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채인선 글, 이억배 그림 / 재미마주 / 2001년 1월
평점 :
저희 집은 제가 어렸을 때부터 만두 만들기를 자주 했습니다. 꼭 명절이 아니더라도 신김치가 생기면 두부랑 돼지고기, 신김치, 숙주나물이나 당면 등을 넣고 만두소를 만들어 온 가족이 둘러앉아 만들곤 했죠. 물론 아버지는 동참하지 않았지만, 남자가 부엌 출입하면 고추 떨어진다고 하시던 할머니도 제가 만두 만드는 것은 말리지 않으셨습니다.
지금은 귀찮아서 만두피를 사다 쓰는 경우가 많지만, 그땐 어머니가 직접 빚은 만두피로 오누이가 모여앉아 만두를 만들곤 했죠. 저희집은 만두를 어른 주먹만큼 크게 만드는데, 만두 한번 만드는 날이면 온 식구가 포식하는 날이었답니다.
어릴적부터 만두 만드는게 자연스럽고 재미있었던 까닭에, 결혼해서도 저는 아내와 둘이서 만두를 자주 만들었습니다. 이젠 가영이도 같이 만든다고 야단법석이지만요. 만두 한번 만들어서 냉동실에 잔뜩 넣어놓으면 그렇게 뿌듯할 수가 없죠. 출출할 때 꺼내서 튀겨도 좋고 국을 끓여 먹을 수도 있고 쪄먹을 수도 있으니...
아무튼 이런 가풍(?) 탓에 가영이와 함께 재미있게 읽은 책이 바로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랍니다. 산속에 사는 여러 동물들을 민화풍으로 표현한 이억배님의 그림도 참 재미있고, '무엇이든지 하기만 하면 엄청 많이 엄청 크게 하는 할머니' 이야기도 재미있습니다.
아이들은 먹을 것에 대한 관심이 크고, 음식 만들기도 좋아하는데 이 책은 이걸 잘 표현한 것 같아요. 맛있는 만두를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들과 함께 어엄청 많이~! 어엄청 크게~! 만드는 과정이 너무 즐거운 거죠. 게다가 중간에 4-4조의 운율로 표현된 '만두 만두 설날 만두 / 아주 아주 맛난 만두 / 숲속 동물 모두 모두 / 배불리 먹고도 남아 / 한 소쿠리씩 싸 주고도 남아 / 일년 내내 사시사철 / 냉장고에 꽉꽉 담아 / 배고플 때 손님 올 때 / 심심할 때 눈비 올 때 / 한 개 한 개 꺼내 먹는 / 손 큰 할머니 설날 만두' 이 대목을 읽을 때 가영이는 아주 좋아한답니다. 이제는 외어서 혼자 읊조리곤 하죠.
그런데 이야기에서 한가지 아쉬운 게 있어요. 그건 만두 빚을 때 할머니가 동물들과 함께 일하는 게 아니라, 높은 나무에 올라가 망원경을 눈에 들이대고 호령을 한다는 거죠. 물론 만두소는 할머니가 함께 만들지만... 만두도 동물들과 함께 빚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게 제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