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진리
낸시 피어시 지음, 홍병룡 옮김 / 복있는사람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이 없다.’는 속담은 ‘소문난 책에 읽을거리가 많다.’는 경구로 바뀌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은 2005년 미국 복음주의 출판협의회(ECPA) 기독교와 사회 부문 금메달 도서 상(Gold Medallion Book Award) 수상과 Christianity Today지 기독교와 문화 부문 공로상(Awards of Merit) 수상작답게 탁월한 책이다. 하나님은 천지와 만물을 창조하시고 인간에게 통치를 위임하셨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복을 주시면서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말씀하셨다. 사회적 세계를 개발하라는 명령이다. 인간은 가정을 꾸미고 교회를 세우고 직장을 다닌다. 하나님은 땅을 정복하라고도 말씀하셨다. 자연적 세계를 개발하라는 명령이다. 인간은 청계천도 복원하고 대운하도 건설한다. 이것을 문화 명령(cultural mandate)이라고 한다. 인간은 문화를 창조하고 문명을 건설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인간의 직업은 밥벌이를 위한 천박한 수단이 아니라 창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거룩한 소명이다. 그러나 죄가 창조명령을 훼손하였다. 죄는 인간의 본성을 오염시켰지만 인간은 희미하게나마 하나님의 형상을 반영하고 있다. 죄는 인간의 소명을 힘겹게 만들었지만 인간은 수고를 통하여 문화명령을 수행하고 있다. 구원은 죄로 인해 훼손된 창조명령을 회복하는 것이다. 구원은 인간의 영혼만이 아니라 지성과 감정과 의지 등 인격 전체를 구속하는 것이다. 우리의 소명은 하늘나라로 가는 것만이 아니라 땅을 경작하는 것이기도 하며 우리의 소명은 영혼을 구원하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가 하는 일을 통해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땅은 우리의 본향이 아니다. 우리는 새 하늘과 새 땅을 바라봐야 한다. 우리가 이 땅에서 문화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새 하늘과 새 땅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이 땅과 새 하늘과 새 땅은 연속성을 지닌다. 우리의 여정은 계속된다. 성경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고(잠1:7,9:10,15:33)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와 지식의 모는 보화가 들어있다(골2:3)고 말씀한다. 성경은 인간과 우주에 관한 궁극적 답변이다. 기독교는 종교적 진리가 아니라 총체적 진리이다.(프란시스 쉐퍼) 이것이 기독교 세계관이다. 그러나 죄가 창조명령을 훼손하였듯이 이원론이 기독교 세계관을 훼손하고 있다. 이원론 자들은 성(聖, sacred)과 속(俗, secular)을 분리하여 성경의 진리를 기독교의 진리로 축소시키려 한다. 진보적인 언론과 시민단체들이 이원론의 홍위대다. 그들은 교회가 사회에 대한 책임을 망각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대선에 개입하는 목사들을 불량한 목사로 매도하고 있다. 나는 목사들이 태안 앞바다에 가서 방제 작업을 하는 것도 그리고 선호하는 후보를 지지하는 것도 사회적 책임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이원론과 전면전을 선포한다. 손자(孫子) 모공편(謀攻篇)에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태(百戰不殆)라고 했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이원론의 실체를 낱낱이 파헤친다. 그리고 저자는 기독교 세계관을 확실히 정립해 준다. 저자는 세상의 언어를 이기기 위해 믿음의 언어로 무장시켜 준다. 이제 적용할 일만 남았다. 저자는 적용방법도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당신의 현장에서 이원론과 싸워 승리하길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