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 나보코프와 이광수 혹은 백석

 

 

 

 

 

 

 

 

 

 

 

 

 

 

 

어제 나보코프의 일대기를 읽으면서 같은 시대 우리 문인들을 생각해보았습니다.

제국주의와 전쟁이 겹쳤던 시기, 우리로는 식민지 시대였던 19세기 말 20세기 초엽.

이시기의 지식인들은 거의 유랑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도 나오듯이 제정 러시아 시기에 상류층은 불어를 해야만

교양인 대접을 받았고, 사교계에선 일상적으로 불어가 통용되었어요. 이시기엔 불어가 고급 문화를 뜻하는 언어여서 독일도 상류층은 불어를 가르치려고 노력했죠. 우리나라에서 양반이 한문을 먼저 가르친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16세기에 몽테뉴는 라틴어를 먼저 배우죠.

나보코프도 유아기와 소년기에 영어와 불어를 배웁니다. 심지어 러시아어보다 영어를 먼저 배웠죠.

나치를 피해 유럽에 가고, 또 미국으로 간 나보코프는 이 때 배운 영어로 미국 생활에 성공적으로 정착합니다. 미국의 잡지에 기고하고, 교수 자리를 얻고, 영어로 소설을 발표합니다. 슬라브계 이민의 도움이 컸어요.

 

백석도 한문과 한학을 먼저 배웁니다. 이후 그는 일본으로 유학해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니, 영어와 일어를 배웠죠. 또 러시아어를 배웠어요. 윤치호도 한문, 영어, 불어, 일어에 능통했고, 이광수도 한문과 일어에, 이승만은 한문과 영어에 능통했죠. 식민지의 지식인의 유랑의 세월은 언어와 문화의 저변을 넓혔어요. 그러나 불행한 시대의 우리 지식인은 불행하죠. 갈 데가 없어요. 목숨을 건져서 자신의 명예를 건질 탈출구가 없죠. 나치 시대에 탈출했다고 독일 지식인을 나무라는 국민은 없습니다. 우리 지식인은 일본에 가서 작품 활동을 하면 매국노고, 폐쇄적인 동양 사회에서 한국 소설가나 문인이 자리잡고 살 데는 없어요. 오직 내나라에 갇혀서 강압으로 일제에 협력하는 길을 택합니다. 그들은 절망해서 일본의 세상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줄 알고, 점진적인 개량을 꿈꿉니다. 내선일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우리도 일본과 동등한 권리를 가지자는 주장까지 하게 됩니다. 이런 주장은 반민족적 생각에서 온 것이 아니라 민족을 구하자는 생각에서 온 것도 있습니다. 급기야 그들은  '친일반민족주의자'란 오명을 쓰고  맙니다. 우리의 갇힌 사고는 우리의 지식인을 구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그시기의 토마스 만도 나보코프도 나오지 못합니다. 우리는 그들이 우리랑 같이 역사의 몰매를 맞아 매몰되기를 바라죠. 후손인 우리가 그들에게 죽음을 요구할 권리가 있을까요?

 

 

나보코프를 읽으면서 참 안타깝다 생각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뱀>
 

김재혁

뱀의 몸뚱어리
비늘 하나 하나에 새겨진
땅과 하늘의
고통과 아름다움,
그 비늘 한 조각을 떼어내
책갈피에 끼우면,
논두렁 사이로 풍겨오는 비린내,

그 한 조각을 몸에 박고
책장 사이를 기어다닌다,
모든 문자를 배로 문지르며
오색찬란한 뱀으로의
환생을 꿈꾸는
나는,


김재혁 시집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에서

 

---------------------------

1

시인이 1999년에 낸 첫시집에 수록된 시다.

누군가의 젊은 날의 꿈을,

그것도 이뤄가고 있는 실현의 도정을 들여다보는 마음은 흐뭇하다.

 

머리에 하늘을 이고 온 땅을 배로 기어다니면서

세상의 고통과 아름다움을 비늘에 새기는 뱀을

은유어로 내세워, 시의 화자는 빛나는 시인이 되고자 하는

자신의 꿈을 말한다.

그가 살면서 섭렵한 모든 문자를 어루만지고 조탁해

땅과 하늘, 다시 말해 세상 모든 것들의 고통과 아름다움을

비늘처럼 편편이 시로 형상화하는-새기는- 그런 시인!

그리하여, 온 삶이 찬란히 빛을 발하는 시로 모자이크된 시인!

 

감히 말하건대, 이 시는 그 빛나는 한 조각이다.

시인과 뱀을 연결시켜 하나의 시적 알레고리를 만든 시적 발상은 놀랍다.

더우기 알레고리적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도 '한 편의 살아있는 그림'을 보는 듯한 조형적 형상화도 탁월하다. 이런 그만의  독창적 스타일이 젊은 날의 시에서 발아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시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데에 의미로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성의 고리
W. G. 제발트 지음, 이재영 옮김 / 창비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에 위치우위의 문화답사기<文化古旅>가 있다면 영국엔 제발트의 <토성의 고리>가 있다! 되블린의 학위자답게 몽타쥬기법이 가미된 독특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不是再见>



我们告别了两年
告别的结果
总是再见
今夜,你真是要走了
真的走了,不是再见

还需要什么?
手凉凉的,没有手绢
是信么?信?
在那个纸叠的世界里
有一座我们的花园

我们曾在花园里游玩
在干净的台阶上画着图案
我们和图案一起跳舞
跳着,忘记了天是黑的
巨大的火星还在缓缓旋转

现在,还是让火焰读完吧
它明亮地微笑着
多么温暖
我多想你再看我一下
然而,没有,烟在飘散

你走吧,爱还没有烧完
路还可以看见
走吧,越走越远
当一切在虫鸣中消失
你就会看见黎明的栅栏

请打开那栅栏的门扇
静静地站着,站着
像花朵那样安眠
你将在静默中得到太阳
得到太阳,这就是我的祝愿

 

----------------------------

* 옮겨 봅니다.

 

우리들이 이별의 뜻을 전한 지 두 해가 흘렀다.

고별의 결과는

으례 안녕을 고하는 결별로 끝나지.

오늘 밤,  너는 곧 떠나야 하고,

이제 정말 떠났다. 하지만 난 안녕이라고 하진 않겠다.

 

떠날 때 뭐가 더 필요하지?

손은 차가왔고 손수건은 없었다.

편지는? 아, 편지가 있었지.

그 접혀진 종이의 세상 속에

우리들의 화원이 그려져 있었다.

 

우리가 이전에 그 꽃밭에서 놀 때는

깨끗한 층계위에 그림을 그렸었지.

우리와 우리가 그린 그림은 어울려 춤을 추었고,

춤추다가 하늘이 어두워진 것도 잊었다.

거대한 화성이 천천이 우리 위를 돌고 있다는 것도.

 

지금 아직도  불꽃은 타오르고 있다.

밝게 미소지으며 아주 따뜻하게.

나는 깊이 생각한다. 네가 다시 나를 만나러 올거라고,

그래서 연기처럼 바람에 흩어지진 않을 거라고.

 

떠나거라, 사랑이 아직 완전히 불타버리지 않아

길을 아직 알아 볼 수 있을 때.

떠나거라, 길은 가면 갈수록 멀어질테니.

모든 것이 벌레울음 소리에 사라질 때야

너는 곧 새벽의 울타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부디 그 울타리의 문짝을 열고

조용 조용히 서 있어라.

꽃 송이가 달디 달게 잠자는 것 처럼 서 있으면

곧 고요한 침묵 속에서 태양빛이 너에게 가리라.

태양을 얻어라, 이는  너를 보내는 나의 축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러시아식 숙명론을 들어본 적이 있으세요!
이수영의 <명랑철학>을 읽다가 만난 개념입니다.


행군이 혹독하면 러시아 병사들은 그대로 눈위에 쓰러져
아무것도 안합니다.  바로 무반응, 무저항의 태도로,
신진대사를 감소시키거나 완만하게 해서 겨울잠을 자듯이
신체의 에너지를 보존하는  거지요. 이것을 러시아식 숙명론이라 한대요.
살다가 '견딜 수 없는 상황과, 장소와 집과 사회' 속에 있게 되면
저항하거나 변경시키려는 노력을 하지 말고

삶이 다시 풍부해질 때까지 그대로 버티는 것이 
오히려 가장  적극적인 생존방법이란 거죠.

 

익숙하고 반복적인 일상이 갑자기 지루하고 힘겹게 느껴질 때 또한

무언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려 애쓰지 말고  당분간 그대로 버티는 것이 낫다는 군요. 

 

'폭풍이 지나갈 땐 고개를 숙여라'던 오랜 동지의 조언과

맞닿아 있네요.

 

2.

 

비슷한 글 하나를 소개합니다.

 

 

“지금은 독이 묻은 화살을 빼내는 시간입니다. 이 화살이 어디
서 날아왔고 무슨 독이 묻었고 얼마나 깊이 박혔나 따지기 전에
먼저 빼내야 하는 것입니다. 절에 왔다 생각 말고 부처를 의식하
지도 말고 옆의 일에 마음 쓰지도 마십시오. 눕고 싶으면 눕고 먹
고 싶으면 먹고 걷고 싶으면 걷고 울고 싶으면 울고 가만히 앉았
고 싶으면 가만히 앉았고 그냥 자기를 돌보며 한량없이 마음을 내

려놓고 지내십시오. 맹자는 늘 천지가 지금이라 했습니다. 이제 막
태어난 듯이 이곳에 머무는 동안 앞일도 걱정 말고, 지난 일도 떠
올리지 마십시오. 포식이 육체를 해치듯 너무 많은 생각도 정신을
해칩니다. 상처가 나으면 살아갈 용기도 생기니 그저 편히 지내며
세상을 버리려 했던 마음을 돌려 눈을 뜨십시오.”

 

 

전경린의 <<황진이>>중에서(이주향의 <<행복한 책읽기>>에서 재인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