가슴으로 낳는다는 말이 있다. 처음에는 그게 무슨 뜻인지 이해를 잘 못했는데 책을 읽다 보니 그런 말이 왜 나왔는지 알겠더라. 말로 설명할 순 없어도 가슴으로는 백번, 천번 이해가 된다.
아직 우리나라는 공개입양에 너그러운 시선을 보내지 못한다. 그렇다고 입양아를 키우며 생기는 문제를 마음 털어놓고 시원하게 풀 수 있는 곳도 없다. 주위의 냉담한 시선은 그들도 견디기 힘든 거다. 정말 큰 용기로 아이들을 입양했지만 씁쓸한 현실에 그들 스스로 담을 쌓게 되는 게 아닌가 싶다. 책 말미에 작가가 안타까운 현실에 대해 구구절절 늘어놓은 말들에 짠해지는 마음도 든다. 열여덟 살에 강제로 어른이 되는 시설의 청소년들 이야기는 참 씁쓸하다. 씁쓸하다 못해 화가 슬며시 돋기도 하고.
주하와 미루를 통해 엄마로 성장해가는 미담에 흐뭇해진다. 소소한 에피소드들을 통해 그들의 삶을 잠시 엿본 시간은 한 없이 따뜻했다. 입양이 언젠가 이들 가족에게 아픔을 줄지 모른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마냥 외면할 수는 없는 문제이니까. 그래도 여태 해온 것처럼 현명하고 올바르게, 넓은 마음과 깊은 이해심으로 마주하면 그 통증은 언제 아팠는지도 모르게 사라질 거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