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칸트철학 입문 - 개정판 ㅣ 중원문화 아카데미 신서 26
W. O. 되에링 지음, 김용정 옮김 / 중원문화 / 2012년 5월
평점 :
철학 부전공 연수를 받으면서 강의하는 모든 교수님이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것이 칸트로 부터 시작 하라는 것이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다른 철학자 부터 공부를 시작하면 끝가지 못가는데 칸트 철학을 첫 시작으로 해서 공부를 하면 도중에 포기하지 않는다고 하며 꼭 읽어 봐야 하는 책으로 칸트의 3배 비판서를 추천한다.
(1) 순수이성 비판
(2) 실천이성비판
(3) 판단력 비판
이렇게 3권이다.(번역본에서 순수이성 비판은 1, 2로 두권이다.)
칸트의 철학적 물음은 "인간은 무엇인가?"이다. 이 물음에 답을 하기 위해 "(1)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 가?"라는 인식록적 물음과 "(2)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라는 도덕론적 물음, 그리고 "(3)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라는 종교론적 물음이 물어지고 대답을 해야한다. 칸트는 그 대답으로 (1) 순수이성 비판, (2) 실천이성 비판을 통해 답을 내어 놓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밖에 있는 취미론을 (3) 판단력비판으로 답을 냏어 놓은 것이다.
앞으로 이 책들을 하나씩 읽어 갈 예정이다. 물론 이해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냥 읽어간다는 것이다. 약 3년 정도 걸리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ㅎㅎㅎ) 여튼 그 긴 여정의 시작을 간트철학 입문으로 시작해 보았다.
생경한 언어들 그리고 쉽게 다가오지 않는 문장들과 표현들이 많다. 철학책을 읽으면서 들은 생각이 있다.
순수 이과인 물리학을 전공한 나는 세상을 수학으로 본다. 다시 말해 수학으로 글을 쓰고 그 의미를 찾아간다. 그런데 철학자들은 글을 쓰고 그 안에서 수학적인 논리를 찾는것 처럼 보인다. 책을 읽는 어느 순간부터 그렇게 보이기 시작했다. 문장구조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튼 글을 쓴 사람이 어떤 논리 구조를 가지고 쓰고 있는지 그리고 왜 이 문장이 여기서 나오는지를 계속 생각하며 글을 읽게 된다. 마치 물리 책을 읽다 보면 수식이 나오는데 그러면 우리는 그 수식을 보면서 왜 여기서 (-)를 붙였는지 왜 지수함수를 써야만 하는지 또는 사인함수를 쓰는지 그리고 어쩔 때는 허수(i)를 사용해서 표현해야 하는지 그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철학책도 그렇다.
요즘 갑자기 할것이 너무 많아 졌다. 과학의 고전들 물리학을 비롯한 많은 책들도 하나 둘씩 읽어야 하고 차근차근 모아 둔 철학 책도 읽어야 한다. 그러기에 하루 24시간이 너무 부족하기는 한데 그래도 마음은 설레고 있다.
앞으로 읽어야 하고 생각해야 하고 알아가야 할 것이 많이 남아 있다.
지금 이 순간 참 기대된다. 그리고 새로운 여정에 흥분된다. 그 첫 여행의 시작 [칸트 철학 입문]으로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