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 2:1-13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성령님의 강림)

오늘은 성령강림주일입니다. 성령님의 강림을 기념하는 주일이죠. 예수님은 우리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서 피 흘려 돌아가셨다가 사흘 만에 부활하시고 이 땅에 사십 일간 계셨다가 하늘나라로 승천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승천하시면서 사도들에게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1:8)”고 당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성령님이 임하셔야 권능을 받고, 권능을 받아야 사도들이 예수님의 증인이 될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도 성령님의 권능을 받아야 전도할 수 있습니다. 사도들은 예수님이 약속하신 성령님을 기다렸습니다. 우리도 성령님을 기다려야 합니다. 사도들이 기다리던 성령님이 드디어 임하셨습니다.

1) 성령님은 언제 임하셨을까요? 오순절에 임하셨습니다.(1절) 우리나라는 민족의 명절이 설날과 추석입니다. 이스라엘은 무교절과 칠칠절(맥추절, 오순절)과 수장절(장막절, 초막절)이 절기(명절)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설날로부터 15일이 되면 정월대보름인데 이스라엘은 유월절로부터 50일이 되는 날이 오순절이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명절이 되면 서울에 사는 자녀들이 시골로 내려가는데, 이스라엘은 절기가 되면 시골 사람들과 해외 동포들이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예루살렘은 평소에는 8만 명에서 10만 명 정도가 살았는데 절기가 되면 해돋이를 보려고 동해안에 관광객들이 몰리듯이 포화상태가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유월절에 돌아가셨는데 성령님은 예수님이 돌아가신 지 오십일 째인 오순절에 임하셨습니다.

2) 성령님은 어디에 임하셨을까요? ‘한 곳’(1절)과 ‘온 집’(2절)에 임하셨습니다. 한 곳과 온 집은 같은 장소로 사도들이 유하는 다락방이었습니다.(행1:13) 이층 방이었습니다. 우리 교회도 이층에 있죠. 사도행전 12장 12절을 통해 사도들이 머문 집은 마리아의 집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당시는 가부장적 시대라 마리아의 집에 임했다면 어색해지니까 마리아의 아들인 마가의 다락방에 성령님이 임하셨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3) 성령님은 누구에게 임하셨을까요? 그들에게 임하셨습니다.(1,2절) 그들은 사도행전 1장 13-15절을 통해 11 사도들과 여자들과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와 예수님의 아우들을 포함하여 120 명의 교인들에게 임하셨습니다. 구약에서는 성령님이 특별한 사람들에게 임하셨는데(민11:26-29,삼상10:6-12), 신약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임하셨습니다. 성령님은 우리에게도 임하십니다.

4) 그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요? 사도행전 1장 14절을 통해 그들은 마음을 같이 하여 오로지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승천하신 날부터 기도회를 시작하였습니다. 예수님은 유월절에 돌아가셨고 사흘 만에 부활하셔서 사십 일 동안 이 땅에 계셨고 성령님은 예수님이 돌아가신지 오십 일 만에 임하셨으니 그들은 일주일 또는 열흘 동안 마음을 모아 기도하였습니다. 7과 10은 거룩, 완전, 완성을 상징하는 숫자입니다. 우리도 마음을 모아 기도하면 성령님이 임하십니다.

5) 성령님은 어떻게 임하셨을까요? (1) 2절을 통해 성령님이 임하시는 소리가 귀로도 들렸습니다.(청각) 갑자기 하늘에서 세찬 바람이 부는 듯한 소리가 들려와 집(방)을 가득 채웠습니다. (그리스어로 성령님(프뉴마)과 바람(프노에)은 발음과 철자가 비슷했습니다. 바람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했습니다.) (2) 3절을 통해 성령님이 임하시는 모습이 눈으로도 보였습니다.(시각) 혀 같은 것들이 나타나 불길처럼 갈라지며 그들에게 임하셨습니다. 불도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했습니다. 성령님은 바람처럼 불처럼 임하셨습니다.  

6) 성령님은 왜 임하셨을까요? 예수님을 증언하라고 임하셨습니다. 우리에게도 성령님이 임하셔야 권능을 받고 권능을 받아야 예수님의 증인이 될 수 있습니다.

7) 성령님이 임하시자 무슨 현상이 일어났을까요? 4절을 통해 그들은 성령님의 충만함을 받고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성령 세례와 성령 충만을 동시에 받았습니다. 성령 세례는 예수님을 구세주로 받아들이는 순간입니다. 영적으로 태어나는 순간이죠. 성령 충만은 예수님으로 가득 차는 동안입니다. 영적으로 교제하는 기간이죠. 성령 세례는 딱 한번 받으면 되지만(일회적) 성령 충만은 날마다 받아야 합니다.(지속적) 그들은 성령 세례와 성령 충만을 받고 성령님이 시키는 대로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들은 무아지경에 말하는 천상의 방언이 아니라 외국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지상의 외국어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8) 사람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그들이 외국어로 말하는 동안 예루살렘에는 오순절을 지키러 온 해외 동포들이 머물고 있었습니다. 해외 동포들의 귀에 자기가 사는 나라 말이 들렸습니다. 그리스어로도 들렸고 이집트어로도 들렸습니다. 해외 동포들은 무슨 일이 벌어졌나 싶어 말소리가 들리는 장소로 몰려갔습니다. 그들이 외국어로 하나님의 큰일을 말하고 있었습니다. 해외 동포들은 이 광경을 보고 놀랐습니다. (1) 이 광경을 보고 무식한 갈릴리 사람들이 외국어로 하나님의 큰일을 말하자 놀라면서 신기해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전도하면 귀를 기울입니다. (2) 이 광경을 보고 무식한 갈릴리 사람들이 술에 취해서 외국어를 지껄인다고 빈정거리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전도하면 썩 가라고 소리를 지릅니다.
 

한세대학교의 김성혜 총장은 성령님을 컴퓨터의 백신에 비유했습니다.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아무리 수고해서 작업한 파일이라도 한순간에 날아가 버립니다. 그러나 컴퓨터를 백신으로 치료하면 다시 검색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듯이 우리 인생도 아무리 좋은 목표와 계획을 세웠다 할지라도 마귀가 방해하면 혼란에 빠지고 좌절하게 됩니다. 그러나 성령님이 치료하시면 다시금 인생의 목표를 바로잡고 힘차게 전진하게 됩니다. 이처럼 백신은 컴퓨터를 성령님은 우리를 치료합니다. 그러나 백신은 치료만 하지 예방은 하지 못하지만 성령님은 치료도 하시고 예방도 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령님으로 충만해지면 마귀라는 바이러스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예방도 되고 혹시 마귀가 침투했다 하더라도 성령님으로 치료받아 다시금 활력을 되찾게 됩니다.

9)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하면 성령님으로 충만해 질 수 있을까요? 우리도 그들처럼 마음을 같이하여 오로지 기도해야 합니다. 그들이 모든 걱정을 뒤로하고 기도한 것처럼 우리도 세상 걱정은 십자가 아래 내려놓고 기도에 몰입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때가 되면 성령님이 임하십니다. 하나님을 경험하지 못한 교인들은 성령님으로 세례를 받고 신앙의 확신을 갖게 되고, 신앙이 시들어버린 교인들은 성령님으로 충만해져서 열심을 회복하게 됩니다. 성령님을 체험하면 교회를 향하는 발걸음이 가벼워지고, 성령님의 능력을 받으면 복음을 전하고픈 열망이 생깁니다. 오늘은 성령강림주일이자 존 웨슬리 회심 272주년 기념 주일이기도 합니다. 사도들이 성령님으로 충만해져서 초대교회를 시작한 것처럼, 존 웨슬리가 성령님으로 뜨거워져서 감리교 신앙운동을 펼친 것처럼, 우리도 성령님을 체험하고 창대교회를 부흥시키는데 쓰임 받아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 Christian Book Award Winners



The Evangelical Christian Publishers Association (ECPA) announces the finalists for the 2010 Christian Book Awards. Presented annually to the finest in Christian publishing since 1978, the Christian Book Awards honor titles in six categories: Bibles, Bible Reference & Study, Christian Life, Fiction, Children & Youth, and Inspiration & Gift.

Five finalists are selected in each category following a stringent judging process by judging panels specially selected for each category. Each title is evaluated and scored based on category-specific criteria such as content, literary quality, design and impact. The top scoring book in each category is named the Christian Book Award winner. The Christian Book of the Year is chosen among the finalists based on its overall impact on the consumer as measured by sales.

The Christian Book Award winners and Christian Book of the Year were announced at the Executive Leadership Summit in Nashville, Tennessee, on May 3rd.

2010 Finalists
Program Information
Press Release



The Hole in Our Gospel


The 2010 Christian Book of the Year and
Winner in the Christian Life Category


The Hole in Our Gospel
Richard Stearns
Thomas Nelson, 9780785229186


Glo, Immersion Digital Bibles

Glo, Immersion Digital
Zondervan, 9780981990200
The New Moody Atlas of the Bible Bible Reference & Study

The New Moody Atlas of the Bible
Barry J. Beitzel
Moody Publishers, 9780802404411


B4UD8- Before You Date Children & Youth

B4UD8- Before You Date
Hayley and Michael DiMarco
Revell/ Baker Publishing Group, 9780800733087



Watch Over Me Fiction

Watch Over Me
Christa Parrish
Bethany House/ Baker Publishing Group, 9780764205545


Grace Notes Inspiration & Gift

Grace Notes
Philip Yancey
Zondervan, 97803102877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수와 제자들이 매일 암송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스콧 맥나이트 지음, 김창동 옮김 / 살림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저자는 사도신경보다 예수신경이 더 중요한데 그것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 5:24 사망에서 생명으로

하나님은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모양)대로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창세기 1장 27절을 통해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시고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듯이 사랑하셨습니다. 질문 1. 그렇다면 부모님이 자녀에게 가장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부모와 자녀 간의 정상적인 관계를 원할 겁니다. 그것을 효도라고 합니다. 그 다음은 자녀가 잘 되는 것을 원할 겁니다. 즉 부모와 함께 풍성한 삶을 사는 것을 원하지요. 하나님도 인간을 창조하시고 인간과 정상적인 관계 속에서 풍성한 삶을 살기를 원하셨습니다.  

질문 2. 그러나 자녀가 부모에게 반항하고 불순종했습니다. 그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네, 불효라고 합니다. 하나님도 인간을 창조하시고 가장 완벽한 생활공간인 에덴동산에서 살게 하셨는데 인간이 하나님께 반항하고 불순종했습니다. 그것을 죄라고 합니다. 하나님은 이사야서 59장 2절을 통해 “오직 너희 죄악이 너희와 너희 하나님 사이를 갈라놓았고”라고 말씀합니다. 죄가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갈라놓았습니다.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은 후손에게도 유전되었습니다. 로마서 3장 23절을 통해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라고 말씀합니다. 인간은 모두 죄를 저질러 죄인이 되었습니다.

질문 3. 여러분은 자신이 완전하다고 생각합니까? 아닐 겁니다. 우리가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언제나 죄를 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죄인이라는 겁니다. 이 말씀에 동의합니까? 동의할 겁니다. 하나님은 로마서 6장 23절을 통해 “죄의 삯은 사망이요”라고 말씀합니다. 죄를 지으면 죽음을 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한 번 죽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히브리서 9장 27절을 통해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라고 말씀합니다. 죄인은 한번 죽고 나서 심판을 받는다고 말씀합니다. 요한계시록 21장 8절을 통해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던져지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고 말씀합니다. 죄를 지으면 육적으로도 한번 죽고 영적으로도 또 한 번 죽습니다. 둘째 사망은 지옥에 던져지는 겁니다. 지옥은 죽을 라야 죽을 수 없는 영원한 형벌의 장소입니다.

질문 4. 여러분은 혹시 잘못하면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습니까? 인간은 죄를 저지르면 본능적으로 죄책감을 느낍니다. 또한 인간은 영원한 세계를 사모하는 본능도 있습니다. 하나님은 전도서 3장 11절을 통해 “사람들에게는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을 주셨느니라.”라고 말씀합니다. 인간은 영원한 세계를 가기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습니다. 어떤 사람은 종교를 통해서 영원한 세계를 깨달으려고 했고, 어떤 사람은 선행을 통해서 좋은 데를 가려고 했고, 어떤 사람은 교육을 통해서 완전한 인간이 되려고 했고, 또 어떤 사람은 물질을 통해서 영원한 만족을 누리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사도행전 4장 12절을 통해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천하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고 말씀합니다. 종교로도, 선행으로도, 교육으로도, 물질로도 영원한 세계에 이를 수 없습니다. 여러분 등산해 보신 적이 있습니까? 어떤 사람이 등산을 하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엄청나게 고생을 했습니다. 한번 잘못 간 등산길은 되돌아올 수 있지만 한번 잘못 간 인생길은 돌이킬 수 없습니다. 잠언서 14장 12절을 통해 “어떤 길은 사람이 보기에 바르나 필경은 사망의 길이라”고 말씀합니다. 인간은 자기의 길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자기가 간 길에 대해서 책임도 져야 합니다. 우리는 깜깜한 밤을 항해하는 배처럼 어디로 갈지 몰라 방황하고 있습니다. 그때 등대에서 빛을 비추어 주듯이 하나님께서 구원의 길을 비춰주셨습니다. 그분이 예수님입니다.

질문 5. 여러분은 부모님에게 회초리를 맞아본 적이 있습니까? 아마 있을 겁니다. 부모님이 우리가 미워서 때리지 않았듯이 하나님도 우리가 죄를 저질렀어도 미워하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은 요한복음 3장 16절을 통해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살리시기 위해 예수님을 보내셨습니다. 요한복음 14장 6절을 통해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은 하나님께로 가는 유일한 길입니다. 예수님은 진리입니다. 생명입니다. 로마서 5장 8절을 통해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의인이라서가 아니라 죄인이었는데도 예수님을 죽이심으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보여주셨습니다. 베드로전서 3장 18절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단번에 죄를 위하여 죽으사 의인으로서 불의한 자를 대신하셨으니 이는 우리를 하나님 앞으로 인도하려 하심이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대신 지시고 돌아가셔서 하나님께로 갈 수 있는 길을 여셨습니다. 예수님은 죽으신 것으로 끝나지 않고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고린도전서 15장 3-4절을 통해 “내가 받은 것을 먼저 너희에게 전하였노니 이는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시고 장사 지낸 바 되셨다가 성경대로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사”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은 사흘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질문 6. 여러분 부활은 죽었다가 살아났다는 말인데 이 사실이 믿어집니까? 솔직히 안 믿어지죠. 영국에 루이스 월리스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어릴 적부터 신앙교육을 받고 자랐지만 예수님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셨다는 말씀은 특히 믿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불신앙을 가지고 군인의 길에 들어서 대영제국의 삼성장군이 되었습니다. 그는 역사에도 박식했고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습니다. 그는 어느 날 장군으로서의 명예와 역사학자로서의 지식과 문학도로서의 재능을 발휘하여 예수님의 부활을 거짓이라고 증명하려고 연구에 몰두하였습니다. 2년 후 그는 자신이 수집한 자료를 검토해보니 예수님의 부활은 허구가 아니라 엄연한 사실이었음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고 부활을 주제로 두 가지 책을 썼습니다. 첫 번째 책은 [무덤의 돌은 어디에?]였고 두 번째 책은 [벤허]였습니다. 여러분 벤허아시죠? 불후의 명작 벤허는 이렇게 탄생하였습니다. 예수님은 역사의 분기점입니다. BC는 예수님의 탄생 이전이고 AD는 탄생 이후입니다. 예수님은 저와 여러분의 죄를 씻기 위해 돌아가셨다가 사흘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여러 사람이 여러 차례 목격했기 때문에 신화가 아니라 역사적인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요한복음 5장 24절을 통해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으면 심판을 받지 않고 영생을 얻게 됩니다.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집니다.

질문 7.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떤 삶을 살겠습니까? 예수님을 믿지 않고 심판을 받겠습니까? 아니면 예수님을 믿고 영원한 생명을 얻겠습니까? 영원한 삶을 선택하겠죠? 그렇죠? 하나님은 요한복음 1장 12절을 통해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을 믿는 것은 예수님을 영접하는 겁니다. 영접은 예수님을 내 마음에 초청하는 겁니다. 요한계시록 3장 20절을 통해 “볼지어다. 내가 문 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내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내가 그에게로 들어가 그와 더불어 먹고 그는 나와 더불어 먹으리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을 영접하면 예수님은 여러분과 여러분은 예수님과 교제하게 됩니다. 로마서 10장 10절을 통해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르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을 영접하려면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시인해야 합니다. 이제 예수님을 믿고 영접하시겠습니까? 그러면 저를 따라해 주십시오. 하나님, 예수님께서 저희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피 흘려 죽으시고 사흘 만에 부활하셨음을 믿습니다. 이제 저희가 예수님을 주님으로 맞이합니다. 저희 마음에 들어오시어 인생의 주인이 되어 주옵소서. 이제는 저희의 생각과 욕심을 버리고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아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imssim 2010-05-17 1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인생의 분기점...예수님이 맞지요.
좋은 말씀 잘 읽었습니다. 행복한 사역하시기를 기원합니다.
 

2010년 5월 13일(목) 오후 5시 30분에 빛과 소금교회에 모여 이동지역 목회자 협의회를 창립하다. 7월 5일(목) 오후 6시에 명성교회에서 다시 만나기로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