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과 의사 정우열의 감정수업
정우열 지음 / 다산북스 / 2025년 2월
평점 :

우리는 감정을 종종 ‘비이성적이고 감성적인 것’으로 취급하며, 삶에서 덜 중요하거나 통제해야 할 대상으로 여긴다. 정신과 의사 정우열의 『정신과 의사 정우열의 감정수업』은 그런 오랜 고정관념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다. 저자는 감정을 ‘삶의 근본적인 동력’으로 정의하며, 우리가 무시하거나 눌러왔던 감정의 진짜 가치를 치밀하고도 따뜻하게 복원해낸다.
책은 감정을 단순한 심리적 반응이 아닌, 내면을 이해하는 정교한 창으로 풀어낸다. "자기계발을 위한 노력은 잠시 미루고, 나의 감정을 살피고 돌보는 일을 우선순위에 둬보자"는 저자의 제안은 자기개발 담론에 익숙한 독자에게 낯설지만 강력하게 다가온다. 이는 우리가 ‘성장’을 말할 때, 정작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일이 얼마나 소홀했는지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저자는 분노, 슬픔, 우울, 불안, 기쁨, 연민 등 11가지 감정의 작동 원리를 섬세하게 분석하며,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를 강조한다. “수치심의 기저에는 타인이 아니라 ‘내가 나를 인정하지 못하는 감정’이 깔려 있다”는 문장은 통찰을 넘어 자기인식의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한다. 특히 “부러우면 지는 게 아니라, 부러워야 이기는 것”이라는 말은 감정을 부정적으로만 보는 사회적 통념을 유쾌하게 전복한다.
감정을 통제할 대상이 아닌, 친밀하게 마주해야 할 존재로 바라보는 저자의 관점은 책 전반을 관통한다. 감정적으로 자유로울 때 비로소 자발적인 성장 욕구가 생겨나며, 그것이 지속적인 회복탄력성을 가능케 한다는 설명은 매우 실용적이면서도 깊은 울림을 준다. 감정을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 자체로 존중하는 저자의 태도는 단순한 심리학적 조언을 넘어 삶의 철학으로 다가온다.

책의 핵심은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저자는 "멘탈을 지키는 건 이성이 아니라 감정"이라며, 감정과 이성을 대립시키던 기존 관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감정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 두려움이 사라지고 더 능동적인 삶을 살 수 있다고 역설한다.
책의 마지막, 에필로그에서 저자는 감정을 ‘장작불’에 비유한다. “지푸라기처럼 휘발되는 감정이 아니라, 묵직한 땔감처럼 오래도록 타오르는 내면의 에너지”라는 설명은 이 책의 핵심 메시지를 가장 감각적으로 요약한 문장이다. 그리하여 독자는 삶의 어떤 순간에도 ‘그냥 그렇다’는 마음으로 감정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배우게 된다.

이 책은 단순한 심리서가 아니다. 감정에 대한 편견을 깨고, 우리 내면의 건강한 성장을 이야기하는 감동적인 안내서다. 감정이란 결국, 인간으로 산다는 것의 증거임을 이 책은 조용히 그러나 단호하게 말해준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정신과의사정우열의감정수업 #정우열 #다산북스 #감정수업 #멘탈은감정 #책읽는샘 #함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