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건축역사 및 이론을 소개한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국건축사 - 도설
한동수 외 / 세진사 / 1992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가지는 특성과 가치를 보면 우선 무엇보다도 첫 번째로 중국인의 손에 의해 영어로 쓰여진 중국 건축사란 점이다. 비록 「도설 중국건축사」는 한국어판이지만 그 도면의 내용은 영문과 중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사성의 목적은 지나간 중국 영조학사에서 얻은 연구성과를 해외에 소개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는 양사성이 대학시절 미국에서 건축을 공부할 때 유럽의 각국은 자기나라의 고건축에 대하여 계통적으로 정리하고 연구하여 자신의 건축사를 쓰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그는 더욱 더 중국의 역사를 서술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 당시의 주류는 서양건축사를 배우는 과정이 중시된 상황에서 민족문화를 상징하는 그의 중국건축역사에 대한 애착은 이 책에도 여실이 드러나고 있다.

 중국인의 손에 의한 중국건축사를 쓰겠다는 목적으로 중국으로 돌아온 그는 중국 영조학사를 중심으로 중국 고건축의 실측에 들어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외국에 소개하고 중국 건축의 독특한 가치를 인정 받기 위하여 영어로 된 중국 건축사를 집필하게 된다. 내가 접한 책은 영어판이 아닌 한국어판이지만 그 도면에서 보여지는 노력들 - 부재의 정확한 영어화와 설명들 -을 보면서 양사성의 선각자적 자세에 감동하게 된다. 서양의 건축연구가들이 중국의 건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을 때 그 이해를 위해서는 당시에 마땅한 자료가 없이 단편적인 지식을 가지고 분석된 것이기는 하지만, 그의 작업은 그당시 미개척되고 잘못오용되어왔던 중국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문화의 잣대는 기본적인 환경에서 부터 시작된다. 상호 이해를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우리의 문화를 이해해달라라는 요구보다는 그 기본적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적인 우리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 바탕 하에서 서양의 문화와의 비교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우리의 문화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양사성의 저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그 가치를 충분히 충족시킨 것이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영문판에 존재한 책 뒤의 <기술명사대조표>가 한국어판에서는 없다는 것이다. 이 <기술명사대조표>는 우리가 중국사를 공부를 하는데 영어와 중국어간의 괴리를 줄이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혹시라도, 증보가 된다면 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8번뇌(百八煩惱)


백팔번뇌는 중생이 가지고 있는 온갖 번뇌를 108가지로 열거한 것을 말한다. 원래 108이란 많다는 뜻으로 쓰여졌던 숫자이다. 그러나 불교의 교리심화와 함께 108번뇌의 산출법이 뚜렷하게 생겨나게 되었다. 그 세는 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두 가지 설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첫번째의 산출법은 눈·귀·코·혀·몸·뜻의 육근(六根)과 이 육근의 대상이 되는 색깔·소리·냄새·맛·감각·법(法)의 육진(六塵)이 서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갖가지 번뇌에 대한 산출법이다.

육근이 육진을 접촉할 때 각각 좋고(好)·나쁘고(惡)·좋지도 싫지도 않는(平等) 세 가지 인식작용을 하게되는데, 이것이 곧 3×6〓18의 십팔번뇌가 된다. 또 이 호(好)·오(惡)·평등(平等)에 의거하여 즐겁고 기쁜 마음이 생기거나(樂受), 괴롭고 언짢은 마음이 생기거나(苦受),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상태(捨受)가 생기기도 한다. 이 고·낙·사수의 삼수(三受)를 육식(六識)에 곱하면 역시 십팔번뇌가 성립된다. 이와 같은 36종의 번뇌에 전생·금생·내생의 3세를 곱하면 108이 되어 백팔번뇌의 숫자를 얻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풀이이다.

두번째의 산출법은 어떻게 수행을 해서 번뇌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것인가 하는 수행문제를 잘 풀이해 주고 있다.

이것은 사고의 영역과 실천의 영역에 속하는 번뇌를 근거로 하는 산출법이다. 곧 견혹(見惑)인 88사(使), 번뇌와 수혹(修惑)인 10혹(惑), 번뇌에다 10전(纏)의 번뇌를 더하여 얻는 백팔번뇌설이다.

견혹이란 사고·지식·인식작용에 바탕을 둔 번뇌를 뜻한다. 여기서의 견(見)은 지혜에 얻어진 지식적인 내용을 뜻하며, 혹은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서 지혜로 제거할 수 있는 번뇌, 올바른 지혜를 가로막는 번뇌라는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다시 말하면 지금 가지고 있는 소견이 잘못된 것인 줄만 깨달으면 곧 없어지는 번뇌이며 보기만 바로 보면 곧 해탈된다는 뜻을 가진 번뇌이다.

수혹은 정서적·의지적·충동적 번뇌로서 그 번뇌의 성질이나 내용을 알았다고 해서 곧 바뀌어지지 않는 번뇌이다. 돈이나 명예나 이성에 대한 탐욕이 바람직하지 못한 줄로 알고 있고, 시기·질투가 나쁜 줄 알면서도 그러한 심리작용이나 습관이 일시에 제거되지 않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표면상으로는 견혹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수혹은 정신의 이면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인간의 생을 이끌어 가는 번뇌로서 좀처럼 끊어지지 않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견혹의 88가지와 수혹의 10가지 번뇌에 탐심과 진심과 치심의 근본번뇌에서 일어나는 10가지 부수적인 번뇌를 더하여 백팔번뇌가 되는 것이다. 

백팔번뇌 (百八煩惱)

 불교에서 나온 말로 인간의  과거(過去), 현재(現在),미래(未來)에 걸친 108가지 번뇌(煩惱)..
 
 백팔번뇌 百八煩惱
  [풀이]  불교에서 나온 말로 인간의  과거(過去), 현재(現在),미래(未來)에 걸친 108가지 번뇌(煩惱). 육관〔(六官 : 耳(소리), 目(색깔), 口(맛),  鼻(냄새), 心(뜻), 體(감각)〕이 서로 작용해 일어나는 갖가지 번뇌가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싫지도 않은(不好不惡) 평등(平等)의  3가지 인식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곧 3×6=18가지의 번뇌가 된다. 거기에 탐(貪), 불탐(不貪)이 있어 18 ×2=36가지가 되고, 이것을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  즉 전생(前 生), 금생(今生), 내생(來生)의  3世에 36×3=108이 되어  백팔번뇌(百八煩惱)라 한다.
  참고 ☞만(卍)은 불보살(불보살)의 가슴, 손, 발 등에 나타나는 길상(吉祥) 만덕의 상으로 불교를 상징하는 표지, 태양, 움직이는 사방위, 흐르는 물, 둥글게 선회하는 빛의 상징이라 하는데, 태양의 신 비슈누(VISHNU) 신의 가슴팍에 자란 털 모양을 나타낸다는 길상의 증표라는  것이다. 불교에서의 유래는『화엄경(華嚴經)』에“여래의 가슴에는 훌륭한 분의 특징인 만(卍)자 모양이 있다. 이것을 길상해운(吉祥海雲)이라고 부르는데, 온통 세계를  진리의 바다처럼 넘실거리게 한다.”에 나온다. 만(卍)자가 불교의 상징 마크가 된 것은 부처님의 백호(白毫: 눈썹 사이에 난 흰터럭)가 오른쪽으로 도는 것을 우선(右旋)이라 하여 신성시하여 길상의 기호로 형상이 만(卍)이 된 것이다. 卍은과거와 현재,  미래까지도 비쳐서 볼 수 있는 초월적 능력이 있다.
    (하켄크로이츠)마크는 유럽 백인의 원조인 아리안족 최고의 상징이었다. 나치가 당의 상징으로 도입한 것은 독일 민족이 아리안족의 적자(嫡子)라는 것을 강조함과 동시에 과거의  영광을 되찾자는 상징적  의미 때문이었다. (하켄크로이츠)마크가 독일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피의 순수성이라든가, 살인이나 파괴와 같은 원시 본능을 칭송함으로써 집단  무의식의 가장 어두운 부분에 깊이 뿌리를 박고서 다른 한편으로는 오로지 군중을 바로 눈 앞의 것만 내다보는 근시안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그런데 (하켄크로이츠)마크가 독일인들의 호응을 얻은 것은‘과거 영광에의 열망’이라는 민족적 이유 때문이 아니라  성(性) 이미지 때문이라는 재미있는 해석도 있다. 즉 정신과 의사 라이히에 따르면, 갈고리 모양의 (하켄크로이츠)마크는 남녀가 휘감긴 체위를 상징하고  있어서 독일인의 강렬한 섹스에 대한 욕망을 은연중 강조한 작품이라는 것이다. 여자가 엎드려서 왼발을 치켜 올리고, 남자가 무릎을 굽혀 뒤에서 관계를  갖는 형상이 곧 (하켄크로이츠)마크이기 때문에 그것이 심리적으로 높은 호소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대문명교류사
정수일 지음 / 사계절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문명교류사는 이질 문명간의 교류를 다루는 학문이다. 서양인들의 단순한 논리는 토인비가 업근한 데로 문명권간의 교류이다. 즉, 그들은 문화권을 자기들 멋대로 나누어서 동서교류니 동서문화교류이니 하는 모호한 경계속에서 중국과 한국의 자연환경적 요인으로 동서를 구분한게 아니라 순수 자기중심주의적 발상에서 출발, 정치적 고려에 따라 인위적으로 동서를 나누어놓고 모든면에서 동서간의 관계를 대립관계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문명교류는 전파와 그에 대한 수용을 통해서 정치적 고려가 아니라, 문명간의 융화, 동화의 수단인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문명권간의 관계를 교류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고대에서부터 서술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명확하지 않은 사실들이나, 기존의 학설과 배치되는 언급에 대해서 풍부한 사료들을 통해서 자신의 주장을 검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불교남래설에 대한 언급에서 인도와 남부지방에 나타나는 우리와의 공통점과 문헌들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그 자신만의 독자적인 주장을 내놓고 있다.
이 책은 한 마디로 재미있는 책이다. 풍부한 역사적 사실과 그에대한 검증은 책을 읽으면서 계속 나를 경탄하게 만들었으며, 저자에 대해 경의를 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크로드학
정수일 지음 / 창비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실크로드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의 서역과 서양의 문물은 실크로드를 통해서 들어왔으며, 실크로드는 서역과 북위만이 아닌 바닥길도 포함한다는 것을 새롭게 인식시켜주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우리에게 실크로드라고 하는 생소한 주제를 왜 연구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저자는 글 앞에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특히 실크로드의 연구는 인간이 창조한 문명이 교류라는 매체를 통해서 한 인간사회에 전파 수용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으로 인간의 물질생활과 연계되어 각종 문물과 인간의 정신활동과 관련된 문학,예술, 철학, 종교, 학문, 그리고 사회구조나 현상과 관련된 제도,법률,대외관계, 군사등 다종다양한 교류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시말하면, 실크로드가 열려있을 때에는 우리의 문화도 그들의 문화와 융합된 국제주의적 양식이 도래되며, 닫혀있을 때에는 그 지역의 독특한 문화양식이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나타나고 있지 않은 사찰가람형태가 나타나고, 일본에서도 동일한 가람패턴이 만들어 지는 것을 볼 때, 교류가 얼마나 문명의 기술수준를 판가름시켜주며, 역사적인 평가가 내려질 수 있는지 실크로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특히, 인간의 물질생활에 필요한 물질문명의 교류, 인간의 정신생활에 필요한 정신문명의 교류, 인적교류 등으로 분류하면서, 그에대한 증거들을 다양한 문헌들을 소개하고 그 들에서 언급된 예들을 서술함으로서, 다른 연구들에 필요한 중요한 교과서적인 연구서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