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likewater > 서평
입체 음양오행 - 생로병사의 신비를 풀이한
박용규 지음 / 태웅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리적인 근거와 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음양오행을 증명한다!
-한의학의 문제점들을 명확하게 밝히며, 생로병사(生老病死)를 풀이한다-
 

수천 년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이 지금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원리에 근거를 두지 못하고, 결과만을 가지고 응용하려는 과정에서 난해(難解)한 것에 부딪치면 각자의 상식으로 호소하거나, 설화까지 인용하여 한 가지 결과에 대해서도 각자가 서로 다르게 설명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모든 한의학(韓醫學) 서적이나 이러한 부류의 책자의 논리가 가지각색인데도 어느 누구도 지적하여 바로잡아 주지 못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한의학적 근거를 "동의보감(東醫寶鑑)"이나 수천 년 전의 이름 있는 의서(醫書)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책자들은 대부분 원리나 근거가 생략된 채 각각의 경험에 따른 결과와 사례들만을 기록한 것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같은 내용이 서로 상반된 내용이라 할지라도 어느 것이 타당한가를 가리지 못하고, 사례(事例)들의 인용 문헌만을 제시하며, 모든 사람들의 주장을 집대성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의자(醫者)들에게 모범이 되는 소중한 것이라 하여 보감(寶鑑)이라 칭하고 있으나, 이를 아무나 읽고 나름대로 해석한 후 그 책임을 의서(醫書)에 떠넘기고 있다.
또한 책을 쓰는 한의학자들까지도 뜻글인 한자(漢字)를 해석하는 데 급급하여 현대의 과학적 원리에 어긋나는 것들을 찾아서 바로세우지 못하고, 옛것들이 모두 올바른 것처럼 모두가 옹호하려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한의학의 기본 이론인 오행에 관한 과학적인 원리를 어디에도 찾아 볼 수가 없는 실정이다.

한의학계를 경천동지(驚天動地)시킬 입체 오행의 원리!
저자는 이렇게 애매모호한 음양오행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논리적인 근거와 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설명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모아 몇 가지로 분류하고,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기(氣)가 spin 0라는 한 가지 원리를 가설로 설정하며, 이를 이용해 지금까지의 의문 사항들의 해석이 과학적 타당성을 가지고 모두(한의학과, 과학)를 설명하는 데 무리가 생기지 않는 것인지를 증명해 주고 이를 이용하여 침(鐵)의 원리와 약(藥)의 원리에 적용하여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속 시원하게 설명하지 못한 음양오행의 원리를 설명한다.
다행히 이 원리를 응용한 침(鍼)의 원리는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없었던 사암(舍巖)도인의 침술(鍼術)과 8체질에 근거한 오행침(五行鍼)의 원리를 거의 완벽히 설명해 줄 수 있으나 약의 원리는 오행의 원리에 따른 논리적인 방향의 설정에만 그치고 있다. 궁극적으로 기능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오행이 있기 때문에 우주 만물을 형성하고, 유지하고, 파괴하는 물질 세계의 생로병사의 신비를 저자가 밝힌 입체 음양오행의 원리로 설명하고자 그 첫발을 내딛었지만 이를 독자들이 더욱 계승 발전시키면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는 과학과 사회 전반의 모든 분야에 적용시켜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root > 진정한 주역학 교수...주역 박사...
주역 원론 1 - 시간과 공간
김승호 / 선영사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주역을 크게 의리역과 상수역으로 나누어 볼때, 김승호라는 저자는 본인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상수역이 아니라 의리역에 가깝다고 보여진다.그러나 단순한 의리역이 아니라 주역의 과학화라는 기치 아래, 독창적인 이론들을 전개해 나가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일 뿐만 아니라, 읽는 사람이 흥분될 정도로 획기적인 관점을 보여준다.그러나 상수역을 혐오한다는 데에는 기존의 의리역학자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이 부분에서 저자의 한계가 보인다는 외에, 기존의 의리역 학자라고 하는 사람들과 비교할 때에는 그 논리적인 전개 방법에 있어서 독보적인 존재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 같다.주된 내용이 과학에 길들여진 현대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았으나, 어딘지 모르게 주역을 자의든 타의든 신비롭게 보이도록 치장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부분에선 상수역을 혐오하는 저자의 자세와 모순되는 모습이 조금 보이고, 또 한편으로 너무 과학적인 구성에만 매달린 나머지 일부 내용들에선 억지가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 주역 학자들의 연구 자세와는 전혀 색다른 주역의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내용들이어서 개인적으로 이 책(1~6권)을 3번 이상 통독하였다.

굳이 한가지 저자에게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주역의 체'에 대한 과학화 뿐만 아니라 저자가 새로이 규명한 그 주역 이론들을 실제로 써먹을 수 있는 '주역의 용'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되지 않는가 생각하여 보았다.실제로 임상에 적용해서 맞지 않는 이론은 잘못된 이론이라는 생각을 해본다면 정말로 중요한 부분이 아직 미완으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likewater > 책소개와 출판사 서평
주역과 몸
김승호.백진웅 지음 / 수연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책소개]

'주역과 몸'은 주역의 합리적인 응용방법을 보임으로써 주역연구는 물론이고 한의학연구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였다
팔쾌(八快) 장부(腸附) 배속(配屬)관계가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하였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 있는 한글로 설명했다

[출판사 서평]

개요
주역을 사주풀이와 동일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상식이다. 물론 주역을 이용하여 사주풀이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주역 응용의 극히 지엽적인 일부분일 뿐으로 이것이 주역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오해이다.
본래 주역은 만물의 뜻을 드러내는 학문이다. 만물의 구성 원리와 운행 원리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의 운명 예측은 물론이고 의학, 병법학, 사회학, 자연과학, 처세학 등 온갖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보편 학문이 바로 주역인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을 한의학에 응용한 ?주역과 몸?은 주역의 합리적 응용 사례를 보여주는 한가지 예라고 할 수 있다. 굳이 ‘합리적’이란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어려운 한자나 막연한 신비주의적 어투를 사용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한글을 사용하여 합리적 방법으로 논리를 전개한 책이기 때문이다.

'주역과 몸'의 구성
'주역과 몸'은 주역과 한의학을 접목하여 인체의 구성 원리와 작용 원리를 설명한 책이다.
원래 주역과 한의학은 그 근본이 같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의역동원(醫易同源 : 의학과 역학은 근본이 같다)”이란 말은 주역과 한의학의 밀접한 관계를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주역의 기본 요소는 양효(陽爻 : ?)와 음효(陰爻 : ?)이고, 한의학의 기본 요소는 음(陰)과 양(陽)으로 결국 같은 음양(陰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확히 말하면 한의학에서 주역의 음양(陰陽)을 가져다 쓰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음양(陰陽)과 함께 한의학의 주요 기본 개념인 오행(五行) 역시 주역에서 나온 개념이다. 한마디로 주역은 한의학의 모(母)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을 응용하면 한의학의 전모(全貌)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주역과 몸'은 이러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해 기획되었는데, 총 4부 2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시작하는 글>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인체가 마구잡이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일정한 원리에 의해 생성되었으며 이 때문에 주역의 범주를 이용하여 인체를 해석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2부 주역과 몸>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역의 범주 체계 즉 2범주 체계인 음양?4범주 체계인 사상?8범주 체계인 팔괘?64범주 체계인 육십사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범주체계를 이용한 인체 해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3부 주역과 체질>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상의학을 중심으로 체질의학의 의미와 종류에 대해 설명하고, 주역을 체질의학에 응용한 팔괘체질의학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주역 괘상을 이용한 장부간(臟腑間)의 생리 및 병리 연구 방법인 7계 장부론(七階 臟腑論)에 대해 설명하였다.
<4부 끝맺는 글>은 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태극과 천지(天地)의 의미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한의학의 과제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이상의 4부 21장 이외에도 주역 및 한의학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쉬어 가는 글’이라는 제목으로 사이사이에 끼워 넣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다.

'주역과 몸'이 제시하는 비전
'주역과 몸'은 주역의 합리적 응용 방법을 보임으로써 주역 연구는 물론이고 한의학 연구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책이다.
'주역과 몸'이 보여준 주역의 합리적 응용법은 주역 연구에 일대 전기를 가져올 것이다. 어려운 한자 풀이나 사주팔자 풀이가 주역의 전부라고 오해했던 많은 주역 연구가들이 '주역과 몸' 이후 새로운 관점으로 주역에 접근할 것이고, 결국 전 학문 분야에 주역이 합리적으로 응용될 것이다. 이를 통해 주역은 생활 속에서 빛나는 지혜로 부활할 것이다.

또한 '주역과 몸'은 한의학 연구에도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책이다.
주역과 한의학을 접목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팔괘(八卦)와 장부(臟腑)를 정확히 배속(配屬) 하는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팔괘(八卦)가 중첩된 64괘(卦)를 이용하여 장부(臟腑)의 상호 작용과 그에 따른 인체 현상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역과 몸'에는 팔괘(八卦)와 장부(臟腑)의 배속(配屬) 관계가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인체 생리(生理)와 병리(病理)를 64개의 범주, 즉 64괘(卦)로 정밀하게 분류하는 것이다. 그리고 질병의 예방법과 치료법 또한 64괘(卦)로 정밀하게 분류하여야 한다. 생리(生理)'병리(病理)'질환(疾患)'예방법(豫防法)'치료법(治療法)'약재(藥材)'침구혈위(鍼灸穴位 : 침이나 뜸 치료를 하는 혈 자리) 등이 모두 64괘(卦)라는 공통된 범주로 분류되어 이론에서 임상까지 일관된 원리가 적용된다면, 한의학 이론 연구의 효율성은 물론이고 임상 적용의 효율성도 매우 높아질 것이다. 이 모든 과제의 기초 이론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니 '주역과 몸'은 참으로 소중한 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역과 몸 미디어 비평
“민족의학신문”-학의학 전문 주간지

주역학자와 한의사가 주역과 한의학을 접목해 인체 원리를 설명한 책.
팔괘와 장부를 정확히 배속하고, 팔괘가 중첩된 64괘를 이용하여 장부의 상호 작용과 그에 따른 인체 현상을 설명한다.
그리고, 인체 생리와 병리를 64개의 범주, 즉 64괘로 정밀하게 분류하고 이에 따른 질병의 예방법과 치료법을 설명하는 식이다.
고?을 읽을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 선천도와 역의 본질, 원전 주역을 읽을 때 주의해야 할 점, 정신의 내공, 태극이란 무엇인가, 한의학의 과제, 초의학과 한의학 등으로 구성.
김승호 씨는 주역학자로서 천진학회 설립자이며, 저서로 소설 ‘주역’(전10권), ‘가이아’(전3권)와 ‘주역원론’(전6권) 등이 있다.
백진웅 씨는 경희대 한의대 박사출신으로 세계 기공학회 연구원으로 있다.

[ 목 차 ]

서문 (초운 김승호)
서문 (무정 백진웅)

제1부. 시작하는 글
제1장. 인체의 형성
제2장. 진화와 창조
제3장. 인체의 수준
제4장. 비교해부학
제5장. 한의학
제6장. 주역(周易)과 한의사
제7장. 범주의 예
● 주역의 의미와 공부하는 자세

제2부. 주역과 몸
제1장. 음양(陰陽)
● 고전(古典)을 읽을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
● 선천도(先天圖)와 역(易)의 본질
제2장. 사상과 오행
● 후천도(後天圖)와 심신(心身) 안정
● 관찰과 생각
● 관상(觀象)과 관상(觀相)
제3장. 팔괘(八卦)
● 도사(道師)와 의사(醫師)
● 점(占)에 대하여
● 술과 사람
● 점(占)의 도(道)
제4장. 64괘(卦)
● 원전 주역을 읽을 때 주의해야 할 점

제3부. 주역과 체질
제1장. 체질의학(體質醫學)이란?
제2장. 증치의학과 체질의학
제3장. 체질의학(體質醫學)의 종류
● 강태공(姜太公)
● 현대 문명 성립의 두 가지 계기
제4장. 팔괘(八卦)의학
● 정신(精神)의 내공(內功)
● 남녀와 음양

제4부. 끝맺는 글
제1장. 태극(太極)이란 무엇인가?
제2장. 천지란 무엇인가?
제3장. 범주이탈(範疇離脫)
제4장. 한의학이란 무엇인가?
제5장. 한의학의 과제
제6장. 초의학(超醫學)과 한의학
● 대의(大醫)와 소의(小醫)

참고문헌
저자약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