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들은 자기가 이 세계 속에서 이야기를 고른다고 상상합니다. 그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허영심 때문일 겁니다. 실제로는 정반대로, 이야기가 작가를 골라냅니다. 이야기는 스스로를 우리에게 드러냅니다. 공적인 이야기든, 사적인 이야기든, 이야기는 우리를 지배합니다. 이야기 자신이 우리에게 이야기하라고 명령합니다. 넌픽션과 픽션은 이야기를 전하는 데에 있어서 기법의 차이일 뿐입니다. 내가 정확히 알 수 없는 이유로, 픽션은 내게서 춤추듯 흘러나오고, 논픽션은 내가 매일 아침 일어나 맞이하는 이 고통스럽고 깨진 세계가 비틀어 짜듯이 내보냅니다.

- 아룬다티 로이 "9월이여 오라" 녹색평론 67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은 일사천린데 글은 엉망이라면 공부를 접는 게 낫다. 생각이 표면에서만 떠돌 뿐 되새겨지지 않은 증거이기 때문이다. 말도 제대로 끝맺지 못하는 사람은 아예 책도 들여다보지 말아야 한다. 생각도 정리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책 한 권도 끝까지 읽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 강유원 "내가 공부하는 방법" (현대사상 9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 . 주인공 아까가끼씨는 중년의 백수, 재산도 없으면서 일하기는 무지하게 싫어해서 날이면 날마다 빠찡꼬와 마작으로 소일하며 대충대충 살고 있다. 그의 유일한 낙이자 자랑거리는 두 남매에게 맛있는 음식을 해주는 것, 하지만 부식비는 한 끼 1인당 100엔(1100원)을 넘길 수가 없다. 버는 돈이 없기 때문이다. 해서 이 남자의 요리 목표는 이것이다. "100엔을 절대 넘지 않는 가장 맛있는 음식을 만들자!"

혹시 이 책 제목을 궁상스럽다고 느꼈다면, 그 느낌이 틀리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 만화엔 요리만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고급요리나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 호화로운 요리가 별로 없다. 게다가 재료비를 맞추기 위해서 통조림은 물론이고, 편의점에서 파는 인스턴트 음식들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맛의 달인』이나 『미스터 초밥왕』의 애독자라면, 그러니까 "오염과는 거리가 먼 청정지역에서 유기농법으로 키운 순수한 재료들을 엄선하여 손이 많이 가는 전통적인 방식을 고집하여 만드는 궁극의 맛의 세계"를 좋아한다면, 이 만화의 음식들은 먹을 게 못된다고 눈살을 찌푸릴지도 모른다.

한마디로 『빈민의 식탁』은 완벽한 맛의 세계를 추구하는 탐미적인 요리만화가 아니다. 이 만화의 강점은 어떤 요리가 맛있다고 말하기보다는, 요리를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먹을지'를 보여준다는 데 있다. '어떻게' 아주 쉽다.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정성껏 만들어서 같이 나눠 먹는 것이다. 엄선된 재료? 그냥 냉장고에 조금씩 남은 것이라도 상관없다. 전통의 방식? 고정된 레시피는 없다. '형식은 파괴'될 뿐. 식탁매너? 즐겁게 맛을 즐길 수 있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한 끼에 100엔도 안되는 싸구려 음식이라도 결코 맛이 없을 수가 없다. 음식의 맛은 요리사의 손끝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준비하고, 만들고 먹어치우는 그 모든 과정 속에서 시시각각 달라지기 때문이다.

정통 요리 세계의 예술가들과 비교해보면 아까가까씨는 주어져 있는 재료들을 가지고 필요한 물건들을 급조해내는 손재주 꾼에 가깝다. 그의 요리도 예술작품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브리꼴라주(bricolage)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예술작품이 주는 감동을 과소평가할 수는 없다. 하지만 아까가끼씨의 요리들은 그런 궁극의 맛을 추구하는 요리들이 주는 감동과는 전혀 다른 쪽에서 잔잔한 감동을 준다. 작품으로서의 요리가 일상의 세계를 벗어나는 맛을 제공한다면, 아까가끼씨의 요리는 일상의 한가운데서 일상을 살아가는 맛을 제공한다.

『22XX』와 『빈민의 식탁』은 그 분위기가 완전히 다른 만화들이다. 하지만 이 작품엔 먹는 것과 관련해서 우리가 외면할 수 없고 외면해서도 안되는 중요한 메시지가 들어 있다. 바로 '먹는 일은 사는 일이다'라는 것. 먹기와 살기. 비록 그 먹거리가 『22XX』에서처럼 '사람'이라는 극단적인 것이든, 『빈민의 식탁』에서처럼 편의점에서 파는 참치캔, 베란다 화분에 매달린 방울토마토 같은 빈약한 것이든, 우리는 식사를 통해 그 재료들과 교감하고 또 식사를 함께 하는 사람들과 교감하는 것이다.

본래 삶이 그런 것 아닌가. 극한적으로 보일 때도, 아주 비루해 보일 때도, 우리는 먹고 산다. 화려한 음식이 요리의 본질이 아니듯, 화려한 인생도 생의 본질은 아닌 것이다.

- 한영주 화려한 음식이 요리의 본질은 아니다 [창비 웹매거진/200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지만 말과는 달리 그들은 셋 다 시냇물 쪽으로 가서 양말을 벗고 발을 담그고 얼굴을 씻고 옷을 빨았다. 비누는 코지모 형의 것을 썼는데 형은, 젊은 시절에는 느끼지 못했던 자신에 대한 혐오감에 사로잡히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갈수록 점점 더 깨끗해지는 그런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 항상 돌아다닐 때 비누를 가지고 다녔다. 찬물 때문에 이 세 명의 귀환병들은 술이 조금 깼다. 그런데 취기가 사라지자 유쾌함도 사라져버려 그들은 곧 자신들의 상태를 생각하고 슬퍼져서 한숨을 쉬고 한탄을 했다. 그렇지만 그렇게 슬픈 가운데에서도 맑은 물은 즐거움을 주었고 그들은 노래를 부르며 물에서 놀았다.
- 드 몽 페... 드 몽 페... 드 몽 페...


- 이탈로 칼비노 [나무 위의 남작] 3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비극의 역사는 신세계 사람들에게 인디오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던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로부터 시작된다. . . 콜럼버스는 스페인 왕에게 다음과 같은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아주 평화롭고 유순해서, 전하께 맹세하오니 세상에서 이보다 더 나은 백성은 없을 것입니다. 이들은 이웃을 제 몸과 같이 사랑하며, 말은 부드럽고 상냥할 뿐만 아니라 언제나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벌거벗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의 태도는 예절 바르고 훌륭합니다."

그러나 고지식한 유럽인이었던 콜럼버스는 이들의 평화롭고 유순한 태도를 나약함이나 미개함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이들도 일하고 씨 뿌리고 그 밖에 필요한 일들을 해야 하며 우월한 유럽의 생활 방식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로부터 약 4세기(1492-1890)에 걸쳐 수백만 명에 이르는 유럽 사람들은 신세계 사람들에게 백인의 생활 방식을 강요해 왔다.

콜럼버스는 백인의 생활 방식을 가르치겠다고 친절히 대해 주었던 타이노족 인디언 열 명을 스페인으로 데려갔다. 이 인디언들은 스페인에 도착해서 기독교인으로 세례를 받았는데 그 직후 하나가 죽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인디언을 처음으로 천당에 들어가게 했다고 즐거워했으며 그 기쁜(?) 소식을 서인도 제도에 서둘러 퍼뜨렸다.

(16-17쪽)

 

***
광란의 학살이 끝났을 때 큰발과 그의 부족민 반수 이상이 죽거나 중상을 입었다. 153명이 죽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많은 부상자들이 도망가다가 죽었으므로 사망자는 엄청나게 불어났다. 최종적으로 집계한 것을 보면 인디언 350명 중에서 거의 3백 명이 목숨을 잃었다. 미군들은 25명이 죽고 39명이 부상을 입었는데 대부분 동료 미군의 총알이나 기관총의 유탄을 맞은 사람들이었다.

부상당한 군인들을 파인 릿지 주재소로 출발시키고 나서 일부 미군들은 운디드니의 학살 현장으로 갔다. 그들은 아직 살아 있는 인디언들을 끌어 모아 마차에 실었다. 눈보라가 몰아치기 시작해서 죽은 인디언들은 그냥 내버려두었다(눈보라가 그친 뒤 시체를 파묻으려고 운디드니로 찾아갔을 때는 큰발을 비롯한 죽은 인디언들이 추위에 얼어붙어 기괴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부상당한 인디언(남자 4명, 아녀자 47명)을 실은 마차는 어두워진 뒤에야 파인 릿지에 도착했다. 모든 막사는 군인들로 가득 차 있어서 인디언들은 혹심한 추위 가운데 포장 없는 마차 위에 웅크린 채 떨어야 했다. 드디어 한 장교가 성공회 예배당의 의자를 끌어내고 거친 마루 위에 건초를 깔았다.

1890년 크리스마스가 지난 지 나흘째 되는 날이었다. 찢기고 피 흘리는 부상자들이 촛불 켜진 예배당에 옮겨졌을 때 아직 의식을 잃지 않은 인디언들은 서까래에 늘어뜨려 장식한 크리스마스 트리를 볼 수 있었다.

설교단 뒤 합창대석 위에는 엉성한 글씨로 쓴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땅에는 평화, 사람에겐 자비를."

(695쪽)

 

디 브라운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 주오] (나무심는사람 20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