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 서사원 영미 소설
패트리샤 박 지음, 신혜연 옮김 / 서사원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계 미국인 패트리샤 박의 소설인 <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은 동양인 얼굴에 라틴계 이름, 국적은 미국.

어디서든 주목을 끄는 별종 고딩 알레한드라 김의 다나다난 성장기를 담았다. 한국-아르헨티나계 미국인 알레한드라 김은 어디에서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 다양한 인종이 사는 퀸스에서는 매번 중국놈이라 손가락질받고, 스페인어를 쓰지만 아르헨티나 사람이라고 무시당한다. 학비의 90퍼센트를 지원받으며 다니는 부유한 백인 고등학교에서는 우등생이며 엄연히 미국인이지만 다문화 딱지를 달고 은근한 차별을 받는다.

그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아빠는 아메리칸드림을 꿈꾸며 미국에 왔지만 그꿈을 이루지 못하고 우울, 무기력에 잠식되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각자의 방식으로 상실의 아픔을 겪는 가족들은 겉으로도 속으로도 삐걱거린다. 알레한드라는 어느날 학교에서 인종차별을 겪는다.

그것도 선생님에게 말이다. 조용히 넘어가려 하지만, 그의 친구가 불의를 참지못하고 일을 키워버린다.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어디하나 의지하지 못하고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알레한드라는 무사히 학교를 졸업하고 원하는대로 뉴요을 떠날수 있을까,

이런 소설이 탄생하게 된 계기에는 저자의 자신의 경험도 있다. 삶에서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느낌을 극복하게 위해 노력한 작가 자신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집필했다.

누구나 인생에서 자기자신의 속마음은 숨긴채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때로는 지치고 힘들어도 아닌척 밝은 척하기도 하고,

남들이 모르는 아픔이 있어도 겉으로 티내지 않아 하기도 한다. 누구에게는 먼지같은 일이라도 나에게는 우주같은 일이라는 문장처럼.

그런데 알레한드라는 그런 아픔이 아니라 아빠의 죽음과 가족도 학교도 어디에도 의지할 곳 없이 인종차별까지 당하는 삶이

얼마나 지치고 퍽퍽할지 모르겠다. 책의 도입부에는 이책의 주인공 알레한드라 김의 배경이 소개된다.

자기자신은 어떤 환경에서 살아오고 있으며, 어떤 인종차별을 겪어왔는지 말이다.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떠나

새로운 꿈을 가지고 이민을 선택하고나서의 삶이 탄탄대로 였다면 좋았겠건만, 가족의 일부가 죽음을 선택한것은

큰 충격이 됐을것이다.

엄마 말로는 아빠가 원래 아르헨티나에서 일면 '피아노 신동'같은 사람이었는데 이민을 왔다고 했다. 아빠는 음악가의 꿈을 펼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아빠에게는 많은 것을 해 볼 기회가 없었다. 나는 이민이 아메리칸드림을 아루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우리 가족에게는 이민이 아메리칸드림을 죽이는 길이었던 것 같았다.

p. 67

새로운 해, 새로운 당신! 거의 모든 지하철과 버스 광고판에서 이 문구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새해가 되어도 똑같이 그대로 인 기분이다.

p. 263

상실감에 휘청거리고, 인종차별과 엄마와의 사이가 틀어져도 그래도 인생에서 하나쯤 내편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는 알레한드라 김이다.

많은 걸림돌이 인생의 앞길을 막아도 어떻게든 해쳐나가고 이겨내려고 한다. 알레한드라 김의 복잡한 감정들이 묘사되고 독백처럼 쓰여지는 부분이

인상깊었다. 뭔가 사회에 처음 발을 내딛는 20대 중반의 나를 바라보는것 같았다. 여전히 기댈곳 없고 분주한 사회에서 어떻게든 살아가고 있지만,

그래도 인생을 사는동안에는 내편이 어딘가에는 한명쯤 있더라.. 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고자 노력하는 알레한드라 김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에게 응원을 건내고 외로움을 달래주는 소설이 아닐까, 누군가의 눈치를 보며 살아왔던 지난날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삶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서

자유로워 지기, 나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나를 믿고 한발한발 더 나아가기, 다른 사람의 말에 휩쓸려 살지 않기 등을 느낄수 있었다.

*블로거 '인디캣'으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알레한드라김의가면증후군과솔직한고백 #패트리샤박 #신혜연옮김 #인디캣 #도서리뷰 #도서서평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