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투스 - 인간의 품격을 결정하는 7가지 자본
도리스 메르틴 지음, 배명자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같은 개념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생경스러울만큼 신선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 방편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사회학 서적을 선뜻 집어들기 부담스러울 때, 가볍게 읽으면서도 자기계발과 사회학 개념을 동시에 학습하는 데 이롭다.

 

우선 저자의 기획력이 돋보이는데, 주로 경영이나 관리의 관점에서 명령이나 충고조의 식상한 어투를 버리고 '아비투스'라는 사회학의 개념을 차용해 자기계발서를 기술함으로써 독특한 재미를 선사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가 주창한 아비투스는 사회의 계층을 구별하는 개념으로 일련의 생활 방식, 태도 등을 의미한다. 이 책의 유용성은 이러한 아비투스를 심리자본, 문화자본, 지식자본, 경제자본, 신체자본, 언어자본, 사회자본으로 구분하면서, 아비투스의 파급력과 위력을 꼼꼼하게 드러내는 데 있다.

 

단순히 각 자본의 특성은 이러하고, 계급에 따라 이렇게 다르다, 식의 기술 방식이 아니라 각 자본과 관련된 인터뷰, 연구 자료 등을 제시하면서 전체의 얼개와 맥락을 파악하도록 돕는다. 특히 각각의 자본을 장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각 장의 마지막에는 관련 전문가의 인터뷰를 실어 각 자본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구현되는지 소개하고 있다.

 

그간의 자기계발서가 개인의 노력과 헌신에 초점을 맞추면서 상대적으로 사회적 맥락을 소홀히 하여 성공 여부를 개인의 책무로 되돌렸다면, 이 책은 성공과 성취의 이면에 자리잡은 계급적 구조와 수용에 집중하면서 개인을 둘러싼 사회 문화의 경계와 이면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성공 신화의 사회적 작동 방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한 점이 두드러진다.

 

다만, 책의 기술 목적이 자기계발에 있다보니, 각 계급의 아비투스를 평면적이고 단선적으로 설명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

 

 

아비투스는 사회적 지위의 결과이자 표현이다. 아비투스는 우리의 사회적 서열을 저절로 드러낸다. 지위와 구별 짓기 게임에서는 상류층 아비투스가 모든 것의 기준이다. 그런 아비투스가 더 많은 명성을 얻고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진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