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개츠비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영하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책이 싫다는 사람들도 이름은 들어봤다는 그 유명한 개츠비를 드디어 읽었다. 계속 고전 읽기를 시도하고는 있지만 아직은 나에게 부담스러운 분야이다. 그래서 이렇게 독서모임을 만들고 의무적으로라도 읽게 해야 손이 간다. 안 그러면 평생을 다 바쳐도 못 읽을 책들 때문에 자꾸만 뒤로 밀려날 테니. 이 책은 그 자체로도 그렇지만 김영하 작가가 번역한 것 때문에 더 유명하다. 어떤 포스팅에서 각 출판사별로 이 책의 번역 스타일을 비교 분석한 걸 봤었는데 그중 김영하 작가의 번역이 가장 간결하고 깔끔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번역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게 되었고, 지금의 한국 문화와 시대를 고려하여 탄생한 문학동네 버전의 개츠비는 확실히 부담 없긴 하더라. 하지만 이렇게 더운 시기에 집은 건 잘못된 선택이었어. 털썩.
과거 군인시절 개츠비는 데이지와 짧은 사랑을 했지만 가난과 신분 격차의 이유로 이별하였다. 이후 군대를 전역하고 엄청난 부를 거머쥔 그는 궁궐 같은 자신의 저택에서 날마다 파티를 열었고,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놔두었다. 그의 목표는 단 하나, 연락이 끊긴 옛사랑이 자신의 소식을 듣고 집을 방문해주길 바란 것이었다. 그는 옆집 남자가 데이지와 친분이 있음을 알고, 그 남자를 통해 데이지와 재회하게 된다. 그녀에게는 남편도 있고 자녀도 있었지만 개츠비는 상관치 않고 적극 대시했다. 그녀의 어중간한 태도를 보고도 오래오래 간직해온 자신만의 환상에 갇혀서 오지게 북 치고 장구치는 개츠비. 힘을 내요, 슈퍼 파워.
고전 문학은 접근하는 방식이 따로 있는 걸까? 내용도, 주제 파악도 어렵고 뭣보다 몰입이 너무 안된다. 그래도 다른 책들은 뭐를 고민해야 할지가 나름 보이는데 이 책은 그런 것도 안 보여서 더 힘들었다. 이 짧은 분량을 간신히 소화하는 동안 뒤쪽의 작가 해설이 얼마나 읽고 싶었는지 모른다. 번역자인 김영하 작가는 가난했던 개츠비가 부자 되어 화려한 인생을 얻은 것이, 1차 세계대전 후 급 성장해 강대국이 된 미국을 상징한다고 말한다. 그 당시 유럽의 강대국들이 신흥 국가 미국을 경멸했던 것을, 올드 머니인 데이지 부부가 뉴 머니인 개츠비를 경멸했다는 내용으로 해석했다. 미국에서 이 책을 걸작이라 부르는 건 수많은 멸시 가운데 부흥을 일궈낸 미국을 표상해서라는 말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역시 김영하는 해설도 재밌게 잘 씀.
개츠비는 어떤 작자인가? 일반 사람들은 한없이 부러워하거나 루머를 퍼뜨려 시기 질투를 했다. 나름 가까운 사람들도 그와 마음을 깊게 섞지는 못했는데 그게 다 개츠비 머릿속에 데이지 생각으로 꽉 차있었기 때문이다. 데이지 일 외에는 진정성을 가지지 않았고, 그것에 실망한 사람들은 일제히 거리감을 가졌을 것이다. 그렇기에 그의 장례식에 아무도 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개츠비를 ‘인간‘으로써 좋아해 준 사람이 한 명도 없다니, 불쌍하다고 생각했다가 이 모든 게 뿌린 대로 거둔 결과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개츠비에게서 어떠한 인간미도 느끼지 못했다. 개츠비 지인들도 나의 감정을 똑같이 느껴서 공적인 관계만 유지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개츠비의 위대함은 역사에 남을 업적을 세워서가 아니었다. 사랑할 가치가 없는 대상을 끝까지 사랑하고, 버림받으면서도 묵묵히 받아들인 데에서 붙은 수식이었다. 누가 봐도 데이지는 개츠비와 맞지 않을뿐더러 그녀가 사랑한 대상은 욕망을 채워줄 ‘무언가‘였다. 게다가 상류층 신분인 그녀는 자신을 ‘부양해줄‘ 남자를 원했다. 과거 개츠비는 그렇게 해줄 수도 없는 데다 전쟁터에서 돌아오지도 않았다. 그녀는 허전함을 사교계로 달래다가 완벽한 신분의 남자를 만나 결혼했다. 그 사이 개츠비는 그녀에게 걸맞은 신분을 갖추어놨다. 그래서 재회만 하면 다 잘 될 줄 알았는데 남편과 헤어지지 않는 그녀에게 상처를 받아버렸다. 알고 보니 데이지의 골키퍼는 남편이 아니라 속물근성이었다. 그녀의 눈에는 개츠비보다 그가 입은 비싼 셔츠만 보였고, 개츠비는 그런 속물을 열렬히도 선망했다. 그의 일방통행 사랑은 겉으론 순수해 보여도 속은 실체 없는 환상의 여인을 쫓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개츠비의 위대함은 ‘대단하다‘와 ‘대~단하다‘는 이중적 의미를 가진 셈이다. 앞으로 개츠비는 촛불이 아름다워서 뛰어들은 불나방으로 기억 남을 듯하다. Rest In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