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 패트리샤 박의 소설인 <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은 동양인 얼굴에 라틴계 이름, 국적은 미국.
어디서든 주목을 끄는 별종 고딩 알레한드라 김의 다나다난 성장기를 담았다. 한국-아르헨티나계 미국인 알레한드라 김은 어디에서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 다양한 인종이 사는 퀸스에서는 매번 중국놈이라 손가락질받고, 스페인어를 쓰지만 아르헨티나 사람이라고 무시당한다. 학비의 90퍼센트를 지원받으며 다니는 부유한 백인 고등학교에서는 우등생이며 엄연히 미국인이지만 다문화 딱지를 달고 은근한 차별을 받는다.
그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아빠는 아메리칸드림을 꿈꾸며 미국에 왔지만 그꿈을 이루지 못하고 우울, 무기력에 잠식되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각자의 방식으로 상실의 아픔을 겪는 가족들은 겉으로도 속으로도 삐걱거린다. 알레한드라는 어느날 학교에서 인종차별을 겪는다.
그것도 선생님에게 말이다. 조용히 넘어가려 하지만, 그의 친구가 불의를 참지못하고 일을 키워버린다.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어디하나 의지하지 못하고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알레한드라는 무사히 학교를 졸업하고 원하는대로 뉴요을 떠날수 있을까,
이런 소설이 탄생하게 된 계기에는 저자의 자신의 경험도 있다. 삶에서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느낌을 극복하게 위해 노력한 작가 자신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집필했다.
누구나 인생에서 자기자신의 속마음은 숨긴채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때로는 지치고 힘들어도 아닌척 밝은 척하기도 하고,
남들이 모르는 아픔이 있어도 겉으로 티내지 않아 하기도 한다. 누구에게는 먼지같은 일이라도 나에게는 우주같은 일이라는 문장처럼.
그런데 알레한드라는 그런 아픔이 아니라 아빠의 죽음과 가족도 학교도 어디에도 의지할 곳 없이 인종차별까지 당하는 삶이
얼마나 지치고 퍽퍽할지 모르겠다. 책의 도입부에는 이책의 주인공 알레한드라 김의 배경이 소개된다.
자기자신은 어떤 환경에서 살아오고 있으며, 어떤 인종차별을 겪어왔는지 말이다.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떠나
새로운 꿈을 가지고 이민을 선택하고나서의 삶이 탄탄대로 였다면 좋았겠건만, 가족의 일부가 죽음을 선택한것은
큰 충격이 됐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