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내지 마 민음사 모던 클래식 3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노벨상 수상 작가의 작품은 어렵다는 편견이 있다. 그 중에서 그나마 읽기 수월하다는 책을 한권 골라들었다. <네버 렛미 고>라는 제목의 영화로도 개봉된 적이 있는 <나를 보내지 마>는 복제인간에 관한 SF소설이다. 말이 SF소설이지, 소설이 끝날 때까지 내가 기대했던 스릴 넘치는 이야기는 단 한줄도 나오지 않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 캐시의 회고로 이어지는 이 소설은 캐시가 헤일셤에서 함께 공부했던 친구들인 루스와 토미에 대한 일상적이고 소소한 이야기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소재가 복제인간인 걸 모르고 읽었다면, 소설 중반에 이르도록 알쏭달쏭하기만 했을 것이다. 

이 소설은 말하고 싶은 주제를 철저히 감추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심지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하고 싶은 말을 명백하게 하지 않고 감추는 경우가 많아 서로 말할 타이밍을 놓치거나 속으로만 끙끙 앓는 경우가 많다. 마치 독자들을 일부러 속 끓게 하는 것처럼 정작 궁금한 복제인간에 관한 내용은 인물들의 대화 속에서 언뜻언뜻 양념치듯 살짝 언급될 뿐이다. 그래서 아무런 설명없이 갑자기 튀어나오는 기증자, 간병인, 근원자 같은 단어들로 이들이 보통 인간과 다른 삶을 살게된다는 것을 언뜻 인식하게 될 뿐이다. 

헤일셤에 있는 클론들은 그래도 축복받은 측에 속하는 셈이다. 그들은 학교에 다니며 교육을 받고, 친구를 사귀며, 매번 건강검진을 받으며 몸을 관리한다. 그 중에서도 담배는 절대 피면 안되는 항목 중 하나이다. 본인의 몸이 아니라 추후에 기증을 해야하는 몸이기 때문이다. 서로 성관계 갖는 것은 오히려 권장하는 항목이긴 하지만, 이들은 아이를 낳을 수 없도록 설계된 몸이다. 이런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이들은 보통 사람들과 전혀 다른 부분이 없다. 친구끼리 소소하게 다투고 화해하고, 마음을 나누는 일상적인 일들이 반복되는 하루들이다. 작가가 친구들 사이에 일어난 소소한 사건과 감정들을 하나하나 너무나 디테일하게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미묘한 감정과 개인의 성격까지 자세하게 파악하게 되지만, 신기한 것은 겉모습에 대한 묘사는 하나도 없다. 이들이 어떻게 생겼을까 상상 해보려했을 때, 문득 이들의 모습에 대한 얘기는 하나도 없었던 것이 생각나서 좀 의아했다. 

이들이 헤일셤을 졸업하고 코티지로 이동하게 되어 다른 곳에서 이동해온 전임자들을 만나면서 새로운 소문을 하나 듣게 된다.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서 둘이 커플임을 증명하게 되면 기증을 몇년 미룰 수 있다는 정보이다. 그렇다면 그들의 진심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 것인가. 그게 정말 사실일까 고민하던 그들은 헤일셤에서 선생님들이 그림을 그리는 행위에 대해 많이 강조했던 것을 생각해냈다. 좋은 작품은 '마담'이라는 사람이 바깥세상으로 가져가기도 했는데 화랑이라는 곳에 전시된다고 했다. 자신들의 그림을 왜 가져갈까 고민했던 캐시와 토미는 그림에 사람의 영혼과 진심이 담겨있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그래서 토미는 자신의 영혼을 담아 상상 속 동물을 아주 세밀하게 매일 조금씩 그려나가기 시작한다.

이들은 그렇게 어른이 된다.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이 다가오고 루스와 토미는 기증자가 되고 캐시는 간병인으로 활동한다. 모든 복제인간은 기증자 아니면 간병인 밖에 될 수 없고, 간병인도 그 일이 끝나면 결국 기증을 해야 한다. 캐시는 자신의 친구들인 루스와 토미를 곁에서 간병하며 지켜본다. 그러던 어느 날 캐시는 헤일셤에 가끔 찾아왔던 마담을 길에서 보게되고 그녀를 찾아가서 그동안 그들이 몰랐던 충격적인 진실들을 듣게 되는데.....

「이제 이 나라 어디에서도 헤일셤 같은 곳은 찾아볼 수 없단다. 이제 남은 건 정부가 운영하는 거대한 '사육장'뿐이다. 그곳의 상황이 과거보다 좀 나아졌다 해도, 얘들아, 그런 곳에서 지금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면 너희는 며칠동안 잠을 이룰 수없을거다. 」
<p.363>

《나를 보내지 마》는 복제인간들의 평범하고 인간적인 일상만을 보여주는 소설인데, 소설을 다 읽고 나면 작가가 일일히 말해주지 않은 소설 속 현실 저 너머의 이야기가 더 크고 무섭게 다가오는 소설이다. 인간들이 어떻게 복제인간을 만들었고, 사육되듯 키워진다는 복제인간들의 실상은 어떤 것인지, 일반인들은 실제로 복제인간들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는지, 복제인간 본인들은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들의 삶의 목표가 건강한 장기이고, 모든 것을 다 내준 후 죽는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해 나오지 않는다. 그런데 그런 내용들이 구구절절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소설을 다 읽고 나면 혼자 생각해보게 된다. 배경에 커다랗고 검은 이야기가 통째로 남겨진 채 이야기가 끝나는 느낌이다. 

내가 태어났는데 일반인이 아니라 복제인간이라면? 난 분명 나일 뿐인데 근원자의 복제품일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그래서 내 인생의 목표가 장기기증이라면, 그러면 난 어떨까.  단지 태어났을 뿐인데 온전한 내가 될 수 없다니, 누군가의 소모품일 뿐이라니, 내 목숨을 누군가에게 구걸해야 하다니, 이게 말이 되는 상황일까? 

복제인간이 등장하는 다른 영화에서는 그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위해 도전하고 고군분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반해 《나를 보내지 마》의 주인공들은 처절한 현실을 다 알게 되고도 그냥 받아들인다. 토미는 4번이나 기증을 한뒤 죽음을 맞이하고, 죽음을 맞이한 뒤에는 남아있는 장기마저 모두 빼앗길 예정이다. 본인의 동의는 필요없다. 원래 그러려고 애초에 태어난 것이니까. 

너무 잔잔하고 인간적이라 더 슬프고 애잔하다. 소설의 배경에 숨어 장기를 기증받아 살려고 발버둥치는 사람들도 결국엔 다 인간이라는 사실이 슬프고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