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종의 라틴화첩기행 문학동네 화첩기행 5
김병종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양평 닥터박 갤러리에 갔을때 색깔이 예쁘고, 동화적이면서 귀여운 그림을 보았다. 딱 보는 순간 누구의 그림인 줄 알았다. 화가 김병종이었다. 그냥 보고 있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슥슥 삭삭 붓질만 몇 번 했을뿐인데 비움이 들어 있고, 생기가 어려 있다. 그리고 칼라가 마음에 쏙 든다. 광주 얼굴박물관의 김정옥 관장이 아는 사람중에 김병종 화가가 있어 놀라기도 했다.

그림을 그리면서 글까지 잘 쓰는 사람도 많고, 사진을 찍으며 글을 잘 쓰는 여행가도 많다. 문학과 그림은 전혀 다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동시에 그리워한다. 김병종화가의 글을 읽으면 수사가 현란하다. 내가 기분이 좋을때는 붕붕 뜨게 만들고, 기분이 좋지 않을때는 뭐가 말이 이렇게 많아 하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라틴을 좋아하고, 친구에게 종종 남미여행이야기를 듣고, 디에고의 그림액자가 침실에 있을정도이니 라틴을 소재로 한 김병종의 라틴화첩기행은 부러움의 대상이다.부에나비스타쇼설클럽에 나온 해변을 걷고, 헤밍웨이가 즐겨 찾았던 바를 찾고, 열정의 탱고를 보고 한마디로 더 이상 좋을수는 없다. 그기에 그림까지 슥슥 삭삭 그리니. 그의 여행이 어떠했는지는 말하지 않아도 뻔하다. 책 제일뒷 표지는 액자를 만들어도 좋을 이어진 그림이 있는데 이건 마음에 든다. 그런데 나는 그의 수사가 좋은건지 나쁜건지 확실하게 말할수 없다. 공감의 마음이 들다가도 아니기도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한번 거창하다.
하지만 그래도 가입을 하며 물어온 질문

1. 가장 재미있었던책?
2. 당신이 한달에 책을 구입하는데 드는 비용은?
3.누구에의해여기까지?

이렇게 3가지 질문을 던졌다. 매번 질문에 조금씩 망설였다. 질문이 정확하게 저랬는지는 모르겠다. 어제의 일이니까. 하지만 뜻은 맞다. 가장이란 말이 들어가면 고르기 힘들다. 박경리의 토지를 넣었다. 왜냐하면 내가 번 돈으로 최초로 산 전집이였고, 우리문학에 대한 새로운 발견으로 최초의 의미와 얼마전 작고하신 작가가 동시에 떠올랐다. 원주토지문화관은 아직 가보지 못했지만...마음의 작가니까. 두번째 질문에 답을 쓰고는 진짜야? 하고 자신에게 물었다. 사실 한번 구입에 십만원이 넘을때도 있지만 최근에는 도서관이용말고 직접 책을 구매한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십만원내외라고 적었는데 조금은 거짓말이 포함된것이라고해야 겠다. 모임에 참가한 사람중에는 한달에 백만원에 상당하는 책을 산다고 했다. 물론 일에 필요한것일수도 있지만 백만원치의 책을 사는 사람은 최소한 백만원이상의 월수입이 있는 사람이므로 생각의 요지가 많다. 이건 그냥 인상적이었기때문에. 나의책구입은 일단 도서관에서 검증이 되었거나 진짜 좋아하는 작가일경우이고 웬만해서는 도서관을 이용하는편이라 실재 구매금액은 많지 않다. 책이라는것이 금새 책장을 차지해 책을 꽂기위한 공간과 책꽂이가 필요하다는 이상한 일이 발생하게 되는데... 책장에 책이 꽂혀 있다고 해서 다 읽은 책도 아니거니와 꼭 좋아하는 책을 꽂아 두는것은 아니어서. 이상하기도하다.

가입조건에 누구에 의해 여기까지는 친구의 간절한 부탁, 함께 꼭 가달라는. 사실, 낮에 전화를 받고 사이트에 들어가보지도 않았고, 주말 아침 일찍 일어나 서울 그기다 신촌까지 가야 한다는 사실이 부담스러웠다. 달콤한 주말아침을 포기할정도로 매력적인 거래가 아니었다.

오늘 나는 토요일 참가 후 몇권의 추천도서를 적어왔지만, 사실 사고 싶었지만, 내가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던 책들로 구매를 했다. 아, 점심먹으러 가야겠다. 나중에 다시.

080708 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놀로 블라닉 신고 산책하기 - 소설가 백영옥의 유행산책 talk, style, love
백영옥 지음 / 예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백영옥 트랜드샷을 만난 곳은 일간신문 칼럼에서였는데, 가볍지만 가볍지 않은, 밉지만 밉지않은 그녀의 톡톡쏘는 말은 어떨땐 비웃음으로 어떨땐 질투로 받아 들여졌다.

마놀로 블라닉 구두를 신고 산책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을 그녀는 현대를 살아가는 도시인이라면 받아 들여야 하고 더해 세상을 받아 들여야 한다며 산책도 마놀로 블라닉 구두를 신고 발이 아플지언정 우아하고 폼나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 제아무리 유식해도, 예를 들어 어떤 소설가를 좋아해요. 해도 구질구질하다면 그건 아니라는거다.

외면이 자신을 드러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그녀는 자신을 알기도 힘든데, 어떻게 '타인'을 알겠는가, 보이는것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며 고리타분하게 놀지 말라고 한다. 적당히 아부하고 적당히 치장하고, 적당히 즐겁게 해주기를 바란다. 소설가가 되고 싶었으나 소설가만 진탕 인터뷰하며 살고 있고,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살아가고 있는 그녀의 이야기에 공감하는건 아니지만 세상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을 당당히 드러내라고 말한다.

뭐, 어때 마놀로블라닉 구두를 신고 살랑 살랑 걷는 모습이 청바지에 운동화의 걸음보다 눈길이 더 가는건 사실이지 않냐며, 자기는 알랭드 보통을 좋아해요 하면서 겉모습은 한참 유행에 뒤진 차림이고, 깔끔하지 못하다면 믿지 못하겠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면 우리들 대부분이 이런것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 않는가. 그녀의 글은 술술 잘 읽혀 가볍게 시간을 떼우기에 좋다. 신문의 연재칼럼을 모아 놓은 것이라 대부분 한번은 읽었다는게 거슬리긴 하지만 21세기는 이렇다는걸 말해주는 문화의 현주소를 이야기하는데는 대부분 공감할 내용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과 이동도서관(버스개조)

도서관가기를 좋아하는데 도서관은 2주에 5권책을 대출할수 있고, 책을 고르고 차 한잔 마실 여유가 있는 시간이 날때 찾게 되는 반면, 이동도서는 2주에 한번 집앞에 찾아오는 도서관으로 역시 5권을 책을 2주 동안 빌릴수 있다. 대신 슬리퍼 끌고 나가 그다지 고를만한 책은 없지만 최신 소설, 비소설을 고를때도 있고, 도서관까지 가는 번거로움을 대체할수 있어서 이용했는데...당분간은 이동도서를 이용하는게 오늘이 마지막일듯 해서 아쉽다.


오늘 빌린 책은
오르한 파묵 지음 - 내 이름은 빨강2
기욤 뮈소의 - 구해줘
김선미 지음 - 런~의 맛있는 컬처 레시피
상상력과 마주보는 150편의 책읽기 고명섭 지음 - 담론의 발견
퀸틴 블레이크 그림, 글  앵무새 열 마리

책 읽을 시간이 없는데 가게 되면 6~7권을 고르고 무얼 뺄지 고민을 한다.

 

수원 화성행궁
문화유산일기
큰 건축물
고딕성당
공룡대백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활여행자>를 서치했더니 알라딘으로 연결되네. 이곳은 방치 혹은 가끔 책을 살때면 한번씩 들어와 보는 '나의 서재' 한번 밴 습성을 쉽게 바꾸지 못하는 탓에 온라인 책구매는 이곳에서만 하고 있는데 그때문에 이곳이 아직까지 존재하는것 같다.

이번엔 알라딘의 나의 서재 개편이네.

이것 저것 클릭하다가 변신.

블로그도 넘치고 카페도 넘치고 홈페이지도 넘치지만 살아 남는건 무엇일까.

마땅히 넣을 카테고리가 없다. 정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