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판급 앵커들 파업 참여…방송의 꽃에서 파업의 꽃으로
“정부·여당 아무런 의견수렴없이 밀어붙여”
“거대자본 방송잠식 땐 국민에 칼날 될 것”
 
 
한겨레 노현웅 기자
 








 

» 전국언론 노동자연합 SBS본부는 26일 오전 목동 SBS사옥에서 한나라당 언론 악법 강행처리 저지를 위한 파업투쟁 참여하며 뉴스 앵커등 프로그램 진행자들은 검은색 옷을 입는 ‘블랙 투쟁‘을 벌인다. 최영주 아나운서등 동료들이 악법저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용일 기자yongil@hani.co.kr
 
“조합원의 한 사람으로서 이 자리에 왔다. 아나운서는 뉴스를 보도하는 ‘방송의 최전선’으로서 당연히 투쟁에 동참해야 한다. 오늘부터 ‘블랙투쟁’을 시작했는데, 앞으로도 노조의 뜻에 맞춰 최선을 다해 돕겠다.”(최영주 <에스비에스> 아나운서협회장, 에스비에스 파업 출정식에서)

<문화방송>, 에스비에스 등 방송사 중심으로 26일 시작된 총파업에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간판급 아나운서들이 대거 참여해 투쟁 열기를 고조시켰다.

특히 문화방송의 경우 오전 6시 ‘뉴스투데이’를 맡은 박상권·이정민 앵커를 비롯해 ‘뉴스데스크’의 박혜진, 주말 ‘뉴스데스크’ 손정은, 평일 ‘마감뉴스24’ 김주하, 평일 낮 12시 ‘뉴스와 경제’의 최율미씨 등 시청자에게 낯익은 뉴스 진행자들이 모두 파업에 참여했다.

이날 전국언론노조 결의대회에서 사회를 본 문화방송 박경추 아나운서는 “파업은 최후의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가만히 있으면 80년대로 돌아갈 것 같다. 80년대 이후로 싸움을 통해 얻어 온 민주주의가 몇개월 만에 무너지는 것 같아 가만히 있을 수 없어 사회까지 보게 됐다”고 말했다.

김주하 앵커는 이날 결의대회에 앞서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파업이라는 형태의 투쟁이 다른 경우는 몰라도 이번만큼은 적절한 투쟁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견제장치에 대한 고려와 의사 수렴 과정 없이 (한나라당이 법안 처리를) 강행하려는 태도에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앵커와 기자 활동을 모두 접고 파업에 전면 참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노조의 결정을 따라 (총파업 투쟁에)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쇠고기 굴욕협상 보도로 조·중·동과 정권으로부터 호되게 두들겨 맞은 ‘피디수첩’ 제작진도 파업 대열에 참여하고 있다. 김보슬 피디는 “피디수첩 보도와 총파업은 별개 사안이며 한 사람의 조합원으로서 나왔다”고 담담한 심정을 밝혔다. 석달 남짓 검찰의 강제구인에 대비해 회사에서 숙식생활을 한 이춘근 전 피디수첩 피디는 “한나라당과 족벌 신문, 재벌은 문화방송이라는 존재를 항상 불편하게 생각해 왔다”며 “우리는 똑같은 상황이 다시 오더라도 항상 권력을 비판하는 방송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디수첩 개편 뒤 새로 진행을 맡은 문지애 아나운서는 “파업에 대해 적극 찬성한다”고 짧게 결연한 의지를 비쳤다. ‘뉴스후’ 김주만 기자는 “한나라당의 언론관계법은 문화방송의 민영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칼날이 국민과 누리꾼에게까지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에 파업을 결정하게 됐다. 거대 자본이 방송을 잠식하는 것이 가장 두렵다. 지금 당장은 경제 상황이 안좋아 그 정도 자금 동원이 어렵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그 문을 열어두는 것은 안 된다”고 말했다.

파업에 동참하지 못한 간부급 한 아나운서도 “87년 입사 이후 10번의 파업 중 처음으로 이번 파업에 불참하게 됐다. 후배들이 당당하게 싸울 수 있도록 팀장으로서 대체인력 지원 등에 최대한 뒷바라지하겠다”고 애정 어린 지지의 마음을 전했다.







 


노현웅 권귀순 기자 goloke@hani.co.kr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빛푸른고개 2008-12-28 1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미래를 넘겨주려면, 교육에 이어 언론에까지 미치고 있는 이 미친 바람의 실체를 명확히 구분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