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 구더기 -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현대의 지성 111
카를로 진즈부르그 지음, 김정하.유제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즈와 구더기를 소재로 했을것이라는 오해로 책을 펼쳤고 

책의 유명세에 비해 매우 쉽다는 안도감으로 책을 덮었다. 쉬워서 더 유명해진 걸까.

'재미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글쎄,,, 

자극적 제목에 혹했다가 너무나 담백한 맛에 실망한 나로서는 그다지 동의하기 힘들다. 

(그러고 보면 진즈부르그의 책들은 유별나게 제목이 자극적이다.) 

이 책의 내용은 수긍이 가는데 

다만 이 책 자체에 대한 의문이 하나 생긴다. 

메노키오는 중세적 탄압을 받는 근세적 인간임에 틀림없다.  

메노키오가 대단한건 알겠다. 

근데  이책은 왜 대단한걸까.

메노키오에 주목한 것 때문에 이책이 유명해진 것일까? 

메노키오에 주목해서 그것을 당시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신호탄으로 읽어낸것이 

그렇게 고난도의 작업이었을까? 

메노키오 평전이라고 불러도 크게 틀리지 않으리라는 생각이 든것이  

메노키오의 증언만 추려 읽어도 이견이 있을수 없다.

이사람의 정신은 고대와 근세를 잇는 기적적인 교량이었고 

체득적 상상력을 발휘할줄 아는 타고난 예술가였으며 

더욱 놀랍게는 그 스스로가 그것을 분명히 인식-메노키오는  

'표현'하고픈 욕망의 포로였다.-하고 있었다는 감탄을 하지 않을수 없다. 

메노키오는 이미 거인이고 거인은 이미 거시적 존재가 아닌가. 

 

대체 무엇이 메노키오라는 인물을 재발견하는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책 자체에 문제적 가치를 부여하도록 한 것일까. 

'방앗간 주인에 불과'하다는 위선적 직함이 

왜 미시사라는 찬란한 찬사를 이책에게 가져다 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