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독교, 우리가 숨 쉬는 공기 - 기독교는 어떻게 서구 문명을 형성했는가
글렌 스크리브너 지음, 박세혁 옮김 / IVP / 2025년 8월
평점 :

《기독교, 우리가 숨쉬는 공기》는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는 현대 사회의 가치들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묻는 책이다. 평등, 자유, 인권, 긍휼 같은 보편적 가치는 인류가 저절로 쌓아 올린 것일까? 글렌 스크리브너는 분명히 말한다. “이 모든 것은 기독교 혁명의 산물이다.”
현대 사회는 기독교를 “시대에 뒤처지고 편협하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저자는 역설을 던진다. 정작 그 비판의 근거가 되는 가치들조차 기독교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이다. 물고기가 물을 인식하지 못하듯, 우리는 기독교적 가치가 공기처럼 스며든 문화 속에 살며 그 기원을 잊고 살아간다.

책은 고대 세계와 기독교적 가치의 대조를 생생히 보여준다. 로마인들에게 십자가는 최하층민을 짓누르는 국가 폭력의 상징이었다. 노예 살해, 아동 유기, 소년애는 일상의 일부였다. 그러나 기독교는 고대 세계가 ‘사랑’이라 부른 것을 ‘학대’라 명명했고, 당연시되던 현실을 부정의로 고발했다. “어제의 승리가 오늘의 상식이 되었다”는 저자의 인용은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 문장이다.
저자는 일곱 가지 핵심 가치—평등, 긍휼, 합의, 계몽, 과학, 자유, 진보—를 중심으로 기독교가 서구 문명에 남긴 유산을 체계적으로 추적한다. 노예제 폐지가 계몽주의가 아닌,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신앙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은 우리의 통념을 뒤흔든다. 또한 흔히 ‘암흑시대’로 불린 중세가 사실은 학문과 제도가 꽃피운 시기였다는 설명은 새로운 시각을 열어 준다.

물론 저자는 기독교의 어두운 면도 숨기지 않는다. 종교재판의 폭력과 과학적 오류는 분명한 잘못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현대 사회가 기독교의 ‘제약’을 벗어나려다, 오히려 익명의 손가락질과 설교조의 비난만 남게 되었다고 지적한다. 예수 없이 예수의 가치를 차용하려는 시도의 한계를 꼬집은 것이다.
교회를 다니지 않는 사람이라도 기독교 문화가 만들어 놓은 세계 속에서 살아간다. 그렇다면 그 구조와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신자와 비신자 모두에게 자신이 숨 쉬는 문화적 공기의 성분을 이해하게 만드는 필독서다.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가치들이 얼마나 혁명적이었는지를 깨닫는 순간, 자신의 세계관이 어디서 왔는지를 새롭게 알게 될 것이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기독교우리가숨쉬는공기 #글렌스크리브너 #IVP #IVP독서단 #기독교문화 #평등과자유의뿌리 #기독교의참모습 @IVP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