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꽃 - 5.18 20주년 기념 소설집
최인석, 임철우 엮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0년 5월
평점 :
품절


-20190529 공선옥, 문순태, 박양호, 윤정모, 이삼교, 이청해, 임철우, 채희윤, 한승원, 홍희담

5.18 20주년 기념 소설집. 5월 18일 무렵 읽어야지 했는데 열흘이나 또 늦었다. 5월 가기 전에 다 읽은 것에 만족하기로.
이 책이 나오고도 또 20년 가까이 지났다. 서문의 말이 가슴을 친다. 그 때도 그랬는데 지금도 여전한 것들이 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너나없이 아무런 거리낌없이 말한다. 이젠 역사의 한 장으로 정리할 때가 충분히 되었지 않느냐고. 이제 그만 화해하고 용서하자고. 하지만 그들은 정작 망각하고 있다. 그러기엔 아직 너무나 많은 문제와 상처와 아픔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사실을. 진정한 화해와 용서란 가해자 쪽의 뼈저린 참회와 속죄가 선행해야만 비로소 가능하다는 사실을. 또한 우리 동시대인 저마다의 겸허한 반성과 책임의식을 통해 상처받은 쪽의 고통과 슬픔을 우리 모두의 것으로 받아들이기 전까지는 오월은 결코 아직 과거형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
여기서 내건 조건들이 하나도 해결되지 않았으니 오월은 현재형이다. 사월도 현재형이다.

여러 소설가들 작품을 모은 책은 언제나 편차가 크다. 윤정모의 밤길은 서정성이 좋았고 임철우의 어떤 넋두리의 날 것 같은 사투리를 가진 화자가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식도 좋았다. 지까심=김치 거리 라는 호남말도 알게 되었다. 재미나 세련미가 떨어지는 소설들도 있지만, 문학의 입을 빌어 생생하게 그 때 광주 사람들의 경험과 마음을 전해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내가 5.18에 대해 이전까지 접한 것들을 생각해 보았다.
새내기 때, 전공이 전해지기 전 배정된 과반에는 NL?이라 하는, 수배상태로 학교에 숨어지내는 고학번 선배나 이미 잡혀갔다 나온 선배들이 있었다. (산목련 사진 보여주며 봐봐, 북한 국화야. 김일성화 김정일화 그런게 국화가 아니란다, 하던 출소한?선배의 말을 들으며 삐질대던 때가 떠오른다...하하;) 오티(새로배움터라고 우리말로 순화된)가서 임을 위한 행진곡, 참교육의 함성으로 같은 노래를 배워 의미도 모르고 신나게 불렀다. (나중에 전교조도 안 들어갔건만…) 학과에서 선배들이랑 전태일 평전, 우리 역사 이야기 같은 책 같이 읽으면서 5.18을 처음 제대로 접했다. 스무살에야 전두환이 왜 나쁜놈인지 알았다.
친해지지도 못한 3월에 과선배에게 대시하다 대차게 차이고 그 과반이 아닌 다른 전공을 선택했지만 짧은 시간 다양한?체험을 할 수 있었다.
과에서 멀어지면서 졸업 때까지 뿌리내린 곳은 노래패 동아리였다. 여기는 과거에 PD? 학생 운동 노선은 잘 모르고 내가 들어갔을 땐 그 흔적도 거의 없었다. 선배 중엔 내가 선동적?으로 노래부른다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이미 민중가요는 술자리나 동아리방에서 심심풀이로 부르며 겨우 명맥을 이어간 수준이었다. 공연에서는 인디밴드 노래나 에반게리온 수록곡 같은 걸 불러 공연 보러 온 졸업생 선배들이 고개를 저었다. 막스 어쩌구 하는 책들이 동아리방에 굴러다녔지만 선배 중엔 그걸 같이 읽고 설명할 사람도 이미 없었다. 최소한의 고민은 하고 공연을 꾸리자, 하며 겨우 유지된 세미나에서 공연 주제에 따라 파시즘, 군사문화, 여성주의, 대중문화, 철학 관련 교양서를 조금 읽은 수준이다. 정기 공연 외에 외부 행사는 419문화제나 월경페스티벌 공연 참가하고. 나머지 시간은? 연애하고 대항해시대하고 놀았지 뭐.

그런 경험들이 나중에 이상한데서 발목?을 잡았다. 사립학교 최종 이사장 면접이었다. 자기 소개서에 대학 생활 중 공부만 한 게 아니라 다양한 학내활동을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를 삼았다(=놀았다)며 사례로 노래패 활동을 적었는데, 이사장이 걸고 넘어졌다.
운동권이었지?
아닙니다.
집회라곤 이라크 파병 반대 한 번 나가봤는데 운동권이라 하긴 운동권들한테 부끄러운 수준 아닌가.
운동했네.
아니에요. 그냥 문화운동을…
노조할 거지?
안 합니다.
할 거 잖아.
피터가 예수를 세 번 부인하듯 아니에요만 하다 나왔지만 최종 합격은 술 잘먹느냐는 질문을 받았다는 선배에게 돌아갔다. 다행히 떨어진 줄 알았던 1차 시험 합격을 전날 밤 알게 되서 마음은 덜 무거웠지만. 기왕 떨어질 거면 폼나게 개길 걸. 그래 나 빨갱이다 이 더러운 자본가 친일 조상 덕에 사학재단 끼고 노조 탄압하는 나쁜 할배야. 빨갱이도 운동권도 아니니 거짓말이지만…

이후 현대사 민주주의 발전을 다루는 시간에 민주화기념영상 아이들이랑 같이 보고, 화려한 휴가도 보고, 소년이 온다도 읽고, 택시 운전사도 보고. 가르치며 배운 게 더 많다.

벌써 오 년 전 여름이네. 네 살된 애기 데리고 첫 장거리 여행으로 광주에 갔다. 삼만원 주고 산 휴대용 유모차는 송정역에 내려 개시와 함께 고장났고(어찌어찌 겨우 끌고 다니고), 송정리가서 맛없는 떡갈비도 먹고(호남 음식은 다 맛있다며!), 담양 죽녹원 갔다 돌아와 상무지구에서 먹은 콩나물 국밥은 맛있었다. 유흥가의 휘향찬란한 불빛을 보며 여기, 서울이랑 똑같잖아, 했다. 한밤 자고 518기념공원에 갔다. 기념관의 민주열사들 이름을 둘러 보고 518책자도 얻었다. 올해초에야 처음 다 읽었다. 김대중컨벤션센터도 구경가고(별 거 없다), 버스를 타고 시내를 빙 돌며 구경하다 조선대에 가서 장미 구경을 하고 광주역 아름다운 가게에서 오백원짜리 동화책 두 권을 사서 서울로 돌아왔다. 진짜 한 게 없네. 동네 주민 체험하며 버스타고 돌아다니는게 매 여행마다 고집하는 방식이라 (같이 간 이들은 늘 개고생을 하고 그 덕에) 대단한 건 없었지만 소소한 여정들이 기억에 남는다.

그 정도가 내가 아는 오월과 광주다. 아직도 잘 모르는 것 같다. 아마 계속 들여다봐도 그 열정과 아픔은 제대로 알지 못할 것 같다.

올해 5.18 문학상 본상에 황정은의 디디의 우산이 선정되었다. 옳은 것을 향하는 사람들은 어느 시대나 어디에나 있다. 탄핵 집회 딱 한 번 나가고 소심하게 집안에 노란 리본 열쇠고리 걸어 놓는 작은 마음이 옳음으로 나가는 물결에 보탠 바 거의 없지만, 책으로만 역사를 접하고 전두환 회고록에 100자평으로 욕하는(그러다 글 짤리고 더 분개하는) 방구석 투사일 뿐이지만, 어딘가 힘이 필요한 곳에 마음으로나마 원기옥에 기를 보탭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9-05-29 21: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립학교 이사장이라는 존재들은 정말 멸종했으면 좋겠어요...... 아 생각만 해도 치가 떨린다.

반유행열반인 2019-05-29 21:54   좋아요 0 | URL
초중고 공립 나와 직장 조차 사립하곤 인연이 멀었으니..운이 좋았던 거겠죠. 사립학교의 폐단?은 저때 베타버전 맛보기 쬐끔한 정도...구인하면서 응시료 받기, 종교재단은 법명이니 교인증명서니 요구, 합격되어도 발전기금 요구받는다는 소문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