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성진 “김석기 사퇴요구는 체제전복 시도”
“반정부 세력, 춘투와 촛불의 재판으로 만들려”
참사 당일 ‘책임론’ 말 바꿔…민주당 강력 비판
 
 
한겨레 신승근 기자 송호진 기자
 








 

» 공성진
 

 
.





공성진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2일 용산 참사와 관련한 ‘과잉진압 책임자 사퇴론’에 대해 “반정부 세력의 체제 전복 시도”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공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반정부 세력이 이 사건을 춘투와 (연계하고) 촛불시위의 재판으로 만들어 체제 전복을 꾀하려는 정치적 목적이 숨어 있다”고 주장했다. 공 최고위원은 이번 참사를 “철거 현장의 과격 시위를 주도한 전국철거민연합의 도심 테러 결과”로 규정하고, “경찰은 한국 공권력의 상징이자 마지막 보루이고, 망루는 전철련이 주도하는 폭력시위에 빠지지 않는 불법 폭력시위의 상징인데, 우리는 공권력 보루와 불법 망루 사이에서 혼돈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경찰의 특공대 투입은 불가피했으며, 오히려 시위대에 의한 무고한 시민의 희생이 발생했을 경우 경찰에 대한 비난이 더 커졌을 것”이라며 “진상규명 전 김석기 경찰청장 후보자 사퇴 요구는 정부를 전복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2005년 참여정부 당시 시위 농민 사망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허준영 경찰청장을 경질한 것에 대해 “당시 감정적으로 (경찰) 총수에게 정치적 희생을 강요했다”며 “법치 확립을 높은 가치로 삼았어야 함에도 그러지 못해 이후 불법 폭력이 사라지지 않고 촛불시위에서 보듯 국가 공권력이 유린당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전철련은 오산 망루 투쟁 때 이미 철거용역 아르바이트를 하던 대학생을 화염병으로 불태워 죽인 전력이 있다”며 “살인폭력 시위꾼”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망자의 원혼을 달래지 못할망정 이를 정략적 도구로 삼는 한나라당의 파렴치함을 드러낸 것”이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김유정 대변인은 “이성이 있는 분이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용산 참사와 관련된 국민들의 요구를 체제 전복 세력이라고 말한다면, 그들이 바라보는 국민은 도대체 누구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한편, 공성진 최고위원은 용산 참사 발생 직후인 지난달 20일 <한겨레>와 한 전화에서 “서민의 대명사인 철거민을 죽게 한 것은 정말 적절치 못한 무리한 대응이었다”고 말한 바 있다.




신승근 송호진 기자 skshin@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