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조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
신창호 지음 / 판미동 / 2025년 5월
평점 :

조선 후기, 부패와 혼란이 깊어가던 시대에 한 국왕은 묻고, 한 실학자는 답했다. 《정조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는 개혁 군주 정조와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주고받은 책문(策問)과 대책(對策)을 현대적 언어로 풀어낸 책이다. 신창호 교수는 인사, 경제, 국방, 지역 발전, 학문 등 주요 국정 현안을 중심으로 두 인물의 문답을 정리하고 해설함으로써, 그들의 정치적·지적 동반자 관계를 선명히 보여준다.
정조는 이상을 품었고, 다산은 그것을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현하고자 했다. 정조의 탕평책은 붕당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등용하겠다는 개혁이었지만, 다산은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는 신분과 출신을 가리지 않고 진정한 실력을 기준으로 인재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인재라면 신분이나 지역에 관계없이 등용해야 한다”는 말은 반상의 질서가 엄격하던 조선에서 가히 혁명적인 제안이었다. 이 발언에는 자신이 모시는 왕이 성군이 되기를 바라는 충성심과, 백성을 인민으로 섬기는 애민 사상이 동시에 담겨 있다.

두 사람의 문답은 책상이 아니라 현장을 향해 있다. 해적의 위협에 대비하는 국방 전략, 소금 유통의 공정성과 세금 정책, 수로 정비를 통한 경제 혁신 등, 모든 대화가 민생의 구체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국가는 망가진 수레처럼 깁고 보수할 수 있는가?"라는 다산의 질문은, 개혁이란 결국 현실을 직시하고 점진적 개선을 추구하는 실용적 작업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개혁은 끝내 실현되지 못했다. 정조는 요절했고, 다산은 유배의 세월을 감내해야 했다. 역사는 이미 흘러 그들의 이상이 어떤 결말을 맺었는지를 우리는 알고 있다. 결국 조선은 개혁에 실패했고, 국권은 외세에 의해 침탈당했다. 그렇기에 이 책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오늘의 정치 현실도 마찬가지다. 기득권이 여전히 인재 등용을 가로막고, 질문 없는 정치가 반복되는 시대. 정조와 다산의 문답은 우리에게 말한다. 정치란 명확한 질문과 진지한 응답에서 시작된다고. 권력이 지식인을 존중하고, 지식인이 권력을 향해 두려움 없이 대답할 수 있어야 개혁은 가능하다고.
《정조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는 고전이 아니라, 지금 이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그들의 미완의 문답은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이자, 우리가 완성해야 할 응답이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정조가묻고다산이답하다 #신창호 #판미동 #정조와다산 #정책문답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