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학
정수일 지음 / 창비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실크로드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의 서역과 서양의 문물은 실크로드를 통해서 들어왔으며, 실크로드는 서역과 북위만이 아닌 바닥길도 포함한다는 것을 새롭게 인식시켜주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우리에게 실크로드라고 하는 생소한 주제를 왜 연구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저자는 글 앞에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특히 실크로드의 연구는 인간이 창조한 문명이 교류라는 매체를 통해서 한 인간사회에 전파 수용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으로 인간의 물질생활과 연계되어 각종 문물과 인간의 정신활동과 관련된 문학,예술, 철학, 종교, 학문, 그리고 사회구조나 현상과 관련된 제도,법률,대외관계, 군사등 다종다양한 교류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시말하면, 실크로드가 열려있을 때에는 우리의 문화도 그들의 문화와 융합된 국제주의적 양식이 도래되며, 닫혀있을 때에는 그 지역의 독특한 문화양식이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나타나고 있지 않은 사찰가람형태가 나타나고, 일본에서도 동일한 가람패턴이 만들어 지는 것을 볼 때, 교류가 얼마나 문명의 기술수준를 판가름시켜주며, 역사적인 평가가 내려질 수 있는지 실크로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특히, 인간의 물질생활에 필요한 물질문명의 교류, 인간의 정신생활에 필요한 정신문명의 교류, 인적교류 등으로 분류하면서, 그에대한 증거들을 다양한 문헌들을 소개하고 그 들에서 언급된 예들을 서술함으로서, 다른 연구들에 필요한 중요한 교과서적인 연구서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