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 지구상 가장 찬란했던 진화와 멸종의 연대기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양병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2월
평점 :
공룡은 멸종 먼 예날 지구에서 종적을 감추었다.
그들이 종적을 감출 때 지구는 운석이 충돌하였고 그 충격으로 인해 공룡이 잠적했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서 이전에는 잘 알지 못했는데 이 책에서는 꽤 구체적으로 근거를 제시하면서 설명을 한다.
간단히 말하면 백악기-고제3기 경계를 중심으로 그 이전의 지층에서는 공룡화석이 발견되지만 그 이후에는 공룡화석이 발굴된적이 없다. 그런데 그 고제3기의 지층이 오랜 시간동안 퇴적된 층이 아니라 어느 한순간의 퇴적층이라는 것이다. 물론 지구의 역사를 이야기 할 때 어느 한순간은 우리의 삶보다는 긴 시간이다. 그리고 고제3기는 전 지구적인 퇴적층으로 지구의 어느 한곳에만의 현상은 아니라는게 저자의 주장이다.
책을 읽으면서 무언가 해소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물론 저자도 다른 해석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을 한다. 과학은 99%가 확실하다고 하더라도 1%의 가능성 때문에 확실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이것은 아마도 경험주의 학문이 가지고 있는 한계일 것이다.
이제 공룡의 역사를 잠시 엿보자.
저자는 현재 지구에는 공룡의 후예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멸종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서 우리와 함께 살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현재 우리 주변에 있는 새들은 공룡이 진화를 하며 생존한 것이다.
그 근거로 깃털달린 공룡을 이야기 한다. 그가 지칭한 새의 조상은 수각류이다. 이 수각류 공룡중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것이 T-렉스, 벨로키 랍토르 등의 육식 공룡이다. 그가 연구한 것에 따르면 T-렉스의 폐는 독특한 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은 현재 조류에서 보여주는 공간으로 새는 들숨 날숨모두 산소가 포함된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에서 만 발견되는 뼈의 구조 등이 이 육식공룡들이 새의 조상이라는 것을 증명한다고 말을 한다.
또한 공룡에게 털이 있었으며 이것이 나중에 깃털로 진화를 했다는 것이다. 특히 처음 공룡의 깃털은 날기 위함이 아니라 무언가 아름답게 보이거나 위협을 하기 위한 구조라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살고 있는 새들도 비슷한것 같다. 닭이 그렇고 타조가 그렇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보는 공룡들의 생활이라는 것은 어쩌면 새들을 연구한 결과 만들어지는 모습이라는 생각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