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두가 회색이야
마틴 쇼이블레 지음, 이지혜 옮김 / 사계절 / 2025년 4월
평점 :

“온 세상이 회색, 회색, 회색이었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나도 모르게 마음속 풍경이 무채색으로 물들었다. 마틴 쇼이블레의 소설 《모두가 회색이야》는 자폐와 우울증을 동시에 앓는 소년, 파울의 이야기를 따라가며 우리가 외면해왔던 마음의 회색 지대를 정면으로 보여준다.
파울은 천재적인 재능을 지녔지만, 세상의 언어는 그에게 늘 낯설었다. 따사로운 햇살조차 방패처럼 우산을 펼쳐야만 견딜 수 있었던 그는 결국 옷장 안으로 자신을 숨긴다. “비좁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 안에서는 색깔이 조금 돌아온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그 안에서 비로소 안정을 찾는 그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이 소설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파울의 시선만이 아닌 주변 인물들의 시점까지 함께 따라가며 이야기를 엮어간다는 점이다. 특히 병원에서 만난 친구들과의 교감은 말보다 깊은 이해를 보여준다. “방학은 어땠는지 물어보지 못했다.”는 문장은, 우리가 얼마나 자주 아무렇지 않게 중요한 질문을 생략해버리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크게 남는 감정은 안타까움이다. 교육자로서, 어른으로서, 우리는 파울 같은 아이들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했다. 파울의 방패우산을 이상하게 여기고, 옷장 속 시간을 괴상하게만 보았다. 하지만 그것이 그의 마지막 방어선이었다는 사실을 너무 늦게 깨닫는다.
파울의 아버지가 말한 “이런 일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말처럼, 그들이 혼자가 아님을 알게 하는 것이 결국 우리가 해야 할 최소한의 책임 아닐까.


《모두가 회색이야》는 정신질환을 피해야 할 대상이 아닌, 함께 짊어져야 할 공동의 문제로 바라보게 만든다. 청소년 문학이라는 형식을 빌려, 이 사회에 조용하지만 뼈 있는 질문을 던진다.
작가 백세희의 말이 문득 떠오른다.
“정신질환을 안다고 말하기는 쉽다. 하지만 진심으로 이해하려면, 외면하지 않고 마주할 용기가 필요하다.”
결국 이 책이 전하고자 하는 건 하나다.
누군가를 향한 진심 어린 손길, 그 하나가 회색을 걷게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함께 우산을 펼쳐주는 그 순간, 혼자였던 세상이 비로소 ‘우리’가 되는 경험.
회색이 완전히 걷히는 날까지, 우리는 그 손을 놓지 않아야 한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모두가회색이야 #마틴쇼이블레 #사계절 #청소년실화소설 #자페스펙트럼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