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 없음의 과학 - 세계적 사상가 4인의 신의 존재에 대한 탐구
리처드 도킨스 외 지음, 김명주 옮김, 장대익 해제 / 김영사 / 2019년 11월
평점 :
4명의 무신론자들이 모여서 서로의 대화를 하는 내용을 묶어 놓은 책이다.
대화록은 그렇게 재미 있지 않았다.
역시 즉흥적으로 무언가를 이야기 하는 자리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은 거의 비슷한 수준의 것이라 생각이 든다.
하지만 4명의 대화에서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은 리처드도킨스가 가장 종교에 대해서 강하게 반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비하면 내가 가진 무신론은 그냥 말장난 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그의 주장에 마음이 따라간다.
신을 믿든 신을 믿지 않던 그것 보다 중요한 것은 삶을 살아가는 그의 자세라고 본다.
삶을 살아갈 때 그 모든 책임이 나에게 있다는 것을 느끼고 생각한다면 신이 있건 없건 그 삶은 소중하다.
그런데 삶을 살아가는데 나는 무언가에 쓰임을 위해서 또는 내가 살아가는 것인데 나에게 책임이 없다고 생각을 한다면 그 삶은 아무것도 없는 투명한것이라 할 수 있다.
아마도 4명의 무신론자들은 이 부분을 지적하고 싶었던것이 아닐까 한다.
책 제목은 신 없음의 과학이라고 붙이기에는 과학이 책속에는 거의 없다. 그냥 무신론자가 보는 유신론자들에 대한 비판? 이정도의 대화록으로 봐야 할것 으로 보인다.
그래도 최근에 요리조리 모아놓은 책들과 함꼐 신이 존재 하지 않는 것을 믿는 사람들이 더 당당하게 말을 할 수 있는 사회에서 살았으면 좋겠다. 신을 믿는 것이 그들의 자유인것 처럼 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도 그들의 자유이니까.
"뇌는 어떻게 주관적 의식을 만들까?""물리법칙은 어디서 오는가?""기본적인 물리상수는 어떻게 정해지고, 왜 그 상수가 우리를 탄생하도록 미세 조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까?""그리고 왜 아무것도 없는 대신 무언가가 존재할까?" 과학이 (아지) 이러한 질문에 답할 수 없다는 사실은 과학의 겸손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이것이 종교가 이 질문들에 답할 수 있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 - P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