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월의 저택 폴라 데이 앤 나이트 Polar Day & Night
레이 브래드버리 지음, 조호근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정신줄을 꽉 붙잡아야 한다. 잠시라도 딴 생각을 하는 순간, 정신과 눈이 분리되버린다. 날아다니는 듯한 현란한 문장과 현실을 벗어난 괴상망측한 배경 때문에 혼란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소설 속에 일단 빠져들면 잘 만들어진 디즈니 애니메이션 세상 속에 들어온 것 같다. 모든 것이 유연하고 자유로우며, 머릿속에 뚜렷하게 상상된다. 유령들 사이에 홀로 살아있는 인간 소년 티모시와 함께 상상 속 시월의 저택 안에서 유령들과 자유롭게 뛰어놀면 된다. 그 유령들의 모습이 꼬마 유령 캐스퍼처럼 귀엽고 깜찍하진 않지만, 꽤 다정하고 재밌기도 하니까. 

영원히 죽지 않는, 아니 영원히 죽은 채로 살아가는 존재들이 한 곳에 모인다. 죽은 지 4,000년 된 이집트 미라부터 세상 모든 것에 깃들 수 있는 영혼의 소유자 '세시'까지 흥미롭고 신기한 존재들이 소설 전체를 꾸미고 있다. 환상문학의 대가 레이 브래드버리는 이 소설을 무려 55년 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그것도 오랜 시간 다양한 잡지사에 게재했던 작품들을 한데 모으고 엮어서 연작소설로 만들었다. 그는 어릴 적 가족들과 함께 준비하던 핼러윈을 추억하기 위한 소설을 꼭 쓰고 싶었다고 한다. 그래서 책에 나오는 모든 유령들은 대부분 그의 가족들을 모델로 하고 있다. 큰 날개를 달고 멋지게 하늘을 날아다니는 에이나르 아저씨는 실제 그의 숙부를 모델로 했다고 한다.  

「"부디, 제발, 저도 지금 도착할 가족들처럼 자라나게 해주세요. 늙지도 않고, 죽을 수도 없는 존재가 되게 해주세요. 다른 가족들은 자기들이 어떻게 해도 죽을 수가 없거나, 먼 옛날에 이미 죽은 이들이라고 말했어요. 세시도 그렇게 말하고, 어머니와 아버지도, 할머니도 그렇게 속삭이시는데, 그리고 이제 다른 가족들도 모두 오는데 저는 아무것도 될 수가 없어요. 벽을 뚫고 들어오거나 나무 위에 살거나 땅속에 살다가 17년 만에 비가 내리면 물을 타고 흘러나오는 이들도, 무리를 지어 뛰어나오는 이들도 될 수가 없어요! 저도 그렇게 되게 해주세요! 모두 영원히 사는데, 왜 저는 그럴 수 없나요?"」
< 시월의 저택 p. 61>

이미 죽어 육신이 없는 유령들은 그 무엇이든 될 수 있다. 낮에는 포도주에, 창문 틀에 깃들어 잠을 자다가 밤이 되면 다시 살아나 밤새 파티를 즐긴다. 티모시는 뭐든지 될 수 있는 유령들이 부럽다. 유령들 사이에서 혼자 다른 존재니 오히려 자신이 이상하고, 불가사의하게 느껴질 수밖에. 커다란 날개를 가진 에이나르 아저씨와 함께 하늘을 날아본 티모시는 지옥과 악마에게 기도한다. 자기에게도 날개가 돋아나게 해달라고. 

「석양은 사라지기 때문에 사랑받는다. 
꽃은 질 운명이기 때문에 사랑받는다.
들판을 뛰노는 개와 부엌에 웅크린 고양이를 사랑하는 것은 그들이 머지않아 떠날 이들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게 유일한 이유는 아니겠지만, 아침 인사와 오후의 웃음의 깊은 이면에는 작별의 약속이 숨어 있다. 늙은 개의 회색 주둥이에서 우리는 작별 인사를 찾아낸다. 나이 든 친구의 지친 얼굴에서 우리는 귀향보다 먼 곳으로 돌아가는 기나긴 여행길을 읽어낸다. 」 <p.182>

모든 것은 태어나고, 살아가고, 죽는다. 죽음 이후의 삶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이렇게 과학이 발달한 시대가 되어도 아직 사람들은 죽음의 비밀을 밝혀내지 못했다. 왜 죽는 건지, 죽은 후엔 어디로 가는 건지,  혹은 또 다른 삶이 이어지는 건지 아무것도 모른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언제 찾아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렇게 사람들은 언제 죽음이 찾아올지 모른 채 매일매일을 살아간다. 

「"그러니까, 여러분은 행복한가요? 그걸 모르겠어요. 저는 슬픈 기분만 들거든요. 때론 한밤중에 깨어나서 울곤 해요. 여러분은 아주 오랜 시간을 사는데, 끝없는 시간이 있는데, 그 모든 시간을 써도 별로 행복한 것 같지가 않거든요."
"아, 그렇지. 시간은 무거운 짐이니까. 우린 너무 많은 것을 알고 너무 많은 것을 기억한단다. 너무 오래 산 것이 분명하지. 가장 좋은 방법은 말이다, 티모시, 네가 얻은 새로운 지혜를 이용해 충실한 삶을 사는 거란다. 매 순간을 즐기다가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자리에 누워서 행복한 기분으로 모든 순간을, 모든 시간을, 흘려보낸 매년을 충실하게 살았고, 우리 가족의 사랑을 받았음을 떠올리는 거지, 자, 그럼 떠날 준비를 하자꾸나."」  <p. 222>

산자의 시간은 유한하고, 죽은 자인 유령의 시간은 무한하다. 살아있다는 건 그래서 아름다운 게 아닐까? 
"이상하지? 살아있다는 건, 참 아슬아슬하게 아름다운 일이란다" 
어디선가 본 최승자 시인의 말이 떠오른다. 삶이란 언제 꺼질지 모르는 아슬아슬한 촛불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촛불이 꺼지면 비로소 영원한 시간을 가진 유령이 되는 걸까? 

유령에게 그 어떤 능력이 있다해도 나는 아슬아슬하게 아름다운 지금의 촛불 같은 삶이 더 좋다. 
다만, 세상 모든 것에 깃들어 꿰뚫어볼 수 있는 '세시'의 능력은 좀 부럽긴 하네.. 쩝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