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독교, 로마를 뒤흔든 낯선 종교 - 이상하고 위험하고 매력적인 1세기 그리스도인을 만나다
니제이 굽타 지음, 박장훈 옮김 / IVP / 2025년 8월
평점 :

현대의 기독교는 언제부터 이토록 ‘편안한’ 종교가 되었을까. 교회를 쇼핑하듯 고르고, 신앙을 개인의 영적 취향으로 소비하는 시대에 니제이 굽타의 《기독교, 로마를 뒤흔든 낯선 종교》는 우리가 잊고 있던 기독교의 본래 얼굴을 생생히 드러낸다. 이 책은 1세기 로마 사회 속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이상하고 위험하면서도 매력적인’ 존재였는지를 탁월한 학문적 통찰로 복원한다.
저자는 먼저 로마 사회의 종교적 풍경을 보여준다. 모든 시민이 신들을 공경하는 ‘팍스 데오룸’이 국가 질서의 토대였던 시대, 그리스도인들은 제사도, 신상도, 연기와 피도 거부했다. 대신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의 사랑을 신앙의 핵심 가치로 삼았다. 이는 로마인들에게 기이하고 불경스럽게 보였고, 또한 노예와 자유인,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동등하게 대하는 공동체적 실천은 당시 사회 질서를 정면으로 흔드는 급진적 도전이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평등의 비전이다.

무엇보다 충격적인 것은 그들이 하나님과의 ‘사랑’ 관계를 말했다는 점이다. “하나님이 당신을 사랑하신다”는 선언은 로마 세계에서 위험할 만큼 낯선 가르침이었다. 신을 시장이나 관리처럼 존중만 하던 로마인들에게, 신과 사랑의 관계를 맺는다는 발상은 혁명적이었다. 또한 그들은 제사 없이 예배하며, 쉬지 않고 기도했고, 공동체 안에서 신분과 성별을 넘어 서로를 품었다. 바로 이 ‘길들여지지 않은 낯섦’이 초기 기독교의 본질이었다.
굽타는 이들을 이상화하지 않는다. 그들 역시 싸우고 경쟁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냈다. 그러나 분명한 차이는 있었다. 그들은 세상의 시선보다 자신들의 믿음에 충실했고, 예수에 대한 언급 없이는 대화조차 이어갈 수 없을 만큼 삶 전체가 주님께 속해 있었다. 이는 단순히 의도적으로 다름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복음 자체의 역학이 그들을 그렇게 이끌었던 것이다.

이 책이 오늘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날카롭다. 우리는 언제부터 다른 사람을 불편하지 않게 만드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게 되었을까? 언제부터 기독교의 본질을 사회적 기대에 맞게 순화하고 가공하기 시작했을까? 굽타는 복음의 내재된 힘이 삶을 변화시키도록 허용하는 것이야말로 본질 회복의 길임을 일깨운다.
《기독교, 로마를 뒤흔든 낯선 종교》는 균형 잡힌 역사 연구이자, 오늘날 익숙해진 기독교에 낯섦을 불어넣는 예언자적 메시지다. 신앙이 소비되고 길들여진 시대에, 이 책은 다시금 묻는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물음 앞에서 우리는 불편하지만 동시에 새로워진다. 낯섦이 불러일으키는 빛이 신앙의 본질을 회복하도록 우리를 초대한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기독교로마를뒤흔든낯선종교 #니제이굽타 #IVP #IVP독서단 #기독교 #초대교회 #신앙의본질 #낯섦의힘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