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혜성 - 칼 세이건의 우주여행
칼 세이건·앤 드루얀 지음, 김혜원 옮김 / 해냄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혜성은 태양에 접근해 수백 번 정도 깜바거리고는 마치 불꽃 주의의 나방들처럼 죽어버린다. 그러나 태양계 주위에는 막대한 혜성창고가 대기하고 있다. 현재의 성분 배치가 알아볼 수 업을 정도로 바뀔 때도, 지구가 팽창하는 태양에 먹힐 때도, 노망이든 우리별이 새카맣게 타버린 이 행성의 잔재에 희미한 빛을 비출 때도, 그때에도 성간의 어둠에서 막 도착한 어린 혜성들이 무모하게 근일점을 통과하면 하늘은 여전히 밝을 것이다. 태양게의 나머지가 죽고, 인류의 후손이 오래전에 이주했거나 멸종했을 때도 혜성은 여전히 이곳을 찾올 것이다.
-본문중에서-
이 책은 인간 존재 이전부터 있어왔던 혜성에 대해서 탐구한다. 혜성의 기원과 운명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접근하며 우리가 혜성에 대해 어느 만큼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밖에 무엇이 더 가능할지 짐작해 보고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혜성에 대한 인간들의 이해와 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교보문고-
---------------------------------------------------------
천문학에 빠진적이 있었다. 아니 좀더 정확히 말하면 천문학이 아니라 천체 물리였을 거라 기억한다. 17살 그때 우주에 대한 동경과 우주를 너무 좋아하는 그런 날이 있었다.
지금도 난 우주를 좋아한다. 우주를 보는 것 만으로도 그리고 느끼는 것 만으로도...많은 걸 얻을 수 있고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난 우주가 좋다.!!!
어느날 '칼 세이건'의 혜성이라는 책이 나왔다는 이야기를 듣고 무척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고 책을 산지 5개월....그 시간동안 물론 다른 일을 한것도 있지만...대채로..책을 읽지 않았다. 혜성에대한 관심이 적어서 인가? 아님 우주에 대한 나의 동경이 사라진걸까? 스스로에게 자책을 해봐도 아직 그 이유를 모르겠다.......
하지만 책을 읽는 동안 약간의 지루함을 이기지 못한건 사실이다. 책의 내용은 아주 많은 걸 내포하고 있는데 다소 약간 아쉽다...... 음 고추가루가 빠진....음식이라고 해야 할까? 책의 전반적 내용이 아주 매끄러운데....이상하게 좀 무언가 빠진 듯한 느낌이다. 그렇지만 책속에서 혜성에 여러가지 이야기를 보면서 내가 미처 알지 못한 혜성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가질 수 있었고.....많은 유익함을 주었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