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토종] (13) 고려인삼
 

예로부터 우리나라에는 인삼에 얽혀 전해내려 오는 이야기가 많다. 산신령이 자손을 간절히 원하는 부부에게 아이 대신 인삼을 줬다거나, 병든 부모의 쾌유를 빌며 치성을 드리는 효자에게 인삼을 내려 주었다는 내용 등이다. 이를 가로채 먹은 이는 눈이 멀었다는 전설이 남을 정도로, 우리 조상들은 인삼을 아무나 먹을 수 없을 만큼 그 효능은 영험하다고 믿어 왔다.


 
▲ 자식 키우는 마음으로…
충남 금산군 남이면에서 인삼 농사를 짓고 있는 정영동(54)씨가 인삼밭에서 수확을 앞둔 4년근 인삼을 들어 보이고 있다. 정씨는 “인삼 농사는 벼농사하곤 비교가 안될 정도로 어렵습니다. 인삼이 자라는 4년 동안은 항상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정성을 들여야 하지요.”라며 인삼 농사의 어려움을 밝혔다
인삼의 효능은 사포닌 성분서 비롯
하지만 인삼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은 20년이 채 되지 않는다. 국내외에서 잇따라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삼의 효능은 진세노사이드(ginsenocide)라 불리는 사포닌 성분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됐다. 인삼의 사포닌은 다른 식물의 사포닌과는 달리 소화기 계통 및 폐의 기능을 북돋워 주고 피부 활성화를 촉진하는 구실을 한다. 뿐만 아니라 항암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토종인 고려인삼을 쪄서 만든 홍삼에서는 사포닌 성분이 더욱 많이 들어 있다고 한다.
양익순(33) 금산인삼농협 가공팀장은 “생삼을 수증기로 쪄서 익힌 다음 건조시켜 홍삼을 만드는 과정에서 화학작용이 일어나 새로운 사포닌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햇볕에 그대로 말린 ‘백삼’, 뜨거운 물에 담가 말린 ‘태극삼’ 또한 본래의 사포닌 외에 새로운 성분이 생겨난다고 한다.


 
▲ 인삼경매시장
장날을 앞두고 열린 금산인삼 경매시장이 상인들로 붐비고 있다.



 
▲ 수삼세척
홍삼을 만들고자 수삼세척작업을 하는 모습. 나이가 지긋한 직원들은 공장에 들어온 후부터 인삼을 복용해서인지 피부빛도 좋아지고 잔병치레도 줄었다며 인삼예찬을 했다.

건조실 옮기기
금산인삼농협 가공 공장에서 한 직원이 홍삼을 만들기 위해 증기로 찐 수삼을 건조실로 옮기고 있다. 홍삼은 세척과 찜 과정을 거친 후 건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인삼 밭
충남 금산군의 인삼밭.

사포닌 추출
금산인삼약초시험장에서 연구원이 인삼에서 사포닌 성분을 추출해 분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열많은 사람에 해롭다” 잘못된 속설
하지만 이런 효능에도 불구하고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해롭다.’는 등의 속설은 많은 이들이 인삼을 꺼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가순(50) 금산인삼약초시험장 박사는 “체질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속도는 다르지만 인삼에는 몸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성분이 있다.”면서 꾸준히 섭취하면 고혈압이든, 저혈압이든 정상으로 유지시켜 준단다.“특정 체질에 해롭다는 속설들은 중국과 미국 등지에서 퍼뜨린 루머로 보이는데, 실제로 인삼이 열을 낸다는 연구결과는 나온 바 없다.”고 말했다.
루머가 생길 정도로 고려인삼은 경쟁국인 중국·미국의 견제를 받고 있다. 고려인삼의 위상이 워낙 독보적이었기 때문이다. 고려인삼은 한반도 외에도 극동 일대에서 재배되지만, 토양과 기상 등 생육 조건이 완벽하게 갖춰진 우리나라가 종주국으로 인정받는다. 특히 고려 인삼은 뿌리의 형상이 사람의 모양새를 닮아 있어 다른 지역 삼과는 구별된다.  


중국삼에 세계 점유율 선두 뺏겨
최근 국제시장에서 고려인삼의 위상이 위협받고 있다. 농림부에 따르면 20여년 전만 해도 세계 인삼 생산량의 73%를 차지하던 한국삼이 2006년 22.4%로 줄어든 반면 중국삼은 58.7%로 늘었다. 캐나다와 미국삼도 2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가장 큰 국제시장인 홍콩 인삼시장에서도 2002년 기준 1억 3000만달러의 총 수입량 중 한국산은 335만달러에 불과하다고 홍콩무역연보는 전했다.
한승호(47) 금산인삼약초시험장 육종재배팀장은 이에 대해 “중국이 이미 ‘중국삼’으로 동북공정을 시작한 셈”이라고 우려하면서 “과거 홍삼전매제로 독점이 이루어지면서 제품개발과 홍보 등이 미약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외국에서 고려인삼을 위조해서 판매할 정도로 고려인삼의 명품 이미지는 여전히 강하다.”고 전한 그는 경쟁력을 키우는 방안으로 연작법(인삼을 한번 재배한 땅에 다시 재배하는 방법) 등을 통한 생산증대와 국가별 기호에 맞는 마케팅을 제시했다. 고려인삼 종주국의 위상을 지키는 일은 우리 모두의 의무일 터이다.  


글 사진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