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
은유 지음, 임진실 사진 / 돌베개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교사로 살아가면서 아이들을 고등학교에 진학 보낼때 

나는 어떤 마음 이었을까?
중3 어린 아이가 자신의 삶을 선택 할 때 나는 그것을 어떻게 하라고 할 수 있을까?
돌이켜 생각해 보니 그 아이들의 삶에 내가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2015년 중3 담임을 할때 미용고등학교를 보낸 친구는 지금도 가끔 연락을 받는다. 

이녀석은 중3때 그렇게 힘들어 하더니 고등학교 가서는 적응을 잘했는지 학교를 졸업했다고 한다. 
그친구가 한 말이 아직도 내 귀에 맴돈다. 

샘!! 다른 모든 선생님들이 제가 미용고등학교를 가면 적응 못한다고, 학겨 교칙을 어겨서 제대로 졸업도 하지 못할 것이라고 할 때 샘은 제가 학교를 잘 적응할 거라고 네가 졸업 할꺼라고 말을 해주면서 믿어 주었어요. 

이렇게 말을 해 준다. 

그래 생각해 보면 아이들이 세상을 살아갈 때 자신을 온전히 믿어주는 사람 한명 있다면 분명 그들을 세상을 살아갈 용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사람의 역할을 학급 담임이 할 수 있다는 것은 어쩌면 온세상을 다 가진 것과 같은 기쁨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온다는 것은 그저 한 순간의 사건이 아니라 온 우주가 오는 대단한 사건이다. 그의 삶과 내삶이 서로 마주 친다는 것은 그 어느 순간보다 소중한 것이다.



아이들이 어떤 문제가 있으면 담임 선생님을 찾아요.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보의 재탄생 - 노회찬과의 대화
노회찬 외 지음 / 꾸리에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년 더운 여름 어느날 그의 죽음을 전하는 뉴스를 접했다. 


그 순간 말을 잊지 못했고 잠시 멍하게 있었다. 

이후 생각을 다시 했을 때는 자꾸 눈물이 나왔다.

옆에 있던 선생님들이 왜 우냐고 물어 보고 그렇게 슬프냐고 한다. 


그렇다 많이 슬펐다. 

그의 죽음이 한 사람을 이제 더이상 볼 수 없기 때문에 슬픈것이 아니라

길지 않은 노동조합 생활을 하며 그의 존재는 큰 버팀목 같았다. 


그런데 그가 한 순간에 사라졌다.

마치 지금까지 기대온 벽이 허물어 지듯이

마음이 지치고 힘들 때 잠시 손을 짚고 쉬기도 하고 

등을 기대 하늘을 바라 보기도 했던 그 벽이 허물어 진것이다. 


한참을 생각해보고 한참을 돌아 보다 이제 다시 현실로 왔다. 

그리고 그와 대담을 나눈 진보의 재탄생을 읽기 시작했다. 


몇번을 손에 들고 더 읽지 못하고 멈추었으며 몇줄을 더 읽어 내려가지 못했다. 


그렇게 그의 죽음은 나에게 큰 아픔이었다.

몇 년 전 그를 만나 이렇게 물었었다. 정치를 통해 어떤 세상을 만들고 싶으냐고, 한 마디로 와 닿게 대답해 달라고, 그는 삶의 보편적 질을 언급하며 이렇게 답했었다. "모든 국민이 악기 하나쯤 연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싶다고. - P1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좀비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은 자신만 바라보는 노예를 만들고 싶어한다. 

그는 그 방법으로 좀비를 만들어 자신만의 노예를 만들고 싶어한다. 

좀비를 만드는 방법으로 전두엽을 절제하는 수술을 하기위해 의학 서적을 공부하고 주변에서 그런 좀비의 제물을 물색해 시술을 한다. 하지만 번번히 실패하고 그들의 사체를 처리한다. 


이렇게 살인자의 시점으로 소설을 전개해 나간다. 

마치 "살인자의 기억법"과 같이 소설의 주인공을 악인으로 설정했다. 어쩌면 이 소설이 살인자의 기억법 보다 먼저 나온 소설이니 이 플롯을 살인자의 기억법이 따라 한것일까? 그건 내가 따질 문제가 아니다. 나는 잘 모르니...


여튼 소설속에서 철저하게 악인으로 살아가며 고독을 일상생활하 하고 있는 주인공 어쩌면 그는 그 일상 생활의 고독을 이기기 위해 자신만을 위한 "노예=좀비"를 만드려고 한 것은 아닐까? 


소설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법의 심판을 받지 않는 주인공을 보면서 그냥 속으로 당혹감을 느낀다.

다람쥐의 기념품이다. 그의 돼지꼬리에서 뽑은 갈색 나는 금발과 내 머리카락 몇 올을 가죽 끈과 붉은 실로 엮어 만든 팔찌다. -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마 - 한 사제의 구마 실화
가브리엘레 아모르트 지음, 남기옥 옮김 / 성바오로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적 부터 초현상에 대한 흥미가 많이 있었다. 

에소시스트, 오멘 등 다양한 영화를 보며 더 흥미를 많이 가졌다. 


물론 난 종교가 없다.

그래도 너무 궁굼하길래 카톨릭 출판사에서 나온 책 한 권 사서 보았는데 

책 내용은 그냥 평범하다고 생각이 든다. 


기독교에서 나온 책이나 카톨릭에서 나온 책니나 비슷하다고 생각이 든다. 

물론 두 종교를 믿고 있는 각자의 사람들에게는 기분 나쁘겠지만 

종교가 없는 나로서는 차이를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
김도연 지음 / 열림원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지금 내 앞에 20년 전 마음 속에 간직한 친구가 서 있다면...


나는 어떤 말을 할까?

어떤 표정을 짖고 있을까?


그것 참 어려운 질문이다. 그리고 내가 답을 하는 것은 더 어려울 것이라 본다. 

소설가는 어떤 마음으로 글을 써 내려 갔는지 모르겠지만

마음 절절하게 소설을 읽어 갔다. 


그렇게 마음과 마음이 연결되는 순간이 있지 않을까?

지금 당장 전화를 걸어 만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이 행복이라 하겠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고 해서 행복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지나간 추억은 오래된 일기장과 같아서 그것을 꺼내 볼 때 아련한 추억이 쌓여 간다.

"이제 그만 지지고 볶으러 집으로 가자." - P2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