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의 진자 1 - 개정판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고 에코의 나라 이탈리아. 

국민성인가보다. 

대학 입학 직후부터 '읽어야되는데,,,' 빚진 느낌을 주던 이책이 철학서가 아닌 소설인것을 최근에야 알았다. 마침 예쁘장한 양장버전이 출간된 김에 질렀다. 그리고 읽었다. 2권을 채 읽다말고 책을 덮었다. 이때 만약 리뷰를 썼더라면 '이책이 도대체 내 인생에 무슨 도움이 되냐'는 류의 격한 단어들이 쏟아져 나왔을것이다. 한동안 숨을 고른 뒤 역자후기까지 다 읽고, 빚진 느낌을 벗어던졌다는 홀가분함을 느꼈다. 

에코가 어렵게 꼬아쓴 내용이 결코 가볍다 이야기 하고 싶지는 않다. 스스로 풀어놓은 지식을 스스로 부정했다가, 보편적 성찰로 마무리하려는 변덕을 궤변이라고 얘기하지도 않겠다. 하지만 에코가 쓴 이것이 소설이 맞다면, 나는 마르케스나 로맹가리의 사례를 들고 싶어질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가 에코의 이야기보다 가볍지도, 환상을 다루는 밀도가 떨어진다고도, 무엇보다도 '지식의 진실성'에서 모자란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은 에코가 아무리 백과사전적지식을 퍼부어도 결코 성취하지 못해낸 것, 바로 '감동'을 느끼게 해준다. (좋은)소설은 그런것이다.

예술이 커뮤니케이션이라면, 에코는 소수를 위한 예술가다. 예술의 첨병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것이지만 그 편집증을 지켜보는것 또한 여간 피곤한 일이 아니다. 첨병의 정보에서 옥석을 가려내는 고도의 전문가들은 아무래도 따로 있는 것이다.  

에코의 유명세가 너무도 강력하니 '장미의 이름'같은 다른 책을 좀 더 읽어보려 한다. 부디 '옛날 어느곳의 머저리가 어떤 헛소리를 했다는 증언이 전해진다는 것을 믿는 사람들이 아직도 존재한다고 여겨진다'는 식으로 베풀어지는 언어유희론자의 지식잔치가 아니길 바란다. 그러고보니 그런 지식잔치는 청년기에 열광할만한 것이긴 하다. 역시 공부는 다 때가 있는 법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