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 1:26-38 말씀대로 이루어지이다.

예수님의 어머니 이름은 마리아입니다. 가톨릭에서는 성모 마리아 또는 천상모후(天上母后)라고도 부르며 공경합니다. 마리아의 조각상을 성모상(聖母像)이라 하고, 마리아에게 바치는 기도를 성모송(聖母誦)이라 하고, 마리아를 공경하는 호칭을 부르며 드리는 탄원기도를 성모호칭기도(聖母呼稱祈禱)라고 하고, 마리아가 보여준 신앙의 모범을 따르고자 성모 마리아와 관련된 사건들을 기념하기 위해 마리아 축일[Marian Feasts]을 만들었습니다. 가톨릭에서는 마리아가 하나님과 사람 사이를 중재하는 하늘의 여왕이라고 떠받들지만, 개신교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연약한 인간이라고 여깁니다. 마리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마리아의 숭고한 신앙은 본받을 만합니다.

마리아는 하나님의 은혜로 선택되었다.

마리아는 유대 나라의 북부인 갈릴리 지방 나사렛 마을에서 살았습니다. 나사렛은 인구가 2천 명 정도인 시골 마을로 나사렛 사람들은 양을 치거나 농사를 지었습니다. 그 당시 목자나 농부는 가난했습니다./ 마리아의 나이는 12살에서 14살 정도로 다윗의 자손인 요셉이란 청년과 약혼한 사이였습니다. 그 당시는 약혼을 하고 1년 동안 각자의 집에서 따로 살다가 결혼을 하고나서 함께 살았습니다. 오늘날로 보면 중학생이지만 평균 수명이 짧았던 2천 년 전에는 결혼적령기였습니다./ 마리아는 시골에서 살았기 때문에 가난했고, 성인 남자만을 사람으로 여겼던 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미천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런 마리아에게 천사장 가브리엘을 보내셨습니다.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인사를 건넸습니다.(28절) “은혜를 받은 자여 평안할지 어다. 주께서 너와 함께 하시 도다.” 천사는 마리아에게 은혜를 받은 자라고 인사했습니다. 마리아는 천사를 보고 놀랐다기보다 인사를 듣고 놀랐습니다.(29절) 마리아가 인사를 받을 만한 신분이 아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브리엘은 마리아를 안심시키며 기절초풍할 소리를 전했습니다.(30-31절) “마리아여 무서워하지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입었느니라.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하나님은 예수님의 어머니로 마리아를 선택하셨습니다. 마리아가 사회적인 신분이 높아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선택되었습니다. 하나님은 마리아에게만 은혜를 베푸신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은혜를 베푸셨습니다. 하나님은 로마서 3장 23절-24절을 통해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마땅한 죄인들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시어 우리를 구원해 주셨습니다.(롬3:21-26,고후5:14-21,갈2:15-21,딤후1:9,딛3:3-7) 우리는 구원받을 만한 아무런 자격도 없지만 하나님은 아무런 대가도 요구하지 않으시고 호의를 베푸셨습니다.

마리아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잉태되었다.

마리아는 임신했다는 소리를 듣고 어이가 없어 가브리엘에게 물었습니다.(34절) “나는 남자를 알지 못하니 어찌 이 일이 있으리이까?” 하나님은 27절과 29절을 통해 마리아가 순결한 처녀라고 말씀합니다. 마리아도 남자와의 관계를 부인합니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미생물 특히 단세포 세균은 하나의 세포가 2개나 여러 개로 분열되어 무성생식을 하지만 생물은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유성생식을 합니다. 사람도 생물인데 마리아가 남자 없이 임신할 수는 없었습니다. 가브리엘이 대답했습니다.(35절)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이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시리니 이러므로 나실 바 거룩한 이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어지리라.” 가브리엘은 마리아가 성령님의 능력으로 임신했다고 알려주었습니다. 가브리엘은 계속하여 “보라. 네 친족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배었느니라. 본래 임신하지 못한다고 알려진 이가 이미 여섯 달이 되었나니 대저 하나님의 모든 말씀은 능하지 못하심이 없느니라.”고 말했습니다. 가브리엘은 불임 여성인 마리아의 친족 엘리사벳도 하나님의 능력으로 임신하여 벌써 여섯 달이나 되었다고 알려주었습니다. 하나님은 하지 못하시는 일이 아무것도 없으십니다. 성경에는 불임 여성들이 아이를 낳은 말씀이 여러 번 나옵니다.(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는 90세에 아들 이삭을 낳았습니다. 아브라함의 나이는 100세였습니다.(창21:1-7) 이삭의 아내 리브가는 남편의 간구를 하나님이 들으시고 쌍둥이 아들 에서와 야곱을 낳았습니다.(창25:21-26) 야곱의 아내 라헬은 하나님이 불쌍히 보시고 소원을 들어주셔서 아들 요셉을 낳았습니다.(창30:22-24) 마노아의 아내는 여호와의 사자가 아들을 낳으리니 나실인으로 바치라고 하고 아들 삼손을 낳았습니다. (삿13:2-25) 엘가나의 아내 한나는 아들을 낳으면 하나님께 봉헌하겠다고 약속하고 아들 사무엘을 낳았습니다.(삼상1:19-20)) 하나님은 전능하신 하나님입니다. 모든 것이 가능한 하나님입니다. 하나님은 마태복음 19장 26절을 통해 “사람으로는 할 수 없으나 하나님으로서는 다 하실 수 있느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막10:27) 전능하신 하나님은 우리도 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마가복음 9장 23절을 통해 “할 수 있거든이 무슨 말이냐 믿는 자에게는 능히 하지 못할 일이 없느니라.”고 말씀하셨고, 빌립보서 4장 13절을 통해 “내게 능력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할 수 없지만 하나님을 믿으면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불가능하지만 하나님의 능력을 덧입으면 모든 것이 가능해 집니다.

마리아는 믿음으로 순종하였다.

마리아는 성령님의 능력으로 임신했다는 소리를 듣고 믿음으로 순종했습니다.(38절)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 지이다.” 성경에는 불임 여성에게 아들을 주겠다고 말했을 때에 여러 가지 반응이 나옵니다.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는 그 말씀을 듣고 피식 웃었습니다.(창18:9-15) 그래서 아들의 이름을 ‘그가 웃다.’라는 뜻으로 ‘이삭’이라고 지었습니다. 제사장 사가랴는 그 말씀을 의심하였습니다.(눅1;18) 그래서 벙어리가 되었다가 아들을 낳고 천사의 말대로 이름을 요한이라고 지어 주자 입이 열리고 혀가 풀렸습니다. 그러나 미천한 시골 처녀 마리아는 목숨을 걸고 믿음으로 순종했습니다. 그 당시 약혼한 여자가 다른 사람의 아이를 가진다면 엄청난 시련이 따랐습니다. 약혼자가 결혼을 거절하면 평생을 독신으로 살면서 여자가 직업을 가질 수도 없기 때문에 거지가 되거나 창녀가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성령님의 능력으로 임신했다고 말한다면 미친 여자라고 취급당할 것이 뻔했습니다. 마리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말씀을 믿고 모든 위험을 감수하고 순종하였습니다. 믿음은 전자계산기로 두드려서 수지타산을 맞춰보고 반응하는 것이 아닙니다. 믿음은 약속을 믿고 모험을 감수하는 겁니다. 하나님은 마리아에게만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믿음을 요구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어쩔 수 없는 상황까지 내몰려서 할 수 없이 복종하는 것 보다는 위험을 감수해서 라고 자발적으로 순종하기를 바라십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마리아처럼 주님의 약속을 믿고 믿음으로 반응하십니까? 아니면 자신의 머리로 판단해 보고 결정하십니까? 하나님은 믿음을 가진 한 여인을 통해 하나님의 아들을 세상으로 보내셨습니다. 그렇듯이 하나님은 믿음을 가진 한 사람을 통해 세상을 놀랍게 변화시키기를 원하십니다. 그 사람이 저와 여러분이 되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은 저와 여러분의 믿음을 거름으로 삼아 하나님의 놀라운 일이라는 열매를 맺으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