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름다운 시 마음을 다해 쓰는 글씨, 나만의 필사책
윤동주 외 지음 / 마음시선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써 본 후기입니다.




 초등학생들에게 동시를 써 봄으로 집중하고 생각하면서 동시에서 여러 비유법들을 알게 되어 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니 초등학생들을 위해 동시 책들, 동시 쓰기 책들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 한국의 아름다운 시 이 책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 7명의 아름다운 시들을 직접 써 볼 수 있는 특별한 필사 책으로 출간되었다. 윤동주, 김소월, 한용운, 정지용, 김영랑, 이육사, 이 상의 시는 우리가 학창 시절에 이미 국어시간에 배우기도 해서 들어보기도 하고 익숙한 시들이 많지만 언제 읽더라도 이 시들은 울림이 있다.






 우리집 초등이는 동시를 쓰고 있지만 고학년이 되어 김 억 시인의 <봄은 간다>, 김소월 시인의 <접동새> 등 중학교 가면 알아야 할 시들을 하나하나 내가 직접 읽어주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아름다운 시 이 책은 초등 고학년인 우리집 초등이가 직접 써봐도 좋을 것 같아 쓰고 싶은 시부터 써 보기로 했다.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이 필사하기 좋은 책이다. 우리집 초등이는 <엄마야 누나야>와 윤동주 시인의 <서시>를 직접 써 봤다. 이 책은 필사하기 편하도록 180도로 접히는 누드 제본으로 되어 있다. 또 필사할 수 있는 공간은 충분히 넉넉하다.





 시를 읽고 직접 써 본 후 나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질문이 있다. <엄마야 누나야>를 읽고 써 본 우리집 초등이는 아파트에 살고 있어서인지 주택에서 살고 싶다는 우리 초등이 마음을 읽을 수가 있었다. 






 우리집 초등이가 필사하는 것을 보니 나도 써 보고 싶었다. 학창 시절에 읽었던 한국의 대표 서정 시인인 김영랑 시인의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와 <꿈밭에 봄 마음>을 써 봤다. 김영랑 시인이 활동할 때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였기 때문에 감시자가 있고 협박이 있는 상황에서도 우리말을 지키며 써 낸 시들은 서정적이면서 애상적이고 마음을 울린다.





7명의 시인들의 시를 읽고 직접 쓰다 보면 그들의 마음과 아픔을 간직한 시대적 배경도 알게 된다. 바쁜 일상 속에서 명상하듯 차분히 필사하면서 내면의 아름다움을 쌓고 위로도 받고, 이 시를 통해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문학을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시들이 많이 있어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에게 필사 책으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