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운용 지음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한국에 내러티브 설교를 소개한 선구자는 이연길 목사님이다. 그는 한국의 유진 로우리이다. 나는 그를 통해 로우리의 팬이 되었다. 나는 로우리의 이론서와 실제서를 탐독하고 내러티브 설교를 시도해 보았다. 나는 주제에 따라 개념을 배열하는 건축기사에서, 사건을 흥미진진하게 이끌어 나가는 영화감독으로 변신하였다. 아직도 2 %가 부족하였다. 내가 내러티브 설교에 목말라 헐떡이고 있을 때에 신 설교학을 전공한 김운용 박사가 오아시스처럼 등장하였다. 그는 기독교사상을 통해 신 설교학을 체계적으로 소개하였다. 그걸 손질한 게 이 책이다. 이 책은 신 설교학의 교과서이다. 나는 그를 통해 내러티브 설교라는 좁은 강을 배회하다 신 설교학이라는 넓은 바다로 진출하였다. 내러티브 설교는 신 설교학의 일부였다. 나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하듯이 모든 신 설교학은 크래독으로 통한다는 사실을 배웠다. 크래독은 신 설교학의 아버지였다. 나는 설교의 중심사상을 제시하고 강화하는 연역법에서,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여 복음을 경험하는 귀납법으로 변신하였다. 내가 로우리를 이물에, 크래독을 고물에 태우고 위풍당당하게 항해하고 있을 때에 버트릭이라는 안개를 만났다. 그는 난해하였다. 나는 청중들을 포수로 삼아 말씀을 던지는 투수에서, 마음의 필름 속에 말씀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사진작가가 되고 싶었다. 내가 사진술을 익히기도 전에 캠벨이라는 해양경찰이 길을 막았다. 그는 플롯보다는 등장인물을, 비유보다는 나사렛 예수를 강조하는 신 설교학의 이웃사촌이다. 그는 신 설교학을 성경으로 인도하는 예인선이다. 내가 신 설교학으로의 여행을 계속하는 동안 전통주의 설교학이라는 태풍이 심심찮게 몰아닥쳤다. 신 설교학이 본문을 무시하고 청중의 상황을 우선할 때, 내용을 무시하고 전달에 치중할 때, 신앙공동체를 무시하고 실존적인 문제해결에 매달릴 때에 A급 태풍으로 돌변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