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관계 9
마키무라 사토루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요리만화라기 보다는 등장인물들간의 인간관계에 촛점이 맞춰진 순정만화로 보는게 옳은 듯하다. 맛있는 음식과 그것이 창조되고 소비되는 장소가 등장하지만, 그것은 등장인물을 엮어 주고 줄거리를 이어주는 배경에 가깝다. 그러면에서, '서양골동양과자점' - 맛있는 케이크와 제과점이 등장하지만 그것 자체가 작가의 관심거리인 것이 아닌 - 과 매우 유사하다.  그런데 '맛있는 관계'의 작가님은 식당에서 일해본 사람은 아닌 듯하다. 여러가지 어려운 요식업계용어가 자주 등장하지만 아마도 프랑스 요리책을 여러 권 보고 인용한 듯하다. 결국 실제 업계사람이 아닌 outsider 인 작가가 쓴 요리만화이기에, 요리 그 자체의 매력과 열정보다는, 외부인이 느끼는 고급 프랑스 요리에 대한 fantasy를 바탕으로, 있을법한 chef, waitress, food director를 등장시켜 그들의 꿈과 사랑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일반인들의 고급 서양요리에 대한 환상은, 만화 첫 부분에도 나오 듯이, 일본의 버블 경제붐 속에서 여가선용이 해외여행과 해외요리붐으로 이어진것을 반영하는 것 같다. 주인공인 모모에 자신이 버블 경제의 붕괴에 의해 순식간에 거리로 내몰린 중/상류층의 모습을 대변한다. 경제사정이라는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로, 취미/여가 생활이 생계와 인생 그 자체의 의미로 변한 것이다.

표면적으로 무척 상반된 오다와 모모에 이지만 실제 그들이 겪는 상황은 유사하다. 곱게 자란 상류계급 아가씨 모모에가 요리를 통해 인생을 다시 배워가는데 그 과정을 돕는 인물인 오다 사부 자신도 안정된 중류생활의 어린 시절이 경제붕괴로 인해 졸지에 고아가 되어 무너지는 경험을 하였다. 오다는 또한 연인인 카나코와 부모에게서 버림받았다는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9권 까지 읽었지만, 그를둘러싼 두 여성, 모모에와 카나코,와의 유사성을 제외하면 오다의 성격이나 성장과정은 미스테리로 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기분, 감정은 거의 묘사되어 있지 않다. 그의 라이벌이라 할 타카하시의 감정은 갈수록 세밀히 묘사되어 지는데..... (따라서 타카하시에게 오다보다 더 인간적으로 정이 가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오다식의 미스테리 흑발남은 순정만화의 남자 주인공이 으례 가져온 전형적 모습이고, 보통 이런 남자들이 착한 여주인공을 차지하는데, '맛있는 관계'에선 어떻해 될려나? 해적판으론 16권으로 완결이 되었다던데, 개인적으로 인간적으로 고뇌하고 진솔한 감정을 지닌 타카하시가 좋아서 모모에와 잘 됬으면 하는데 실망하게 될것 같다. (아님 아예 남자 없이도 혼자서 잘살아요!식으로 매듭 짓는 것도 나쁘지 않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赤淚 3 - 정 이야기, 완결
강주현 글, 김대원 그림 / 시공사(만화)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거친 그림체가 순정만화라긴 보단 소년 만화를 연상시킨다. 따라서 순정만화의 전형적인 꽃날리는 미남자라던가 남자들에게 둘러싸인 별로 안예쁜 여주인공은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해서 예쁘지도 성격도 별로지만 자신의 확고한 의지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공주, 비상한 능력을 지녔지만 남자로 행세하는 이민족 소녀, 일편단심 공주를 사랑하는걸 제외하곤 딱히 뛰어난 데가 없는 재상의 아들....이런 이들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처음엔 그림체를 따라가느라 애먹었지만 일단 익숙해지니 작가님의특유의 그림체만이 줄수 있는 장점 - 곱상한 그림은 잘 그려내진 못하지만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을 비장하게 묘사하는데 더 이상 적절한 그림체가 있을수 없다는 점 - 이 보이기 시작했다. 흠 개인적으로 이민족 소녀의 둘째 오빤가 하는 남자와 누구의 첩 (아아 넘 옛날에 봐서 기억이 잘안나다니!)의 사랑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더 풀어낼 얘깃거리가 있는데도 왠지 작가님이 서둘러 완결해 버렸다는 느낌이 들어 별 3 개로 결정했다.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브 스타 스토리 The Five Star Stories 10
나가노 마모루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의 구성능력은 놀랍다. 과거.현재, 미래를 넘나들면서 단 한순간도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느끼지 못하게 한다. 난 SF 장르나 메카 쪽은 잘 읽지 않아서 전문가적인 평을 쓰기에 역부족이지만, 이정도의 스케일은 입을 딱 벌리게 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쓴 프루스트가 만화가였다면 아마도 FSS 같은 작품을 내지 않았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3개 밖에 줄수 없는 것은 작가의 여성관에 동의 할수 없기 때문이다. 남자들에게서 인정받고 또 사랑도 받지만 결국에는 주종관계에 얽매인 충실한 하수인에 지나지 않거나, 아니면 후계자를 낳음으로써 여성의 재생산의 구실은 톡톡히 해내지만 끝끝내 남성의 사랑을 받지는 못하는 여자들. 물론 이러한 왜곡된 여성상이 비단 FSS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소년 만화에서 순종적 여인상이 요구되는 것은, 순정 만화에서 돈도 많고 말도 않되는 꽃미남이 예쁘지도 않고 별다른 능력도 없는 여주인공만을 사랑한다는 것처럼,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는 것이니까. 그래도 FSS를 읽으면서 내내 맘이 편치 못했으니 별 3개밖에 못 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 7
나예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내 나이 서른이 넘은 나이로 바라보는 고교시절. '특명1050'은 참으로 흐뭇하고 훈훈한 만화다. 특별히 예쁘지도 공부를 잘하지도 않지만 마음 씀씀이는 누구보다 따뜻한 미루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얘기들. 연재초기가 IMF 시절과 맞물려서, 그 힘든 시기를 서민들이 어떻해서 헤처나가는가를 여고생 소녀의 관점에서 보여준게 정말 신선했다. 그러다 이야기의 포커스가 창수의 연예계 진출기로 넘어가버려서, 마치 작가의 예전 작품인 '네 멋대로 해라' 처럼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더니 다시 미루와 그 가족으로 넘어와서 이혼을 통해 불거지는 가족 구성원들의 갈등과 그것을 극복하는 방식등등을 다뤄서 정말 좋다. 사실 사람이 사는 세상이 장미와 벛꽃이 배경에 난무하는 그런 '만화같은' 데가 아니라 이리 저리 부닥치고 고민 하는 곳 아닌가?

나예리님 그림체는 화면을 시원시원 큼직큼직하게 구분해서 여타의 아기자기한 순정만화와는 많이 달라서 좋다. 또 예전에는 긴 머리 여자를 그리면 뭔가 인체 비례상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특명1050'에선 그런 어색함이 많이 줄었다는 인상이다. 개그컷도 곧잘 등장하는데 정말 귀엽다. 암튼, 8권으로 완결하실듯한데 끝까지 수고하시기를 바란다. (작가의 'Maybe So Sweet' 와 'Glory Age'를 무지 좋아하는데 연재 중단이다. 슬퍼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린세스 18
한승원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시대물을 무지무지 좋아하는나에게 '프린세스'는 일단 재미있다. 죽어도 당신뿐인듯한 순정파 - 으으 지겨운 - 커플부터 시작해서, 로미오와 줄리엣식의 모든 역경과 고난을 겪고서 사랑을 쟁취하는 커플, 그리고 사실은 좋아하는데 재수 없을 정도로 서로 오해만 하고 상처만 주는 커플까지, 순정만화에서 볼수 있는 커플들은 거의 다 등장한다. 이제 야오이 식 꽃미남 커플만 등장하다면 커플 집대성은 끝나리라. 한승원님은 80년대 부터 활동하셨는데, 그래서 그런지 옛날 만화에서 자주 볼수 있는 신파가 자주 등장한다. 비이은 그런 80년대 신파의 집대성같이 보인다. 예전에 김동화님 (한승원님의 부군)의 만화에서 보았던 그런 신파라니!!

도데체 비이라는 캐릭터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그냥 예쁘고 (게다가) 착하기 까지 하니까 멋진 왕자님이 그녀를 사랑하는건 필연적인 것인가? 한술더떠 예쁘고 착하고 순진무구한 그녀를 위해, 국민들이야 죽던지 살던지 말던지 국고가 바닥이 나던지 말던지 아랑곳 없이, 결혼에 반대하는 나라들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는 통배짱 왕 ! 작가님이 절대왕정 시기의 왕들의 전기를 읽고 비욘의 캐릭터를 따왔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비이와 비욘은 좋아할 수 없는 캐릭터다. 거기에 비하면 에스힐드와 레오의 관계는 훨씬 설득력 있다. 친구에서 연인으로 다시 전장의 동지로써 두 사람의 사랑은 비이와 비욘에 비해서 몇배나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다.

또 다른 막강 커플, 스카데이와 라라. 제발 이제 서로의 진심을 알아채기를 바란다. 엇갈리는 것도 하루 이틀 이지 정말 너무 한다. 한가지 집고 넘어 가야할것은, 만화에서 스카데이가 라라에게 휘두르는 폭력이 '그가 그녀를 너무 사랑하는데 부드럽게 표현할줄 몰라서' 그런다는 식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요즘에 만약 남편이 잠자리를 거부하는 부인과 억지로 관계를 갖는다면 당장에 성폭력 위반법에 걸릴 수 있다. 비단 '프린세스' 뿐만 아니라 수 많은 순정만화에서 스카데이 와 비슷한 힘으로써 여성의 몸과 마음을 차지하는 캐릭터를 볼 수있는 데, 이게 실제로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절대 유쾌하지 않다. 물론 '프린세스'는 지혜안님의 '에스할름 이야기' 식으로 막가는 rape fantasy를 묘사하진 않지만, 어쨋든 떨떠름 하다. 게다가 스카데이는 이 만화에서 에스힐드와 더불어 가장 인간적이고 -인간성이 좋다는 얘기가 아니라 인간적 강점과 약점이 풍부하단 말- 생동감있는 캐릭터라서 빨리 스카데이와 라라가 잘되서 스카데이가 행복해지는 것을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