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치도록 가렵다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44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4년 6월
평점 :
형설중으로 전학과 전근을 온 학생과 선생님이 있다. 사건과 사고로 조용한 날이 없던 도범은 학교에서 퇴학 대신 전학을 권고 받는다. 아버지의 눈물에 독하게 마음을 먹고 형설중으로 전학을 왔다. 도범에게 화려했던(?) 과거의 모습을 감추고 지내기란 생각보다 어렵다. 소문이 자자했던 ‘깡’이어서 그런지 선배고 친구고 자꾸 도범을 도발한다. 도범은 이를 악물고 버텨 보는데 잘 버틸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
수인은 남자친구 율과 상견례까지 했는데 결혼 얘기가 없어 불만이 차곡차곡 쌓인다. 사회적 지위와 자신의 커리어에만 관심이 많은 남자친구 율. 결국엔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공부를 하기 위해 외국으로 떠나는 그를 수인은 잡지 못한다. 문자 통보뿐인 이별도 초라하기 짝이 없다. 정녕 율과는 이별인걸까. 제일 가까운 사람이라 믿었던 남자친구와의 관계도 불안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학교에서 사서교사로서의 낯섦이 너무 불안하다.
이야기는 ‘깡’도범과 수인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오는 불안이 한참 사춘기를 지나고 있는 도범과 익숙한 세상이지만 아직도 낯선 세상에서인 수인의 눈을 통해 전해진다. 이들에게는 아슬아슬 위태롭게 흔들리는 이 불안을 시원하게 긁어줄 그 무엇이 필요하다. 그게 무엇인지 해답은 나와 있지 않다. 하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위로가 되고 위안이 되어 주는 모습을 보니 멀리서 찾을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읽는 내내 책 속의 글처럼 마음이 뭉글뭉글 뭉쳐지는 것 같다. 모난 모서리를 힘껏 내밀며 콕콕 찌르던 것들이 조금씩 다듬어져 둥글둥글해지니 내 마음도 뭉근해진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안고 사는 불안이 나라고 가벼울리 없겠지만 이렇게라도 살짝 덜어내야겠다. 도범과 수인이 함께 하는 독서회의 모습이 떠올라 흐뭇한 미소가 절로 피어난다. 어질더질 더 이어질 것 같은 이들의 이야기가 짧게 끝나버려 아쉽다. 미치도록 가려운 우리에게 한 템포 쉬어갈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줘서 잠시나마 그 가려움을 잊었나 보다.
p.216 "그애들이 지금 을매나 가렵겄냐. 너한테 투정 부리는 겨, 가렵다고 크느라고 가려워 죽겄다고 투정부리는데 아무도 안 받아주고, 안 알아주고 가려워서 제 몸도 못 가눌 정도로 몸부림 치는 놈들한티, 대체 왜 그러냐고 면박이나 주고, 꼼짝없이 가둬놓기만 하는데 어떻게 전딜 수 있겄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