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를 돌봐줘
J.M. 에르 지음, 이상해 옮김 / 작가정신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은 소설이기도 하고, 한 명에게 바치는 기나긴 편지이기도 하고, 어쩌면 서간을 엮은 거대한 서간이라고도 할 수 있겠고, 한편으로 인형조종술을 즐기는 자의 마음씀씀이 고운 설명집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뭐가 이리 기냐고 묻는다면 일단 서간 소설을 베이스로 잡고 있되 모든 사건들을 뒤에서 조종하고 있는 자가 전면에 나서서 자신의 의견을 풀어 놓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모두 순전히 한 사람을 위대한 거대한 퍼포먼스였다고나 할까. 과정에 있어서 다분히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일정부분 시나리오 변화하긴 했지만 말이다. 쌍둥이처럼 마주 보고 있는 두 건물과 거기서 살아가는 세입자들의 기상천외한 삶과 이해관계를 주재료로 삼아, 오해와 갈등이라는 양념으로 버무린 소설. 딱 정리하자면 이렇다.
죽은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내며 건물을 반짝반짝하게 하고 품위를 지키는 것이 자신의 사명이라고 생각하는 부인부터 시작해서 편집증을 보이는 기괴한 사연의 영화감독, 에로 소설을 써대는 뚱뚱한 할아버지, 설치류를 사랑하는 사내, 슈퍼 개구쟁이 꼬마, 애완동물에 대한 집착으로 분노에 휩싸이는 아줌마 등등 주인공 둘을 제외하고도 이렇게나 개성이 넘치는 사람들이 한 곳에서 복작복작 살아가는 광경을 상상해 보라! 물론 어지러울 것이다. 그렇게 혼란스러운 가운데 작가는 이들의 조합 속에서 요즘 인기 있는 말처럼, 무심한 듯 시크하게 힌트를 툭툭 던진다. 무엇에 대한 힌트인가 하면, 이 많은 세입자들의 편지와 오해와 갈등들이 어떻게 해서 생기고 또 끝나는지에 대한 힌트.
책 소개에 있어서 메타픽션에 관한 언급이 있어서 흥미로웠던 이 책은 읽어나가면 읽어나갈 수록 모호해지는 메타 픽션이 아니라 한방에 확 풀리는 메타픽션을 그 재료로 한다. 메타픽션이라 함은 본래 이야기의 형성 과정과 이야기 자체가 동시에 기술되는 것을 일컫는 말. 그러니 이 이야기들이 어떻게 해서 생기고 왜 생겼는지 알아야 하고, 또 알 수밖에 없는 소설이라 할 수 있겠다. 이쯤 읽으면 아, 이 소설은 소설 속 소설이구나 감 잡은 사람 있겠다.
허나, 감히 말하건대 나는 이러한 메타픽션에 그다지 감회가 없었다. 이유인 즉, 메타픽션의 차용을 단지 결말에서의 반전을 위한 교량으로만 사용하고 있음이며 과정에서의 메타픽션 특유의 즐거움을 전혀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단호하게 말하는 이유는 반전이란 본디 그 즐거움을 독자와 함께 공감하며 이끌어 나가야 결말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건만, 이 소설 순전히 마지막에서 이건 몰랐지? 하는 식으로 끝내기 때문. 차라리 시작에서부터 전면에 화자가 드러나 모든 마리오네트를 조종하는 그 묘미를 함께 느꼈으면 훨씬 즐거웠을 것이라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만들었다.
사람이 죽는 것은 충분히 그에 합당한 이유 바람직하게 있어야 함이고, 주인공이 사람을 죽일 때에는 그에 합당한 이유 바람직하게 있어야 함이다. 이건 그런대로 드러난다. 하지만 이 소설은 결말에의 집착인지 특이한 구성에서 집착인지, 작가 너무 성의 없이 힌트 던지고 함께 즐길 새도 없이 혼자서 독자 교란만 시키고 쾅 터트린다. 이 모든 일을 꾸민 당자사의 이야기 마지막 몇 장으로 모두 설명하기엔 그 동안 벌린 일이 너무나 크다. 게다가 한 줄로 그 증오와 연민을 설명하기에는 우리에게 너무나도 공감 불가한 이야기만 늘어놓는다. 그냥, 이러이러한 일이 있어서 이러이러한 일을 저질렀다. 그러니 봐 달라. 이해해라. 이렇게 강압적으로 끝내는 것이다. 나 같이 심하게 자부심 강하고 꼬치꼬치 따지는 독자들에게는 너무나 수법이 어설퍼 슬쩍 코웃음 치게 만드는 기법이었다. 되려 책을 다 덮고 나면 초반에 즐겁게 읽었던 작가의 재치마저 깡그리 잊게 만들고 한 가지만 생각하게 만든다.
“그래서 어쩌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