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시간과 만나는 법 - 강인욱의 처음 만나는 고고학이라는 세계
강인욱 지음 / 김영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어릴 적부터 꿈꾸었던 고고학을 평생의 업으로 살고 있는 행복한 고고학자.

또한 고대 유물과 현대를 잇는 새로운 관점의 고고학 이야기를 다양한 매체에서 전하는 고고학 박사님. 이 책이 고고학을 이해하기 쉬운 개론서 역할을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저자의 바람대로, 유물과 유적을 넘어서 과연 고고학은 무엇인지를 설명해 주는 멋진 책이다.

 

시간 여행. 그 끝을 모르는 여행.’

저자가 정의하는 고고학의 본질이다.

현장에서 한 삽을 뜨는 순간, 박물관에서 고대의 유물과 만나는 순간, 그리고 연구실에서 과거 유물이 있는 책을 펴는 순간 우리는 그 시대로 떠나는 시간 여행자다.

 

고고학은 정해져 있는 역사를 증명하는 과학이 아니다. 매일매일 새로운 유물이 발견되고 그 안에서 과거의 상식 또는 역사를 뒤엎는 새로운 사실과 역사를 정립해 가는 학문이다.

 

우리는 고고학이라면 황금으로 된 왕관을 발굴하는 그림을 그리기 쉽다. 그러나 고고학자 대부분은 토기를 만지며 일생을 보낸다고 한다. 저자 역시 고고학의 시작을 발굴장의 고무장갑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갓 발굴해 온 토기를 칫솔로 문질러 닦는 작업으로 시작했다는 것이다. 흙을 뒤집어쓰고 허리도 제대로 펴지 못하면서 흙 구정물 속에서 솔질하는 모습이 고고학의 현장이다.

 

흙 속에서 잘 안 보이던 토기의 무늬가 수백 번의 솔질로 드러나고,

닦아낸 토기를 신문지 위에 올려놓고 잘 말리고,

토기 편에 일일이 잘 지워지지 않는 잉크로 출토지 일련번호를 적고,

실습실로 가져온 유물을 넓은 탁자 위에 펼쳐 놓고,

퍼즐 맞추기,

벌여놓은 토기를 접착제로 다시 붙이기.

 

토기는 고고학의 처음과 마지막이라고 한다.

사소한 토기가 중요한 자료가 되는 이유는 빨리 쓰고 버리는 물건이라 변화하는 시대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소한 유물의 변화를 통해 수천 년을 두고 이어지는 인간 세상의 흐름을 찾아나가는 것이 바로 고고학의 본질이다.

 

서양권이 주로 해골에 집착하는 반면 한국은 땅에 집착한다. 조상의 유해 자체는 터부시하고 대신에 좋은 곳에 무덤을 만들어서 시신을 곱게 자연으로 돌아가면 후손들이 발복한다고 여긴다. 이렇게 인골보다는 그들의 유택, 즉 무덤처를 중시하는 풍수사상이 발달하는 배경에는 한국만의 독특한 지리 지형의 조건도 무시할 수 없다. 한국과 러시아 극동지역은 산성이 매우 강한 토양인지라 매장을 하면 인골이 빠르게 풍화한다. 삼국시대 고분 수백 개를 파도 제대로 된 인골은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풍수사상은 한국이라는 풍토에서 독특하게 발달한 사상인 셈이다. -p186

 

과거와 현재의 대화가 역사라면, 과거를 꿈꾸며 오늘을 살아가는 것이 고고학이라 할 수 있다. 그 고고학에 한 발 들여놓은 느낌이다.

 

고고학을 꿈꾸는 많은 사람이 인디애나 존스같이 패도라를 쓰고 세계 곳곳의 보물을 탐험하는 것을 상상한다. 하지만 실제 고고학과에서 발굴장을 가면 주변이 황량한 건설 현장이 대부분이다. 21세기 들어서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발굴은 건설현장에서 이루어진다. 발굴은 그 재원과 목적에 따라서 학술발굴구제발굴로 나뉜다. 학술발굴은 그야말로 학문적인 의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적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편, 구제발굴은 경제개발 등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유적에 고고학자가 투입되어서 그 유적을 발굴하고 유물은 박물관으로 가져오는 것이다. -p222

 

이 책을 읽은 후 알게 된 고고학은 백조와 같았다. 역사에 관심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고고학에 관한 관심에서 바라보는 고고학은, 역사와 문명을 발굴해 내는 백조처럼 우아한 학문으로 생각했었다. 그러나 고고학의 진짜 얼굴을 맞대보니, 물속에서 바쁘게 발길질하는 백조의 모습이 떠올랐다. 엄동설한에 허허 들판에서의 작업이거나 뜨거운 열기가 바로 올라오는 땅바닥에서 벌레와 싸워가면서 작업을 이어가는 연구자들의 모습 자체가 고고학의 실제 모습이었다.

 

현재의 인류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역사를 탐구하는 고고학과 AI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고고학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비슷한 유물을 같이 묶어서 배열하는 형식학도 AI로 대체하는 것이 예상 가능하다. 딥러닝으로 이제까지 발견된 모든 발굴보고서를 학습시키고 하나의 유물이 발굴되면 그것과 비슷한 유물을 찾고 형식을 늘어놓아서 편년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고고학은 다른 인문학보다 가장 먼저 첨단의 기술과 과학을 받아들이면서 발전해왔고, 앞으로도 AI를 비롯한 수많은 기술에도 열린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p320

 

뼈와 흙의 이야기에서 디지털 유물까지, 사라진 세계로의 시간 여행.

유적과 유물에 담긴 이야기와 역사는 어떻게 현재와 맞닿아 있는가?

고된 삶의 흔적을 증언하는 알타이 샤먼의 미라,

청동기 거울 속 정밀한 무늬에 담긴 종교적 집념,

동물 뼈에 새겨진 인간과 동물의 우정,

부활을 기원하며 죽은 이에게 바친 우유

황금과 보물, 외계인으로는 채울 수 없는 진짜 고고학 이야기.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사라진시간과만나는법 #강인욱 #김영사 #고고학 #시간여행 #책읽는샘 #함께성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