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민주주의 내란의 끝 - 역사학자 전우용과 앵커 최지은의 대담 ㅣ K민주주의 다시만난세계
전우용.최지은 지음 / 책이라는신화 / 2025년 1월
평점 :

2024년 12월 3일, 한국의 헌정 질서를 뒤흔드는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시도, 그리고 군을 동원한 내란 기도. 누군가는 “결국 실패했잖아”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이 사건은 과연 정말로 끝난 걸까?
《K민주주의 내란의 끝》은 이 사건을 단지 한 차례의 해프닝으로 보지 않는다. 이 책은 지금도 진행 중인 민주주의의 위기이자, 그 끝을 가늠할 수 없는 싸움으로 바라본다. 역사학자 전우용과 정치인 최지은이 나눈 대담 형식의 책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와 구조, 현재의 위기까지 촘촘하게 짚는다.

“민주정치는 잠든 사람을 엉뚱한 곳에 데려다 놓곤 해요.”
책을 읽다 이 문장에서 멈췄다. 민주주의는 제도로만 유지되는 게 아니다. 깨어 있는 시민의 지속적인 참여와 감시가 없으면, 어느새 기차는 엉뚱한 목적지에 도착해 있다. 투표 한 번으로 끝나는 일이 아니다. 촛불을 들었다고, 끝난 것도 아니다.
전우용은 지금의 한국 사회를 ‘왕당파와 공화파의 싸움’으로 설명한다. 법과 제도보다 ‘권력자의 뜻’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국가는 그저 자신들이 지지하는 권력자를 위한 도구라고 믿는 사고방식. 이런 생각이 결국 12·3 내란 시도 같은 폭력적인 결과를 낳았다고 본다.

“민이 주인인 나라”는 어떻게 가능한가
책은 ‘민(民)’이라는 글자의 의미를 깊이 파고든다.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에 왜 ‘민’이 들어갔는지, 백정 출신 박성춘이 개막 연설을 했던 장면을 통해 ‘가장 낮은 사람의 목소리도 들리는 세상’이 민주주의임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12·3 사태가 무서운 이유는 단순히 계엄령을 선포하려 했다는 사실 때문이 아니다. 계엄이 한 번 발동되면, 그 순간부터 ‘작동원리’가 자동으로 움직인다는 점 때문이다. 법은 무력화되고, 헌법은 멈추며, 인권은 짓밟힌다.
한국은 세계에서 계엄령이 가장 많이 선포된 나라다. 이런 통계는 우리 민주주의의 취약한 뿌리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하지만, 이 책은 절망 대신 희망을 말한다
가장 마음에 남은 구절이 있다.
“이 추운 날에 응원봉 하나 들고 거리로 나선 젊은 여성 한 명 한 명이 다 옛날의 유관순이에요.”
1987년 6월 항쟁에서 2024년 응원봉 집회까지, 민주주의는 그렇게 시민들의 용기로 이어져 왔다. 이 책은 민주주의의 진짜 주체는 언제나 ‘평범한 시민’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전우용은 이렇게 말한다.
“과거는 그냥 현재를 도와주지 않아요. 기억하는 사람들이 도와달라 부탁해야 도와줘요.”
역사는 스스로 우리를 돕지 않는다. 우리가 기억하고, 불러낼 때에만 역사는 우리를 도울 수 있다. 《K민주주의 내란의 끝》은 바로 그런 기억의 정치, 현재를 위한 과거의 소환이다.
민주주의는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 책은 단지 정치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 아니다. 시민으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민주주의는 가만히 두면 작동을 멈춘다.
지금의 각성, 지금의 행동, 지금의 기억이 내일의 민주주의를 만든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K민주주의내란의끝 #전우용 #최지은 #K민주주의 #123내란 #민주주의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